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을 걷다 - 2009 경계문학 베스트 컬렉션 Nobless Club 11
김정률 외 지음 / 로크미디어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로크 미디어의 경계문학 베스트 컬렉션 "꿈을 걷다"는 바로 나와 같은 아마추어도 작가가 될 수 있다는 희망의 책이다. 그리고 그 작가가 상상하는 어떤 이야기도 형식이나 주제에 얽매이지 않고 이야기를 풀어 나갈 수 있는 그런 책이다. 12명의 작가가 13가의 색깔의 이야기를 단편으로 풀어낸다. 물론 경계문학이라는 특성상 판타지나 무협적인 요소가 대부분인 것은 사실이다. 일반적인 소설을 좋아 하시는 분들은 조금 거리감이 느껴질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학창시절 무협소설이나 판타지 소설을 좋아 했던 사람이라면 오랜만에 향수에 빠지게 될 것이다. 나도 학창시절 만화,무협,판타지 소설을 남 못지않게 즐겨 봤던 사람이다. 중국 대하무협소설인 영웅문 이라는 소설이 내 인생에서 가장 감명을 받은 장편이라고 이야기 할 정도이고 이제까지 5번 이상은 봤었던 것 같다. 볼 때마다 그 감동이나 느낌이 틀렸었다. 우리나라는 특히 문학을 전공하거나 혹은 형식이나 주제가 빗나가면 소설가로서 인정을 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바로 판타지 혹은 무협소설 작가들이 그런 대우를 받는다. 그들은 작가로서의 명예를 얻지 못한다. 하지만 세월이 변함에 따라서 그 흐름도 변하고 있다. PC통신 시절부터 인터넷 세대에 이르기까지 경계문학 작가들은 엄청난 팬들을 확보하고 있다. 일반 사람들은 전혀 관심이 없어서 모르지만, 특히 학생들에게 그 작가들은 동경의 대상이며 팬클럽을 형성할 정도로 인기가 좋다. 나도 경계문학을 정확히 논하기 어렵지만 아마도 기존 작가들에게 소외 받는 장르의 글을 경계문학이라고 하지 않을까?


"꿈을 걷다." 에는 13가지 이야기가 나온다. 그 중에서도 흥미와 짜임새 그리고 주제가 독특했던 몇 편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고자 한다.
민소영 작가의 꽃배마지는 바리데기 설화와 비슷한 느낌이 든다. 일반 판타지나 무협소설과 달리 한국형 설화를 그려 냈다는 점에서 찬사를 보내고 싶다. 단편이라서 조금 아쉬운 감이 있지만, 꼬맹이 시절 할머니가 들려주던 옛날 이야기 같다. 역시나 현 시대의 트렌드에 맞게 해피엔딩이 아닌 점이 마음 아프게 하지만 그 결말이 더욱 긴 여운을 남긴 듯 하다.
윤현승 작가의 인 카운터는 주제가 아주 독특하다. 판타지적인 요소보다는 SF단편 영화를 한편 보는 듯 하다.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여행자와 그리고 간절히 인연을 원하는 사람에게 그 인연의 닿도록 해주는 카운터의 여 종업원과 그 인연을 빨리 당길 수 있는 모래시계. 주제와 이야기 진행 방식이 독특해서 기억에 오래 남았다. 나름의 반전이 기대 이상의 재미를 선사하기도 했다.
이재일 작가의 삼휘도에 관한 열두 가지 이야기는 다른 일반 팩션 소설과 비교해도 손색이 전혀 없다. 이야기의 주제와 구성 그리고 진행 등이 매끄러우며 특히 기존의 정통 무협에서 등장하는 장소 인명 또는 무술과 병기들의 이름과 비교하여 전혀 어색하지 않고 자연스럽다. 쉬운 말로 좀 허접한 무협 소설은 주인공의 이름부터가 어색하기 짝이 없다. 판타지도 무협 소설도 읽어 보면 정말 아마추어와 오랜 기간 집필해 온 작가의 실력은 차이가 난다.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한 삼휘도에 관한 열두 가지 이야기는 오랜만에 정통 무협을 보는 것 같아 즐거웠다. 단지 단편이라는 아쉬움만 남았을 뿐이다.
진산 작가의 두 왕자와 시인 이야기, 그릇과 시인 이야기는 애니화 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다. 오히려 만화나 단편 애니로 나왔으면 하는 바램이 생길 정도다. 이야기의 내용은 책 읽는 독자를 위해서 쓰지 않겠지만....흔할 수도 있는 주제로 재미나게 풀어내는 솜씨가 일품인 것 같다.


사람마다 좋아하는 책의 장르는 다르다. 하지만, 자기개발서를 읽고 또는 고전을 읽는 다고 모든 사람에게 좋은 양분이 되는 것은 아니다. 내가 읽고 즐거워야 하며 또 가슴에 와 닿아야 한다는 것이다. 감동이 없는 책은 읽으나 마나 한 것이다. 남이 읽는 다고 따라 읽을 필요도 없으며 유식해 지려고 책을 읽을 필요도 없다. 모든 책은 나를 위한 것이다. 나에게 독이 될 책이면 차라리 보지 않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것도 지극히 나의 개인적인 생각이다. 로크 미디어의 도전에 박수를 보내고 싶다. 사람이 꼭 노벨 문학상 또는 각종 명예를 얻는 작가가 될 필요는 없지 않는가? 독자와 함께하고 즐거움을 나누는 문학도 필요한 것이다. 그렇게 세상은 주류와 비주류가 조화를 이루면서 돌아가는 것이다. 일본에는 판타지 소설이 각광을 받고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는 무시를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누구나 작가의 꿈을 꿀 수 있는 시대가 얼른 왔으면 좋겠다. 좋은 소설과 그렇지 못한 소설의 구분은 독자의 몫으로 남기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