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긍정의 훈육 - 내 맘대로 안되는 아이 제대로 키우는
제인 넬슨 지음, 김선희 옮김 / 프리미엄북스 / 2010년 2월
평점 :
절판
긍정의 훈육이란 말뜻으로 책의 내용을 대충 짐작할수있듯이 아이를 키우면서 혼내서 야단치는것이 아닌 긍정적으로아이를 이해함으로 아이에게 가르침을 준다는 뜻입니다.
여러 육아서를 읽으면서 느끼는 공통적인 생각이지만 아이에게 혼을 내거나 윽박지르는 행동은 부모로서 지양해야된다고 많이들 말을 합니다. 그러나 아이를 키우면서 쉽게 그렇게 되지 않아서 아이와의 다툼도 많이 생기고 갈등도 많아집니다.
그래서 새로운육아서가 나올때마다 우리아이를 어떤식으로 대해야할까 이번에는 어떤 좋은 방법이 나와있을까 새로운 방법은 없을까 하면 부모들의 관심을 끌곤해서 이번에도 그와 같은 내용이지 않을까 했지만 긍정의 훈육은 다른책과는 많이 달랐습니다.
아이를 키우면서 아이를 이해하려고 많이 노력했지만 정말 아이의 입장에서 한번이라도진심으로 생각한적이 있는지 생각해보게되었습니다.
아이가 크면서 스스로 무엇을 할려고 많이 할때 옆에서 엄마들은 조바심을 많이 냅니다
행여나 물을 쏟아서 옷이 다 젖진 않을지 행여나 컵을 떨어뜨려서 유리가 깨질지는 않을지
행여나 행여나 하며 항상 아이를 노심초사하면서 엄마가 치우고뒷치닥해야하는 일들이 생기지 않을까 항상 아이를 감시하고 자유롭게 노는것을 허락하면서도 일일히 간섭을 하게 됩니다.
저또한 마찬가지로 아이가 스스로 우유를 마실꺼라고 컵에서 제 손을 떼어내려고 하다가 우유를 엎지르기라도 하면 저는 '거봐 엄마가 준댔지 그럴줄 알았어' 하고 아이에게 잘못의 책임을 떠 넘기거나 '이렇게 쏟아서 어떡할꺼야? '하며 아이에게 혼을 내기도 했습니다. 여기서 아이는 엄마의 목소리를 통해 반발을 불러 일으키게 된다고 합니다
아이가 우유를 쏟았다면 그 행동의 논리적 결과는 아이에게 바닥을 깨끗이 닦도록 하는것입니다. 아이에게 어떻게 하라라고 지시하는 대신 어떻게 하면 좋을 까 하고 물어본다면 아이에게 문제해결의 과정에 동참시키게 되고 아이를 존중하여 자신의 능력을 유용한 방향으로 바꿀수있다는것에 초첨을 맞춰서 아이를 움직이게 합니다.
처음에는 이러한 말이 잘 이해가 되지않았습니다. 물론 이렇게 부드럽게 나가서 아이와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것이 좋다라는 것이 머릿속으로는 이해가 되나 실제적으로 이러한 상황에 닥치면 목소리가 커지게 되는게 엄마의 입장입니다. 그러나 한가지 질문으로 저의 목소리를 바꾸게 되었습니다.
'내가 지금 아이의 사기를 북돋아주고있는걸까? 아니면 기를 죽이는 걸까?'
저는 지금까지 아이의 기를 죽이고있진 않았나 하는 생각이 더 많이 들었습니다
평소에는 서로 관계가 좋다가도 아이가 말썽아닌 그 시기에 잘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엄마에게는 감당하기 힘들 그러한 사건들을 맞닥뜨리게 되면 언성이 높아지게 되는 일로 아이와의 관계가 조금씩 틀어지곤 있진 않았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이의 발달 상황을 제대로 이해했을때 부모는 여유가 생길수있다고 생각합니다.
긍정의 훈육은 무조건 부드럽고 일방적인 이해가 아닌 부드러우면서 단호한 태도를 취하는 것이 아이들이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삶의 방법들을 알려주고있는데 큰 의미가 있습니다.
어른들도 완벽한 어른들이 없듯이 아이들도 실수를 했을때 그 실수를 다그치지 않고 실수를 배움의기회로 멋지게 가르쳐줄줄 아는 멋진 부모가 될수있도록 이 책을 세상의 엄마아빠들에게 꼭 필독서로 추천하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