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음이 닮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디지털 교육의 미래 워크플로우 러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교과서의 쓸모 - 부와 권력을 만드는 핵심 개념 20
임라원 지음 / 모길비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생은 저에게 이런 말을 남겼습니다.

"작가님, 저는 그동안 살면서 단 한 번도 교과서가 쓸모있다고 생각해본 적이 없습니다. 사실 지금도 자퇴를 고민 중입니다. 그러나 작가님의 책을 읽고 저도 희망이라는 것을 품게 됐습니다. 살면서 도전이라는 것을 해보고 싶어졌습니다."(-7-)

1.희소성

희소성의 핵심은 한정이다. 인간는 언제나 원하는 대상사이 있다. 대상은 한정적이나 그것을 원하는 사람이 많을 경우, 우리는 그 대상을 희소적이라고 표현한다. (-30-)

이때까지 대부분의 역사책은 철저히 역사와 인문학 기반의 내용으로 작성된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A작가는 역사라는 아이템을 통해 인문 교양과 자기계발서를 접목한 책을 출판했다. 이것은 몇 안 되는 새로운 시도 중에 하나다. 이 시도를 통해서 사람들은 역사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시각을 통해 사람들은 앞으로 역사와 관련한 더 많은 상품을 사고팔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럼 이 모든 것은 본질적으로 무엇을 의미하겠는가? 이는 한마디로 이런 작은 아니디어 하나도 하나의 판매 상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79-)

조금 조심스러운 발언이지만 지나치게 겸손한 사람들은 자신이 가진 생각과 아이디어가 돈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가끔은 겸손함보다 배짱이 도움이 된다는 것을 말이다. 정말이지 세상의 모든 것은 돈이 될수도 있고 '부'의 가치로 변할 수 있다. 사소해 보일지라도 작은 아이디어 하나하나가 모여 시장에서의 거래량이 확대될 때 '부'의 규모는 거래량과 똑같이 확대될 수 있다. (-80-)

농부의 역할은 밭을 잘 가꾸는 것이다. 그런데 농부가 밭을 잘 가꾸기 위해서는 오선 쟁기가 필요하다. 농부는 가진 것이 없다. 그래서 마음 넓은 밭의 주인은 농부에게 자신의 쟁기를 빌려준다. 농부는 밭의 주인으로부터 쟁기를 빌려서 열심히 농사를 짓는다. 그리고 농부는 농사를 다 마친 후에 이 쟁기를 다시 밭의 주인에게 돌려준다. 왜 그럴까? 농부는 밭을 갈기 위해 쟁기를 빌렸을 뿐, 이 쟁기는 농부의 영원한 소유물이 아니기 때문이다. 여기서 쟁기는 밭을 갈 수 있는 도구다. 그래서 쟁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도구이다 수단인 '권력'이 된다. (-144-)

주로 밭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들은 '권력' 과 '부'를 동사에 거머주니 사람들이 많다. 신기하게도 이들은 좋은 농부를 고르는 능력이 뛰어나다. 그래서 이들은 자신의 쟁기를 어떤 농부에게 빌려줄지 아주 똑똑하게 결정한다. 밭 주인 중에는 좋은 주인도 있을 수 있고 나쁜 주인도 있을 수 있다. 좋은 주인을 만난다면 다행이다. 그러나 나쁜 주인은 농부를 이용해 자신이 얻을 수 있는 열매의 양을 최대한 늘리려고 할 것이다. 다른 사람들도 수확해야 하는 열매는 고려도 하지 않고 말이다. (-195-)

얼마전 5월 독서모임에 신입회원이 들어왔다. 그 신입회원의 소개에서, 독서를 하게 된 이유를 언급하였다. 학창 시절 12년간 운동을 하다 보니, 수학 인수분해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현실을 견디기 위한 돌파구가 독서라고 한다. 그 이야기를 들으면서, 우리가 당연하게 생각하는 독서가 왜 중요한지,이해가 되었고,독서는 생존도구이면서, 사람의 인생을 바꿔 놓은다는 걸 동시에 알게 도니다. 그리고 책 『교과서의 쓸모』 이 그 사람에게 필요한 책이 아닐까 생각해 보았다. 정규학교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사람들을, 소양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사회적 성공을 위한 씨앗을 심어주기 위해 어떤 것이 필요한지 고민하였던 찰나에 한 권의 책을 읽게 된다.

책 『교과서의 쓸모』 에는 20가지 키워드가 나온다. 희소성,수요와 공급, 경제원칙 (효율성),기회비용,시장,경제성장률,투자,인플레이션, 경제적 유인,정부 실패, 권력,정치,헌법,기본권,평등권,정의, 규범,권력 분립 (삼권 분립),정치참여,. 국제평화주의이며, 이 20가지 키워드를 제대로 쓸 줄 안다면, 하나의 아이디어가 나의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생각했다. 투자 하나만 보더라도 그러하다.가치와 희소성이 투자의 동기부여가 되고 있다. 어던 재화가 아주 비싸다 하더라도, 그 가치가 희소성을 지닌다면, 가치는 무한대가 될 수 있다. 한정판 책이 꾸준히 출간되는 이유도 그러하다. 명품이 많이 팔린으 이유도 그렇다. 사람의 심리르 관통하고,그것을 재화로 만들어 내는 사람은 부를 창출할 수 있다.

저자는 시장를 권력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것이 어느 정도 이해가 된다. 시장은 인간에게 필요한 것,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느 것이 선택될 수 있고,그 선택된 것의 가치는 점점 커질 수 있다. chatGPT 1억 돌파가 인스타그램 1억 구독 기간보다 짧았던 이유도,chatGPT가 우리가 고민하고 있는 것을 해결할 수 있는 핵심기술이라고 보았다.

즉 성공은 희소성과 가치를 항상 마음에 품고 다녀야 한다.그리고 작은 아이디어 하나를 실행으로 엮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평등,정의, 인플레이션과 관련된 아이디어,겸손이라는 하나의 아이디어가 성공이 될 수 있고, 실패도 될 수 있다. 내가 이 책을 읽고, 무엇을 얻엇고,그 얻은 것으로 무엇을 했는지에 따라서, 내 인생은 얼마든지 바뀔 수 있고,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다. 권력을 쥘 수 있는 자가 부를 얻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험명의 정닥터의 보험 사용설명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 없음씨의 포스트잇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