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리새 - 상 - 나무를 죽이는 화랑 ㅣ Nobless Club 8
김근우 지음 / 로크미디어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 피리새의 모티브가 된 것은 바로 바리데기 설화이다. 이미 황석영 작가의 바리데기라는 소설로 독자들은 바리데기 설화에 대해서 충분히 알고 있을 것이다. 아주 멋 옛날 한나라의 왕과 왕비는 공주를 여섯이나 낳았고 일곱 번째 공주가 태어나자 그녀를 강에다가 버리게 된다. 세월이 흐르고 왕은 알 수 없는 병에 걸리고 공주 중 한 명이 저승에 가서 모든 병을 치유할 수 있는 신수를 구해와야 한다. 그 어떤 공주도 저승에 가려고 하지 않자 왕비는 버린 일곱 번째 공주 바리데기를 찾게 되고 그녀는 부모를 원망하지 않고 저승으로 향해 신수를 구해와 왕과 왕비를 구한다는 설화이다. 작가 김근우는 아주 맛나게 바리데기 설화를 모티브로 해서 피리새라는 한국형 판타지를 다시 펴냈다. 큰 줄기의 내용은 바리데기와 비슷하지만 피리새는 바리데기와 또 다른 독특함을 가지고 있다. 바로 한국 설화나 신화에 자주 등장하는 인물들이 등장하고 또 단어들이 우리나라 고어나 순수 한글이 많이 나온다. 처용,주몽,그리고 무당설화와 바리데기 공주 설화,무당의 시조인 오구신의 이야기까지 등장한다. 솔직히 나는 이 피리새라는 소설이 2권으로 끝나 버리는 것이 너무나 아쉽다. 중,고등학생들이 좋아하는 판타지나 무협소설 같이 10권정도 나왔으면 좋았을 텐데...라는 생각이 들었다.
세상 어떤 부분이든 주류와 비주류는 항상 존재하기 마련이다. 빛이 있으면 그림자가 있듯이 문학에서도 주류와 비주류가 있다. 어떤 문학이 진정한 문학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꼭 노벨 문학상이나 혹은 국내에서 각종 상을 받는 사람들이 쓴 소설을 주류라고 할 수 있는지 아니면 단지 베스트 셀러가 주류라고 할 수 있는지는 모르겠다. 전부 개인적인 주관에 맡길 수 밖에 없지 않는가? 경계문학이라는 장르에서 나온 소설인 피리새... 피리새는 한국형 판타지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형 판타지의 시초는 아마도 이우혁씨의 퇴마록이 아닌가 한다. 나도 중,고등학교 시절에 퇴마록에 푹 빠져 살았던 적이 있었다. 물론 책을 많이 읽고 나이가 들면 들수록 판타지 소설은 비주류로 밀려날 수 밖에 없다. 무엇보다도 문학을 전공하고 문학으로 먹고 사는 사람들이 아닌 어떻게 보면 아마추어라고 하는 사람들이 쓰는 소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책의 재미와 책의 세계를 열어준 퇴마록은 아직도 잊을 수 없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냥 판타지가 아니라 한국형 판타지라는데 있다. 충분히 자료를 준비하고 고증하고 설화나 신화를 모아서 우리나라 사람에게 맞는 소설을 쓴 것이 가장 큰 의의라고 할 수 있다. 사람들은 맹목적으로 유명하거나 또는 난해한 글이 우수한 글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 이것 또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어떠한 글이든 나 자신에게 득이 되는 문학이 가장 좋은 문학이 아닌가 한다. 내용의 무게가 어떻든 또 배울게 있든 없든 내가 즐거우면 되는 것 아닌가? 그런 의미에서 피리새는 오랜만에 본 좋은 소설이 아닌가 한다.
바람의 마도사라는 소설로 한국 PC통신 및 판타지 소설의 시초라 불리는 김근우 작가는 이야기를 풀어내는 재주가 있다. 물론 학창시절 판타지나 무협소설을 접해 보지 못한 사람은 대화체나 단어들이 익숙하지 않아서 좀 곤란할 수 있다. 판타지 소설이 가지는 최고의 장점은 바로 작가가 마음먹은 대로 이야기를 펼칠 수 있다는 점이다. 어떤 용어를 쓰던지 스토리가 어떻게 진행이 되던지 작가의 의도대로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그렇다고 글 쓰기에 대해서 전혀 공부하지 않고 독자의 입장을 전혀 생각하지 않는 소설은 그 누구에게도 읽히지는 않겠지만 말이다. 소설 피리새는 한국형 판타지인 만큼 굉장히 친숙하다. 어떻게 보면 정말 옛날에 이런 일이 있을 수도 있었겠다. 라는 생각이 들 정도다. 피리새라는 아이가 공주가 되고 또 수많은 역경을 헤쳐나가는 것과 가람이라는 화랑이 피래새를 보호하며 벌어지는 일들이 굉장히 친숙하다. 나도 글에 대해서 전문적으로 공부한 사람이 아니라서 문체라든지 단어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다. 앞으로도 어느 작가가 될지는 몰라도 한국 설화나 신화를 바탕으로 한 판타지 소설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 해리포터도 좋고 반지의 제왕도 좋지만 우리에게 친숙한 우리나라 판타지가 좀더 많이 나왔으면 하는 것이 나의 개인적인 바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