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전의 민낯 - 겉치레를 죽여야 나라가 산다
허의도 지음 / 글마당 / 2017년 8월
평점 :
품절




그런데 웬걸. 대통령의 파격적 의전해체 행보는 전체 글을 엉키게 할 정도였다. 2016년 6월이었나?그가 네팔의 히말라야 트레킹을 하던 당시 수염 덥수룩한 모습에서 충분히 짐작 가능했다. 잡다한 욕망을 내려놓고 심지어 버릴 줄 아는 그의 시선과 속내 말이다. (-11-)

장관대우급 의전이라고 들어 봤는가?

장관이면 장관이지 '(대우) 급' 은 뭔가 싶을 게다. 그것이 의전에서 필요한 것인 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우리의 잘 나가는 사람들은 늘 남들과 비교하면서 자신의 의전을 따지는 데 익숙하다.

그러니 권력이나 자리의 순위를 먼저 매겨놓아야 한다. (-33-)

의전은 당사자들만 근사함과 편안함을 누리는 행위다. 특히 의전을 받는 최고 책임자가 물 흐르듯 움직이는 것을 굳이 거부할 수 있을까? 의전을 행하는 자도 덩달아 좋다. 좀 더 과장하자면 최고책임자가 거품에서 허우적거리며 짓는 미소에서 묘한 쾌감을 얻는 거다. 드물게도 부수적으로 챙길 '떡고물'도 생겨난다. 그러니 일은 둘째이고 오직 의전으로 조직을 굴리는데 익숙한 모양새다. (-87-)

헌정기념관과 의원회관까지 거리는 300m 남짓.유난히 맑은 날,국회 경관을 감상할 겸 가볍게 걸었으면 좋았을 걸, 그들은 미리 준비된 6대의 대형 버스에 올랐다. 물론 미처 앉을 겨를도 없이 내리기 바빴을 테다.

초선의원들이 도착한 곳은 의원회관 2층 로비.'의원 전용 출입문'을 통해 들어왔다는 비판은 그만 두자. 점심행사장은 3층이었는데 국회사무처 직원들은 엘리베이터를 3대나 잡아놓고 당선자들을 실어 날랐다. (-129-)

회식장소가 고깃집인 경우 최악이다. 우리나라 특유의 고깃집 문화가 또 많은 프로토콜을 만들어 낸다.고기를 굽고 잘라 접시에 올려줘야 하는 게 누구 몫인지 다 알거다. 그러다 보면 고기 한 점 제대로 먹지 못한 채 들어오는 술잔만 들기 일쑤. 그러다 굽는 도중 고기를 여러 번 뒤집었다고 질타가 날아온다. (-176-)

방문 당일,이장희 씨는 부시를 자신의 사장자리로 안내 했다. 그런데 부시의 응답이 인상적이었다."You are the president here!" 여기에선 당신이 사장이라고 사양하며 손님자리에 앉았다. 그러고는 사태 때 24시간 방송으로 한국인의 안전에 기여해 준 점을 감사했다. 우리 같으면 어땠겠는가? 말을 하지 말자. 다만 당시 미국인뿐 아니라 한국교민도 잠시나마 행복했다. (-219-)

특히 그는 수행원 없이 혼자 다니는 것을 고집했다. 국외출장과 나홀로 여행용 가방을 끌고 다니는 경우가 흔하다. '왕의 행차' 처럼 고위임원과 부하직원을 줄줄이 거느리고 다니는 여느 재벌 회장이나 고급 공무원 과는 사뭇 다른 행동 방식이다.이와 관련 삼성의 한 관계자는 "이 부회장이 고교 시절 '라피도' 가방 하나만 매고 다닌 사실은 유명한 일화'라고 했다. (-259-)

의전해체는 실로 힘들다.

그렇다고 지레 포기할 일은 절대 아니고 그래서도 안 된다. 세상에 극복하지 못할 이들이 어디 있겠는가? 비록 의전의 복원력은 상상 이상이지만 아예 굴복해야 할 정도는 아니다,

의전에 무심한 사람이 아직은 많다. 하지만 앞서 맹아론과 새싹에서 본 것처럼 이 생각에 동의하는 사람도 상당수다. 그래서 미약하지만 불씨를 살리려는 시도가 지속되는 거다. 그러니까 불씨를 잘 살려 들불이든 횃불이든 확 타오르게 하면 된다. (-306-)

온통 문재인 대통령의 파격행보가 화제다.

2017년 5월 10일, 임기를 시작한 순간부터 과거와 확 다른 모습을 보인 때문이다.'아무 것도 하지 말고 의전 하나만 해체하라'는 이 책의 메시지를 곱씹자니 성공 예감일 듯하다.

앞서 의전해체의 맹아와 주목할 만한 사례를 썼다. 별것도 아닌 필자의 경험까지 털어냈다. 실행의 상징으로 삼아야 한다는 생각에 삼성 이재용 부회장을 상세히 적기도 했다. 그런데 어떤 것도 대통령의 상징만큼 강력하진 못할 테다."대통령이 저렇게 의전을 뿌리치고 해체하는데 하물며 우리가..." 식 분위기가 만들어질 게 당연하기 때문이다. 바로 밴드왜건 효과 band-wagon effect 에서 이어지는 낙수효과 trickle-down effect 다. (-355-)

허의도 작가의 『의전의 민낯』을 읽은 이유는 대한민국이 의전 공화국이기 때문이다. 공항 의전, 차량의전,엘리베이터 의전 등등 무수한 의전이 있다. 의전에 대해서,봉건사회의 잔재이자 왕정 시대의 유물이라고 말하지만, 21세기 지금도 답습하고 있다. 의전은 격식과 서열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의전이 실행된다. 의정을 착실하게 챙김으로서, 떡고물을 챙길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가진다. 그 떡고물은 권력, 돈, 승진과 같은 눈에 보이는 것들이다. 2017년 문재인 대통령의 의전 해체가 파격적인 이유,그가 평산책방에 있으면서도, 의전을 갖추지 않고, 친서민적인 행보를 보여주는 이유도 그러하다.

하지만 보수 정부의 대통령은 의전을 착실하게 챙겼다. 역대로 지금까지 의전을 꼽씹었으며, 관용차량 뿐만 아니라, 의전 차량을 직접 보내서라도, 과도한 의전이 상식적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2017년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가 수재 복구를 위한 자원 봉사에서, 장화 신는 의전을 친히 보여준 바가 있었다.자신이 장화를 직접 신는게 아니라,수행비서가 저화를 신겨주는 장면이다. 그 장면을 보면서, 홍준표느 손이 없아 발이 없야, 썩소를 보냈다., 체면을 중시하고, 권력지향적이면서, 안하무인인 상태, 그가 보여준 행동은 민심이반을 부추겼으며,보여주기식 수재 복구 자원봉사는 안하느니만 못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있었다.대한민국 재난에 정치인이 오는 것을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도 그렇다.

의전은 정치인의 삶과 엮여 있다. 대통령, 장차관의 과도한 의전이 대표적인 경우다. 여기에는 작 지자체의 의장이 의전을 익숙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관용차량을 시민의 세금으로 교체하는 경우가 대표적인 의전이다. 김무성의 '캐리어 노륵 패스'은 언론에서 희화화되었으며,그 당시 조롱거리의 대표적인 사례로 손꼽힌다.김무성의 노룩패스는 지금까지 정치인으로서 결격이라고 말할 수 있고,그의 정치 생명이 그 순간 끝나버린 이유다. 이처럼 의전이 상식선에서 행해지지 않고,과도한 의전이 나타날 때, 국민의 눈쌀싸를 찌푸리게 한다. 알아서 기어라, 굳이 말해야 아냐, 식으로,대한민국 사회가 지금까지 이어져 왔기 때문이며, 눈치 문화, 체면 문화,격식을 중시하는 사회문화가 대한민국 사회에 만연해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보수 뿐만 아니라 ,진보 정당 쪽에서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 며칠 전, 예천군의 산사태 , 수재로 인해 인명피해가 발생할 때,더불어 민주당 이재명 당대표의 과도한 의전이 있었다. 더불어민주당 경북 도당 당사 사무실 앞에서, 이재명 당대표는 검은 세단에서,내렸고, 그 앞에 경북도당 위원장과 안동에천 지역위원장의 90도 숙인 모습은 의전에 있어서, 보수,진보를 가리지 않음을 여실히 보여주는 하나의 장면이라고 볼 수 있다.즉 사회생활을 잘하려면,의전을 잘해야 한다는 통설이 지금까지 있어왔다. 서열 중심사회에서,의전을 잘하는 사람이 승진을 쉽게 하고, 성공을 남들보다 빨리 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앞에 90도 꺽은 인사를 보여주었던 두 사람의 모습을 보면, 2024년 총선 공천권 확보를 위한 치열한 경쟁,그것이 이재명 당대표를 향한 의전의 목적이었으며,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이후 지금까지 의전해체를 보여준 것과 다른 횡보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정치인에게 과도한 의전은 민심을 잃어버리고, 고위 공무원이나 윗사람에게 눈치보게 되는 촌극이 빗어진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와같다면 2023-07-22 15:01   좋아요 0 | URL
2016년 KTX 플랫폼까지 관용차를 진입시킨 황교안 총리가 떠오르네요ㅋ
전 자가용타고 기차역까지 들어갈 수 있다는 것 자체를 첨 알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