신분 제도, 조선을 떠받치다 푸른숲 역사 퀘스트
이광희.손주현 지음, 박정제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기서 잠깐! – 구체적인 문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준다.

알파봇의 정보 대방출 조선시대와 세계의 상황을 자세히 얘기해준다.

 

명쾌한 박사, 알파봇이 등장한다.

 

조선시대 신분제도? 마당쇠의 질문 메일로 명박사와 알파봇이 답을 찾는 과정을 재밌게 전해준다.

 

양반- 문반, 무반을 합쳐서 양반. 몰랐어요. 지금이라도 알게 되어 좋아요. 가문 전체를 포함하는 신분층. 조정에서 일하는 관리와 그 가족

노비 남자 종인 노와 여자 종인 비. 사노비(양반), 공노비(관청) 인구의 1/3~1/2

상민 보통 사람. 군역, 세금, 민란

과거는 양반과 상민(양인)이 응시할 수 있어 상민이 양반이 될 수 있다.

양인이 노비가 되기도 한다.

 

9품에서 정1품까지 40년 걸린다.

4대 봉사 - 4대조 까지 제사를 모신다. 시제, 차례.

임금을 도와 나라를 다스린다.

 

사농공상

상민 조선경제를 책임진다.

 

노비 대대로 노비.

면천 주인이 노비에서 해방시켜줄 수 있다. 몸값.

사노비 - 솔거노비(주인집에 같이 산다), 외거노비(별거하면서 신공을 바친다)

공노비 - 선상노비(관청에 출근한다), 납공노비(출근안하고 신공을 바친다)

 

복식에서 양반, 상민, 노비의 차이가 있었고, 같은 신분 사이에도 빈부의 차이가 느껴졌다.

대식국 많이 먹는 나라.

딤채 소금물을 부어 만든 김치

하루 아침 저녁 두 끼가 기본.

집의 크기 왕의 친척은 60칸까지, 관직에 오른 양반은 30~40, 그외는 10칸을 넘지 못한다.

 

조선시대 여가 생활

양반 문인화, 바둑, 장기, 활쏘기, 뱃놀이

씨름 상민, 노비

이야기 꾼, 남사당 패

상민, 노비 새끼 꼬고 짚신 삼기

인도의 카스트 제도

 

죄지은 양반은 유배를 보낸다. 유배의 왕 다산 정약용 유배기간 동안 책 수백 권을 씀

유배에서 풀려나는 경우도 있지만 사약을 받는 경우도 있다.

시묘살이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장사 후 무덤 곁에 여막을 짓고 공양하며 묘를 보살피는 것

양반 수칙 10계명(p90~91)

상민은 농사 일, 공납, 군역을 담당했다.

노비는 잠재적 범죄자로 의심받고, 이사/결혼/이기의 자유가 없으며, 재판도 없이 유죄, 이름은 개돼지, 소똥 등으로 지었다.

노비 10계명(p104~105) 죽어도 지켜야 할 규칙

 

성균관에서 문묘 제사를 지내는 노비 수복, 여자 수사관 다모, 노래 부르는 가비 같은 특수 노비도 있었다.

 

자유를 찾아 도망치는 노비, 자신의 재산인 노비를 쫓는 주인의 사태는 신분제가 없어질 때까지 계속되었다. 추노꾼.

 

갑오개혁 이후 노비 해방, 과거제 폐지로 양반, 상민, 천민의 구분도 희미해졌다.

돈 많은 부자가 출세

 

답장 : 조선시대의 신분제도에서 각자의 역할을 잘 해주어 나라가 유지되고 여러 가지 일들이 가능했다. 더 중요한 신분이 있지 않고 신분제도가 조선을 떠받치고 유지했다.

 

이 리뷰는 몽실북클럽 서평이벤트의 소개로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