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도의 개 3
야스히코 요시카즈 지음 / 미우(대원씨아이)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2권에 이어 3권이다. 거의 다 읽어가고 있기에 아쉬운이 큰 작품이다. 동일 작가 작품인 '무지갯빛 트로츠키'보다 역동성 있고 흥미로운 줄거리가 계속되어 인상 깊었다. 또한 지난번처럼 '김옥균'이라든지 '무츠 무네미츠', '이토 히로부미', 심지어 '쑨원'까지, 동아시아 근현대사에 수많은 족적(?)을 남긴 인물들이 등장해 혼란스러웠던 당시 시대상을 보여주고 있다. 점차 짙어져 가는 일본 제국주의의 물결과 처음에는 평화와 민중을 위한 정치를 외친 일본 사상가들이 어떻게 변질되는지 또한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커다란 물결 아래에서 이리저리 방황하는 주인공 '카노'를 보면서 진정한 '왕도'가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되는데, 마지막인 다음 권이 매우 기대되는 바이다!

王何必曰利 亦有仁義而已矣(왕하필왈이 역유인의이이의) : 왕께서는 오직 어짊과 의로움만을 말씀하실 일이지, 어찌 하필 이익을 말씀하시나이까.
王曰何以利吾國(왕왈하이이오국)고 하시면 :왕께서 나라의 이익만을 생각하시면
大夫曰何以利吾家(대부왈하이이오가)오하며 :대부들은 어찌하면 내 집이 이로울까만 생각하며,
士庶人曰何以利吾身(사서인왈하이이오신)고 하여 :선비나 백성들은 제 한 몸의 이익밖에 생각하지 않을 것입니다.
上下交征利(상하교정이)면 :윗사람이나 아랫사람 모두가 서로의 이익만을 취하게 된다면
而國危矣(이국위의)리이다 :나라는 위태로워질 것입니다.
苟爲後義而先利(구위후의이선리)면 :진실로 의리를 뒤로 미루고 이익만을 앞세운다면
不奪(불탈)하여는 :모든 것을 다 빼앗지 않고서는
不饜(불염)이니이다 :만족할 수 없게 될 것입니다. - P206

未有仁而遺其親者也(미유인이유기친자야):무릇 어질면서 그 부모를 버린 사람은 없으며
未有義而後其君者也(미유의이후기군자야)니이다 :의로우면서 임금을 뒷전으로 여긴 사람은 없습니다.
王(왕)은 :왕께서는
亦曰仁義而已矣(역왈인의이이의)시니 :오직 인의만을 말씀하실 것이지
何必曰利(하필왈이)잇고 :하필이면 이익을 꾀하십니까!

- 맹자 - - P2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