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아이의 속마음을 척척 읽어내는 어린아이 심리학 - 아이와 함께 크는 엄마 5
홍기묵.한미현 지음 / 팜파스 / 2007년 6월
평점 :
절판
아이의 심리를 안다는 것은 참 어려운 일인것 같다
아이를 키우면서 항상 생각하는 것은
우리 아이는 왜 이런 행동을 할까이다.
물론 엄마 나름대로는 화부터 내지않고
아이를 이해시키려고 알아듣게 조근조근 설명을 한다고 했지만 그런 엄마의 엄청난
노력에도 불구하고 막무가내인 아이에게 결과는 또 화를 내고 만다
처음에 잘 타이르고 설명을 해주는데도 왜 아이는 말을 듣지않을까 하면서 도무지
생각을 해도 답이 안나오는 질문만 머릿속으로 맴돌기만 했는데 책을 통해
아주 간단한 답을 찾을수 있었다.
3세이전의 아이에게 엄마의 구구절절한 설명따위는 통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진작 알았다면 아이와 서로 말도안되는 에너지를 낭비할 필요가 없을텐데
그런 일들이 머리속으로 스쳐 지나가 후회하게 만든다
내가 지금까지 잘못 생각한 부분은 아이는 단지 아이인데
깊이 생각할까 하며 은근히 아이를 무시 하지 않았나 한다
물론 엄마 나름대로 아이에게 최대한의 친절과 대우를 베풀었지만
나만큼 생각할까 란 자만심이 아이에겐 엄마는 나를 무시한다고 생각하지 않았을까 싶다
물론 한해 두해 지나면서 말도 늘고 해서 아이를 이제 다 큰 아이 취급하면서도
아이의 자아에 대해서는 크게 생각을 해본적이 없는것 같다.
어른들이 무심코 하는 야단치는 큰소리나 야단들이 반복되다 보면 아이는
자신이 큰죄를 지은것 같은 죄책감에 빠져서 부모앞에서는 그런 잘못된 행동을 안하는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몰래 숨어서 한다든지 부모가 보지 않는곳에서는 더욱 더 심한 행동을 한다는 것을..
이러한 시기를 겪은 아이들이 좀더 커서 학교를 가게 되거나 해서 간혹 사고를 치고
부모님을 모시고 오라는 얘기에 찾아온 부모들의 공통된 말들은
우리 애는 그럴애가 아닌데 하며 아닐꺼라면 부모들의 반응이라는 것이다.
아이들에게 생기는 자아라는 개념은 이미 5살이전에 결정이 되어진다면
지금이라도 아이를 대하는 부모의 태도는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교육의 열풍으로 좋다는 교재.교구들만 아이에게 접해주는것보다 우리아이 기질과 적성에
맞는지 우리 아이를 먼저 파악하는것이 급선무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