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에 뜬 거울
최학 지음 / 문예사조 / 2003년 11월
평점 :
품절


시란 무엇일까?
항상 생각하고는 한다. 대체적으로 나에게는 시는 어렵다는 느낌을 준다.
나 자신조차 유치하다고 생각하지만, 누군가를 좋아하거나 또는 이별을 하거나 아니면 외롭다거나 고독하거나 갑자기 세상이 아름답게 보인다거나 또는 슬퍼 보인다거나 할 때 시가 떠오른다.
시는 함축적인 언어의 표현이 아닌가 한다.
그래서 읽는 이가 시를 쓴 이의 감정과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면 그 시는 어려워질 수 밖에 없다.
감정이입이 한마디로 어렵다는 이야기다.
나의 감성이 충분하지 않고 냉랭한 상태라면 시에 몰입 되기는 더욱 어려운 것이다.
현재 내가 시를 읽는 이유는 시인이 되고자 함이 아니다.
단지 감성을 훈련하고자 시를 읽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시에 대하여 아는 것이라고는 학창시절 국어 시간에 배운 시들이 다인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시를 대할 때면 항상 어려움을 느끼고는 한다.
하지만, 어떤 시는 단 한번만 읽어 보아도 기억 깊이 남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그런 시를 명시라고 하지 않겠는가?

최 학님의 시집을 읽어 보았다.
바다에 뜬 거울이라는 제목이다.
다른 어떤 장르의 문학 보다 시에 관하여 서평을 쓴다는 것은 개인적으로 곤욕이다.
내가 시에 대하여 잘 알고 논할 수 있는 정도의 문학적 역량이 된다면 좋겠지만,
아는 것이 너무 없어서 섣불리 이야기할 수가 없다.
그건 곧 번데기 앞에서 주름잡는 격이라고 할 수 있으니 말이다.
최 학님의 시집 바다에 뜬 거울은 천천히 읽을수록 그리고 한번이 아니라 읽고 또 읽을수록 의미와 단어가 다르게 느껴진다.
소설책을 보듯이 대충 훑어 보고 만다면 시인의 감성과 작고의 고통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 소절을 읽고 조용히 눈을 감고 작가가 생각하고 느꼈을 감성과 상황을 상상해 본다.


(산상의 종소리
쓸쓸한 고요를 열고

여운이
내 안에 있는 종을 친다

그 여운이
닫혀진 마음을 깨운다)

 

이 시를 읽고 난 후 조용히 눈을 감으면 방문객이 아무도 없는 고즈넉한 산사가 생각 난다.
그 어떤 소리도 들리지 않고 조용히 부는 바람의 시원함과 일상에 지치고 인생에 지친 나 자신이 산사의 종소리를 들으며 마음의 여유와 고독을 느끼는 것이다.
생각만하여도 내 눈앞에 그런 산사가 떠오른다.


(하늘에 빌던 손
다 놓아 두고

남은 고독마저
버리고
바람으로 남아서

풀벌레 소리
적막을 깨우면

호수에 뜬 별
가슴에 담는다)

 

이 시를 읽고 있으면 세상의 더러움에 지치고 지쳐서 구르던 내가 어느 조용한 호숫가에 누워서 밤 하늘을 바라보며 조용히 호숫가의 전경에 취해서 세상 시름을 잊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
성공하리라 다짐하며 세상살이에 치이다가 모든 욕망과 욕심을 벗어 놓고 내가 아닌 내가 되어 호숫가에 누워 있으면 호수에 뜬 별이 보이고 그 별이 내 가슴에 담길지도 모를 일이다.


아마도 고독이나 버림에 관한 시가 내 기억에 더 오래 각인 되는 걸 보면 아마도 지금 나의 심리상태가 쉬고 싶다. 또는 조용하고 나 자신을 성찰하고 자연 만물과 하나가 되는 그런 상태를 원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사랑을 하면 사랑에 관한 시가 가슴에 박히고 이별을 하면 이별에 관한 시가 마음속에 들어오듯이 말이다.
아직은 감성훈련도 부족하고 시에 대한 나의 앎도 짧아서 최 학님의 시에 대해서 실례를 하지 않았나 하는 조심스러움도 생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