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독서 교육 - 책읽기에 열광하는 아이들 대교아동학술총서 4
김은하 지음 / 대교출판 / 2009년 7월
평점 :
품절



아이의 독서교육에 관심을 가지다 보니 먼나라이긴하지만

아이들의 독서문화가 많이 발전된 영국의 아이들 독서교육법이 무척 궁금했습니다

지금 아이게게 독서교육법이란 특별한게아니라 단지 같이 읽어주고

서로 대화하는 방법에 한정되어있는 정도입니다.

집밖으로 나가도 특별히 시간내어 가는 도서관이 아닌 이상 아이와 함께

책을 통한 문화생활을 하는방법을 찾기에는 막막하기만 합니다.

책을 본후의 느낌은 단지 책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정말 내가 영국에서 아이와 함께 북페스티발을 다녀온 느낌이 듭니다.

책안에서의 실제로 본듯한 사진들과 생생한 자료들이

영국의 대형 서점과 북페스티발과 작가와의 만남들이

우리나라에서는 상상할수없는 일들이 많이 벌어지고 있다는 생각에

호기심이 생기기도 하였고 왜 우리나라에서는 아이 책교육을 많이 시키고있지만

단지 학습에만 그칠뿐 그 이상이 되지못하고 아이들의 책을 교육적으로만

활용을 할까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도 되었습니다.

영국에서는 작가가 책을 내서 출판사인회를 서점에서 한다고 하면

우리나라는 작가의 시간상 제한을 두어 몇시부터 몇시까지만 사인회를 하고

보통 마감을 하는 반면 영국에서는 몇백명의 고객이 그 사인을 받기 위해

줄을 서서 몇시간을 기다려도 짜증한번 내지않고 기다리게 해서 죄송하다는 말과

함께 마지막 고객까지 친절하게 인사를 한다고 합니다.

책에 관해서는 우리나라와 다른 문화에 부럽기도하고 꼭 한번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였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하는 북페스티발은 작년파주출판도시에서 열린 첫회가

처음이라고 하는데 작년에 파주에서 열리는 북페스티발 행사를 듣긴 했으나

솔직히 생소하기도 하고 어떠한 내용인지 잘 알지못해서 관심을 가지지도 않았습니다

허나 이렇게 책을 통해 간접경험을 하고 보니 어떠한 행사이며 어떻게 진행이 되어지는지

조금은 알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영국의 책문화가 빨리 자리잡고 아이들이 적극적인 동참이 있게된 배경은

모든 관계기관들의 유기적인 관계로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정부와 학교 도서관 그리고 출판을 위한 인쇄소및 광고사등 가장 중요한 행사를

진행하며 여러가지 소소한 일들을 챙기는 여러명의 무료자원봉사 스탭들이

있기에 가능하다고 합니다.

유명한 작가를 보기 위해 책의 페스티발에 참여하고 그들과 대화를 나누며 작가와의 시간을

가진다는 것은 어찌보면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생소하고

책을 단지 책으로 보는 우리나라의 문화에서 영국은 책을 통해 자신이 알고싶던

작가의 의도나 책의 배경이 나오게된 동기들을 알아가면서 책에 대해 더욱

다가가고 그 책을 통해 같은 작가가 쓴책을 보게 됨으로 책의 깊이게 빠져드는 모습은

우리가 배울만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요즘 우리나라에서는 아이들의 독서를 권장하기위해 스티커제를 도입한다고합니다.

자칫 경쟁을 유발시킬수있는 이러한 제도로 책을 깊이있게 알고 이해하며 읽기보다

단순히 겉으로만 읽고 책권수를 채우지는 않을지 우려도 생기게 됩니다.

대부분의 부모님들이 교과서에 도움이 될만한 책을 고르거나 학습위주로 책을 보는 우리나라에 비해

자신의 자율성을 가지고 작가위주로 책을 보고 스스로 작가에게 질문을 던지는 영국의 아이들을

보며 우리 나라의 책 문화가 조금더 개방적이어야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