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산책 - 이탈리아 문학가와 함께 걷는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가와시마 히데아키 지음, 김효진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로마는 가보지 못했지만

다녀온 사람들의 이야기로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더 강해진다.

신혼여행을 로마로 다녀온 두 커플은 과거와 현대가 잘 어울려있는 도시이고,

선남 선녀가 가득한 광장에서 넋이 나갔었다는 얘기도 들었다.

피사의 탑이 프린팅된 반팔 티셔츠도 선물받아 열심히 입고 다녔다.

아는 만큼보이고 느낀다는 얘기를 실감했다는 얘기도 들었다.

여행을 가게된다면 이 책을 다시한번 읽고, 가지고 가야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우리나라는 발전을 위해 과거를 보존하는 데 소홀히 했다.

 

책을 읽고 일본인인 저자가 로마를 소개하는 게 로마인이 로마를 소개하는 것 보다 객관적일 수 있지만 좀 어려웠다.

우라 나라에 대한 이런 류의 책은 있는지? 있다면 읽어보고 싶고

없다면, 나올 수 있을까? 기대해본다.

 

예술이나 역사적 지식, 로마를 방문한 경험이 있다면 더 수월하게 머리에 그림이 그려질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그런 부분에 도움을 주기 위해 당대 유명화가의 그림, 지도, 도면, 사진 등을 곳곳에 넣어 친절하게 설명해 준다.

 

저자의 해박한 지식과 사진 등의 자료로 경관, 유물 등의 단편적이 이야기가 아닌도시에 담긴 역사를 자세히 이야기해준다.

로마 산책 : 로마 이야기

 

“3000년으 역사를 가진 영원의 도시 로마를 담기에는 부족한 공간이나마 최대한 담아내고자 애썼다.” 너무나 겸손한 저자의 맺음말.

유학생 시절과 그 후 약 30년에 걸친 개인적인 경험의 시간 + 상상속의 로마 거리를 걸었던 20여 개월의 시간이 가득 담겨있다는 말이 실감날 것이다.

영원의 도시 로마

9개의 장으로 이루어 졌으며 각 장의 제목의 관점에서 로마를 산책하고 있다.

 

캄피돌리오 언덕에 서서

로마에 대해 알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캄피돌리오 언덕에 서보라고 저자는 이야기하고, 언덕에서 보이는 것과 연관된 고대, 중세, 르네상스, 바로크, 근대까지의 이야기를 해준다.

 

일곱 언덕과 테레베강

태고의 로마, 테레베 강, 강물을 떠내려온 쌍둥이 형제를 언덕 기슭에서 키운 암컷 늑대, 일곱 언덕

일곱 언덕에서 고대 로마는 탄생했다. 전설의 왕 로물루스가 팔라티노 언덕을 정방형(콰드라타) 울타리를 로 에워싸고 후에 성벽을 둘러 로마를 건국했다.

 

스페인 계단을 내려다 보며

스페인 광장은 어느 시대나 사람과 물이 모이는 장소

순례자와 대홍수, 바르고 수로, 바르차카 분수끝으로 백악의 바로크 계단이 지어졌다.

로마에서 가자 인기 있는 교회 트리티나 데이 몬티 성당(언덕위의 삼위일체 성당)

미적 감각뿐만 아이라 계단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편의까지 생각하는 설계 바로크 예술

전세계 신자들이 향하는 곳은 천국으로 가는 열쇠를 지고있는 산 피에트로 대성당이다.

로마의 일곱 대성당 순례지도 : 산 피에트로 대성당 산 파울로 대성당 산 세바스티아노 대성당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 산타 크로체 인 제루살렘메 대성당 산 로렌초 푸오리 레 무라 대성당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

 

오벨리스크를 따라 가며

로마광장에 세워진 뾰족하고 거대한 돌기둥

오벨리스크를 세운이유? 로마에는 오벨리스크가 몇 개?

오벨리스크 순례자의 길잡이 역할

13? 146개는 모조품 + 7개는 진짜(모두 이집트에서 가져온 것) + 1 악숨 오벨리스크(에티오피아)

 

바로크의 분수

교황 식스투스 5세는 로마를 바로크의 도시로 만들었다.

폐허가 된 땅에서 오벨리스크를 발굴하고, 고대의 수로를 복구했으며, 조각상으로 분수를 장식했다.

기디온의 계획도 역대 교황들의 이름과 재위기간, 빌라 몬탈토의 위치와 규모, 광범위한 거리를 담고 있다.

광대한 빌라 몬탈토를 파괴한 건 후대의 교황이었다.

말은 바꿀 수 있어도 사실은 바뀌지 않는다.

바로크 분수에 하늘을 찌르는 오벨리스크와 땅속을 흐르는 수로가 일체화된 이른바 표리의 관계이다.

 

즉흥 시인의 광장

로마 방언으로 수네트를 읊던 문학사의 귀재 주세페 벨리는 안데르센이 머무는 5개월 동안 160편의 소네트를 지었고, 평생 즉흥시 2,279편을 지었지만 모두 파기하라는 유언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안데르센이 로마에 머물면서 <즉흥 시인>의 여러 장을 완성하였다.

바르베르니 광장, 토리토네 분수를 거닐었을 것이다.

 

달빛 비치는 미로를 헤매며

1870년부터 변모. 르네상스와 바로크를 거치며 오랜 세월 형성되어온 교회국가에서 통일 이탈리아 왕국에 병합되어 이듬해에 근대국가 이탈리아의 수도가 되었다.

괴테 로마는 하나의 세계이며, 그 세계에 정통하려면 수년이 걸릴 것이다. 대강 둘러보고 떠나는 여행자들이 오히려 부러울 정도이다.”

로마에는 문학 관례자들이 즐겨 찾던 유서 깊은 카페가 많다.

그레고리아나 거리와 시스티나 거리 중간에 있는 창밖으로 로마 중심가의 3/4이 내다보인다.

 

파괴된 르네상스의 거리

과거 저자는 베키아 로마에 머물렀다,

저자는 판테온 앞에 설때마다 이곳이 영원의 도시 로마의 기점이자 이탈리아 반도 문명을 찾아 떠나는 여행의 출발점이라고 느낀다.

고대, 중세, 르네상스와 바로크로 이어져온 도시의 생명이, 베키아 로마에 사는 민중의 삶이, 사람을 위하 거리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대로 공사 때문에 파괴되고 말았다.

 

SPQR와 다른 신들

고대 로마의 공화정에 대한 자부심을 표현한 라틴어 Senatus Populusque Romanus(원로원과 민중의 로마)

Soli preti qui rreggneno.(이곳은 사제들이 왕이다.)

 

이 리뷰는 책과콩나무 서평이벤트 지원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