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겐 권리가 있어! 다섯 걸음 학교 1
알랭 시셰 글.그림, 김현경 옮김 / 톡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의 권리를 주장하는 당돌한 이책!!

처음에 아이들에게 권리가 있다라는 의미가 아주 생소하고 익숙하지 않은 단어라서

어떤 권리를 말하는지 궁금하기도 하고 엄마로서아이의 권리를 위해 어떤 것을 해주고 있는지

한번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국제법에서는 18세가 안되는 아이를 어린이라고 부릅니다.

보통 초등학교를 졸업하면 청소년으로 생각하는 지금의 인식과는 다른 생각과 법이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우리나라에서는 너무나도 빨리 아이들을 어린이의 그룹에서 독립시키는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늘 사랑받고 보호받아야 하는 권리가 아이들에게는 있습니다,

그러나 부모에게 버림받고 못어서 굶어야 하는 아이 그리고 학교조차 못가서 배움의 기회조차 없는아이

들이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세계에 많은 아이들이 있다는것을 다시 한번 실감하게 됩니다.

책에서는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는 아이들이 재미있는 그림과 아주 커다란 글씨체로 눈에 띄는 그림들로

머리속에 속속들어옵니다. 처음에 씌여져있는 글귀는 이러합니다.

그래 맞아 .우린 꼬마야

라고 아이가 하는 글귀가 나옵니다.

이 글을 보면서 잠시 생각에 잠깁니다. 나는 우리아이를 얼마나 생각을 하고 꼬마로서 위해주고 권리를 인정해주었는지 말입니다. 아직 꼬마인 아이인데 너무 어른스러움을 강요하고 있지는 않았는지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아직은 서툴고 많이 배워야 하고 어른들에게 항상 사랑을 받아야 하는 꼬마아이인데

아직 갈길이 멀고 배워야함이 많은 어른임을 너무 강요하고 억압받은것은 아닌지

후회하고 후회를 했습니다.

아이들의 권리를 한번 더 생각하고 우리 아이들이 어떤 대접을 받아야 하는지 한번 더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 책의 그림들이 아주 선명하고 크레파스로 색칠을 한듯 정겨우면서 따뜻한 그림들이 너무 맘에 듭니다.

아이들의 권리에 대해서도 자세하고 나와있습니다

그중 가장 눈에 띄는것은 '사생활의 보호'입니다

아이들의사생활을 존중해주고 보호해주어야하는것은 생각해보지 못한문제였습니다

항상 어른들의 감시(?)와 통제하에 움직이고 생활해야한다고 생각했었는데 아이들의 개인적인 생각과

행동도 어른들의 강요없이 스스로 움직이고 보호받아야 한다는것은 엄마로서 아이에게 앞으로

어떻게 개인의 의견을 존중해주어야 하는지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하였습니다.

엄마아 아빠와 아이가 함께 읽으면서 가족들과 권리와 의무에 대해서 한번 생각해보는 따뜻한 책이 될것 같아 좋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