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트렌드 코리아 2015 -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의 2015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14년 11월
평점 :
품절
전부터 읽어봐야 한다고 생각만 하던 트렌드 코리아가 드디어 내 손안에 들어왔다. 그간 바쁘다는 것은 핑계고 귀찮아하고 게으른 성격 때문인지 해마다 놓쳤는데 2015년의 트렌드부터는 차근차근 익혀나가야겠다.
처음 책을 보고 표지의 색이 2015년의 트렌드 컬러겠구나 생각했다. 설렘이 느껴지는 푸른빛이다. 표지를 펴고 목차부터 쭉 훑어 보았다. 목차를 살펴보니 2014의 트렌드부터 간단히 정리되어 있는 것이 보인다. 당장 2015년 트렌드를 살펴보고 싶지만,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말이 생각나 꾹 참았다. 물론 2014년은 이제 다 저물어가고 2015년이 다가오는데 필요 없지 않겠냐는 생각도 들었지만, 과거 없인 현재도, 미래도 없다. 2014년의 트렌드를 살펴보면 2015년에 대한 이해도 더 잘되지 않을까.
자신을 스스로 달래가며 첫 장을 넘겼다.
책을 넘어가며 한 편 재밌기도 하고 또 한 편 스스로 조금 부끄럽기도 했다.
누구보다도 트렌드에 민감해야 할 직업을 가졌는데 내가 전혀 몰랐던 단어들이 톡톡 튀어나오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익숙했던 단어임에도 무심코 그냥 지나쳤던 것들의 의미를 다시 배우게 되었다.
예로 '스웨그'라는 단어. 처음 접한 것이 노래였다. 아이돌 가수의 노래에 나온 단어였는데 무슨 뜻인지 궁금하면서도 그냥 지나쳤던 기억이 있다. 그 이후에 방송에서 여러 번 보게 되었는데 정작 뜻은 모르면서도 그 단어 자체가 익숙해지니 그냥 넘겨버리게 되었다.
이 세상에 '그냥' 존재하는 것들은 없을 텐데, 다 존재이유와 뜻이 있을 텐데 왜 그냥 지나쳤을까. 역시 게으름 때문 아니었을까 하고 반성하게 된다. 이 외에 뜻도 알고 트렌드였음도 알았던 것들에 대해서는 좀 더 깊이 알게 되었다. 어떻게 트렌드로 자리 잡았는지, 그 역할은 무엇이었는지에 대해서도.
지난 트렌드에 대해서 어느 정도 정리가 되고 이제 정말 두근두근 가슴을 뛰게 하는 2015의 트렌드가 보인다.
생소한 것들도 있고 이미 익숙한 것들도 보인다. 내가 새롭게 관심 갖기 시작한 것도 보이니 괜히 뿌듯하고 기분이 좋다.
시대의 트렌드를 읽고 나에게 필요한 방식으로 해석한다면 정말 좋은 '약'이 될 것이다.
딱딱한 트렌드 분석 책일 것이라고 생각했던 건 오해였다. 그 어떠한 소설보다도 쉽게 읽히고 흥미진진하다. 책을 덮은 지금 또 한 번 설렌다. 트렌드를 어떻게 이용할지. 벌써 2015년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