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지어 한국말에까지 흘러들어와 ‘왕도‘,‘비가 오나 눈이 오나‘등의 관용적 표현으로 쓰이고 있다. - P289

다리우스 황제는 세계 최초로 고속도로를 놓았다. - P289

미국에서는 대학교 2학년 학생들을 ‘조금 더 안다고 거들먹거리는 학년‘이라고 해서 ‘지식‘이라는 뜻의 ‘sophia‘와 ‘더‘라는 뜻의 ‘more‘를 합쳐 ‘sophermore‘라고 부른다. - P291

그래서 마약 이름들은 은근히 수준 높은 어원에서 나온 경우가 많다. - P294

인간의 본성은 이기적이므로 아무리 착한 사람일지라도 결정적인 이익 앞에서는 자기부터 챙기게 되어 있다. - P296

그래서 지식이라는 창을 막아주는 방패는 그보다 더 높은 지식일 뿐임을 역사는 가르쳐준다. - P296

사람들이 점점 죽음조차 두려워하지 않고 더 거센 반란을 일으키자, 로마 황제도 어쩔 수 없이 그리스도교를 국교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 P299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데에는 ‘로고소‘와 ‘페이소스‘가 있다고 했다. - P300

그렇게 자라서 공학을 공부하고 기술자가 되다 보니 어릴 때 읽은 고전이나 다양한 독서에서 기발한 아이디어들이 나오는 것은 당연했다. - P308

오늘날도 ‘Do I bug you?‘처럼 ‘bug‘를 동사로 쓰면 "내가 널 찜찜하게, 신경쓰이게 하니?"라는 의미가 된다. - P315

그래서 항상 자기를 이기는 망태기 괴물 ‘bug+man‘, 즉 ‘bogeyman‘이 있는 것 같다고 해서 골프에서 파를 치지 못하고 정해진 타수를 하나 넘기면 bogey라고 외치게 되었다고 한다. - P316

그러나 고전에서 길을 찾는다는 막연한 충고를 여과 없이 받아들이는 것은 위험하다. - P324

죽음을 피하는 것은 쉽지만, 정의를 선택하는 것은 어렵소 - P327

많은 사람들이 모여 서로 ‘내가 옳소‘라며 치열하게 싸우는 것이 바로 인문학의 근원이라는 이야기다. - P328

하지만 민주주의는 원래 어지러운 것이 정상이고 ‘apo-logos‘, 즉 ‘나도 한마디‘할 수 있을 때 민주주의가 제대로 이루어져 나라가 강해진다는 것을 이미 수천 년 전의 아테네가 확실히 보여주었다. - P329

사람이 현명해지기까지는 몇 개의 단계가 있다고 한다. 첫 단계는 ‘내가 누구인가?‘를 깨닫는 것, 다음 단계는 ‘남을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를 깨닫는 것, 마지막으로 가장 높은 단계는 ‘어떻게 하면 정의로운 사회를 구현할 수 있을까?‘를 생각하는 것이라고 한다. - P330

로마의 귀족들은 왕의 독재가 너무 심해지자 왕 없는 일종의 민주국가를 세우려고 혁명을 일으켰다. 그 결과 탄생한 것이 ‘공화정‘이다. - P333

단어의 역사야말로 인간 지식이라는 복잡한 지식 그물망의 실마리다. - P335

미지의 것을 이해하고 내 이성으로 정복하려는 욕심이 바로 인간과 동물의 차이다. - P3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요한 것은 바쁘다는 것 자체가 아니라 ‘무엇을 하느라고 바쁜가?‘이다. - P5

그래서, 고대의 리더들은 뿔뿔이 흩어지려는 사람들을 신화와 역사로 한곳에 모아 부족, 도시, 더 나아가 제국을 만들어 ‘함께 일하는‘ 노하우를 개발해 지금까지 발전시켜왔다. - P7

자기 비즈니스를 해야 하는 사람들은 이런 지식들을 반드시 알아야 하는 기본 지식이라고 해서 ‘자유기술liberal Arts‘, 즉 인문학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 P7

친숙하게, 때로는 위압적으로 대할 수 있는 ‘감‘을 가진 사람들이 많다. 인문학은 바로 이런 ‘감‘을 길러주기 위해 생긴 학문이다. - P8

조직원 중 단 한 명의 상징적 행동이라도 조직 전체의 프라이드를 고취시킬 수 있다는 점은 그가 남긴 중요한 교훈이 아닐 수 없다. - P25

정면돌진을 뜻하는 이탈리아어 prode가 자부심을 뜻하는 영어 pride로 발전했을 정도로 조직에 대한 프라이드에 있어서는 그 누구도 중세 기사들을 따라잡을 수 없었다. - P27

elite란 말 그대로 elect, 즉 뽑힌 사람을 뜻한다. - P33

오늘날까지 보라색을 영어로 purple이라고 하는데 바로 타이르의 푸르푸라 조개에서 나온 색이기 때문이다. - P36

울트라(끝) 마린(바다)이라 부를 정도로 구하기 어려웠다. - P37

고생을 많이 할수록 고생한 것에 대해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려는 특성이 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 P47

‘은어‘를 영어로 ‘argot‘이라고 한다. - P53

이 조직들은 경찰에게 범죄를 숨기기 위해 자신들만의 특이한 언어를 사용했는데, 이렇게해서 생긴 언어가 바로 파리 도둑들의 언어인 argot이다. - P55

student는 에뛰앙 etudiant, 캐슬castle은 샤토chateau가 된 것이다. - P56

프랑스는 사람들이 국가에 대한 자부심과 충성심을 갖도록 하게 한 주요 촉매제로 언어를 사용한 것이다. - P57

위기 상황을 영어로 crisis라고 한다. 교차로를 뜻하는 영어 cross와 사촌 단어이며 둘 다 ‘결정하다‘라는 뜻을 가진 고대 그리스 단어에서 왔다. - P64

마키아벨리는 "인간이라는 것은 변덕스럽고, 가식적이고, 욕심 앞에 눈이 멀어 있다."라는 말을 남겼다. - P71

워싱턴은 대통령 재선까지 한 후, 사람들이 아직은 아쉬워할 쯤에 은퇴를 했다. - P7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이론에 따르면 결국 모든 인간은 자신의 반을 포기하고 나머지 반쪽만으로 인생을 살고 있는 것이다. - P198

밑그림을 뜻하는 단어 ‘dessin‘도 여기서 나왔다. - P201

‘kitsch‘는 어떤 예술의 디자인 철학이나 창의성에 대한 이해 없이 겉모습만 베낀 싸구려 모조품, 또는 손으로 정성스럽게 만들던 고급 물건을 겉모양만 흉내 내 기계로 마구 찍어낸 것을 비꼬는 단어로 널리 쓰였다. - P208

앤디 워홀은 왜 아름다움의 기준이 꼭 고전에 해박한 유럽 귀족 몇 명에 의해 좌우되는가가 불만이었다. - P209

예를 들어 샐러리맨, 키 홀더, 모닝 콜, 호텔 프론트 같은 말인데, 영미 본토에는 없는 이런 일본식 영어 단어들을 오늘날 우리나라 사람들도 쓰고 있다. - P211

지금 우리는 ‘orchestra‘를 ‘관현악단‘을 뜻하는 단어로 알고 있는데, 이는 실제로 공연장 무대 앞에 푹 파인 공간을 말한다. - P211

원래 ‘눈속임‘을 뜻하던 ‘prestige‘는 ‘위상‘,‘위신‘을 뜻하는 단어로 변하게 되었다. - P217

권력과 거짓말을 옛날부터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였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 아닐까? - P218

‘모래 덮인 해안‘이라고 해서 ‘sand+beach‘, 즉 sandwich라고 불렀다고 한다. - P220

쿡 선장의 일지를 통해 ‘tapu‘를 ‘taboo‘라는 영어로 만들어 ‘어떤 깊은 종교적, 도덕적인 이유로 함부로 입 밖에 내는 것마저 금지되어 있는 것‘, 즉 시체 훼손, 수간, 근친상간 등 사회적 절대 금기를 뜻하는 단어로 쓰이게 되었다. - P222

기업들은 돈벌이를 위해 뜨개질 조끼에 ‘카디건‘이라는 이름을 붙여 마구 찍어냈다. - P231

옛날에 프리랜서는 돈 받고 전쟁을 대신 치러주는 용병 집단이었다. - P232

원래 군대는 빵(pan)을 같이(cum)먹는다‘고 해서 cum+pan+ia‘, 즉 ‘company‘라고 불렸다. - P234

‘free company‘와 중세시대 군인을 세던 단위인 ‘lance‘를 합쳤으니 완벽한 표현이었다. - P235

‘spicy ham‘이라고 불렀는데, 이를 줄여서 ‘SPAM‘이 되었다고 한다. - P237

중세 체코 말로 ‘노비‘를 뜻하는 ‘robot‘이라는 단어가 나왔다. - P241

‘robot‘앞에다 a를 붙이면 ‘arbot‘이 ‘arbeit‘, 즉 아르바이트가 된다. 아르바이트의 원래 의미가 ‘노비가 하는 일‘이라는 뜻이므로 저임금 비정규 노동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을 것이다. - P241

‘croissant‘은 원래 음악시간에 ‘점점 세게 연주하라‘라는 뜻으로 배운 이탈리아어 ‘crescendo‘의 프랑스식 발음이다. - P248

"르네상스 시대의 이탈리아는 30년 동안 전쟁, 테러, 살인의 피비린내 나는 역사를 겪었다. 그러면서도 미켈란젤로, 다 빈치를 길러내고 르네상스에 앞장섰다. 반면에 스위스에서는 형제애가 넘쳐나 500년 동안 민주주의와 태평성대를 누렸다. 그래서 세상에 남긴 게 뭐냐? 뻐꾸기 시계?" - P251

‘pay‘는 원래 평화, 즉 peace를 뜻하는 라틴어 pax에서 나왔다. - P252

당시에는 동네 사람들 사이에서 평판이 좋을수록 어려움에 처하면 언제든지 도움을 받을 수 있어 평판이 곧 재산이었다. (학생들 지도시 활용!!) - P253

프랑스 옛말에 ‘계산이 반듯하면 우정도 반듯하게 간다‘라는 말이 있다. 돈을 서로 명확하게 주고받는 것은 매정한 것이 아니라 좋은 인간관계의 기본이란 뜻이 되겠다. - P255

‘마을을 지키다‘를 뜻하는 ‘sero‘에서 ‘hero‘가 나와 ‘영웅‘이라는 의미로도 쓰인다. - P258

‘오노스‘ 앞에서 당당한 것‘이라는 뜻인 ‘honor‘는 ‘용기‘, ‘투지‘, ‘정직‘, ‘사회적 평판‘을 동시에 뜻하는 단어가 되었다. - P260

오늘날까지 미군에서는 군대의 가장 낮은 계급인 이병과 일병은 ‘private‘이라고 부르는데, 국가에서 운영하는 군 조직의 일부로 보기에는 너무 사사로운 존재들이라는 뜻으로 봉건시대에 붙여 준 이름을 그대로 쓰는 것이다. - P264

그 증거 중 하나가 두 민족의 문화 모두 계급 차별이 엄격했다는 것이다. - P275

사실 서양인들의 계급 차별 의식은 오늘날까지 언어 속에 뿌리 깊이 남아있다. - P276

예를 들면, 남을 괴롭히는 ‘나쁜 사람‘을 뜻하는 ‘mean‘은 원래 고기를 중간 정도 굽는 것을 뜻하는 ‘medium‘과 사촌 단어다. - P276

‘ordinary‘는 ‘규칙‘을 뜻하는 ‘order‘에서 나온 말인데 이에 따르면 ‘extraordinary‘는 ‘규격에 안 맞는 사람‘이라는 말이다. 우리나라에선 욕으로 쓰일 법한 표현이지만 영미에서는 극찬으로 쓰인다. - P277

discriminating이라는 영어 표현의 숨은 뉘앙스는 ‘식견이 높다‘이고, ‘고르다‘라는 뜻ㄷ의 ‘choice‘가 ‘choice meat‘처럼 형용사로 쓰일 때는 ‘나쁜 것은 다 걸러내고 질 높은 것만 따로 골라놨다‘는 뜻이다. - P277

우리가 부러워하는 서양인들의 ‘개성‘은 알고 보면 우리가 가장 싫어하는 ‘인간 차별‘에서 나온 셈이다. - P277

새롭고 유명한 것이라면 비판 없이 무조건 받아들이는 요즘 세상을 보면 그들의 클래식한 주장에도 일리는 있다. - P278

프랑스 철학자 데리다 같은 사람은 ‘언어를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는 한 민주주의는 실현될 수 없다‘는 주장을 펴 주목받기도 했다. - P279

방정식으로 문제를 푸는 방법을 알-코리즈미의 이름을 따서 ‘algorism‘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 P286

그래도 지식은 인간이 사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것이기 때문에 누군가가 알게 되면 공기처럼 퍼져나간다. - P287

지식의 홍수 시대에 허우적거리는 우리는 오히려 지식을 귀찮아하는데 마지의 이야기는 ‘초심으로 돌아가 공부의 소중함을 알라‘는 일침을 놓는다. - P2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치원을 아이들(kids)을 기르는 정원(garden)이라는 의미에서 ‘kindergarden‘이라고 부른다. - P159

사람들은 삶의 지혜를 먼 곳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 찾는다. - P159

프랑스 동부 샹파뉴(Champagne)라는 지역에서 만든 와인만 샴페인이라고 지칭한다. - P160

샴페인이라는 단어가 단순히 ‘시골‘ 또는 ‘밭‘을 뜻하는 라틴어 ‘캄파니아‘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 P162

캄파니아는 ‘campus‘지역을 뜻한다. 이것은 대학 캠퍼스가 아니라 라틴어로 ‘평야‘를 뜻하는 단어다. - P162

작전을 전개하는 것은 ‘campaign‘캠페인이라고 불렀다. - P162

땅에서 태어난 우리는 땅으로 돌아가는 삶을 사는 셈이다. - P163

일반인들이 쓰는 언어를 ‘로만식 평민어‘, 즉 ‘로맨스 언어‘라고 불렀다. - P168

유럽 최초의 전문 엔터테이너였던 이 이야기꾼들을 사람들은 ‘트로바도르‘라고 불렀다. - P168

‘예술이 인생을 흉내 내는 것 이상으로 인생도 예술을 흉내 낸다.‘ - P170

‘person‘이 원래 무대장치의 이름에서 나왔으니 말이다. - P170

드라마는 원래 고대 그리스 사람들이 교육적인 목적으로 만든 것이었다. - P171

그리스 사람들은 심지어 실제 인생 경험보다 연극을 통해 배움을 더 높게 쳤다. - P172

드라마의 원래 의미는 ‘몸소 보여주는 교육‘인 셈이다. - P172

시골 서민들의 소박한 삶 속에서 나온 춤,, 노래, 어린 아기가 잠들기 전에 할머니가 들려주던 옛날 이야기, 지푸라기를 모아 농민들끼리 초가집 같은 것을 손수 짓는 대대로 내려온 실용적 지혜 따위라고 주장했다. - P178

독립운동가들은 귀족 문화보다는 초가집, 절구통, 강강술래, 아리랑 같은 포크 문화에서 한민족의 혼을 찾으려 했으며... - P180

이들은 보기보다 감수성이 예민해서 세상에서 가장 사랑받는 악기 중 하나인 바이올린을 발명했으니 사람을 겉만 보고 평가할 일은 아니다. - P182

원래 바이올린이 유목민들이 무기로 가지고 다니던 활 두 개를 비벼서 소리를 내던 것에서 유래하기 때문이다. - P182

몸을 튜닝하는 물이라고 해서 tonic이라고 불렀다. - P183

보헤미아는 체코의 옛 이름이므로 보헤미안은 곧 ‘체코 사람‘이라는 뜻이 된다. - P184

역시 사람의 창의력은 다른 사람의 험담을 할때 최고로 발휘되는 모양이다. - P185

로마인들은 현지인들이 ‘뮤제이온‘이라고 부르던 이 학교의 이름을 로마식 발음으로 바꾸어 ‘뮤지엄‘이라고 불렀는데, ‘뮤즈의 신전‘이라는 원래 뜻은 무시하고, 라틴어로 ‘예술학교‘라는 뜻으로 사용했다. - P191

원래 ‘뮤지엄‘이 그리스 예술의 신들이니 뮤즈의 신전이어서 그렇다는 것을 알아두면 이해하기가 조금은 쉬워질 것이다. - P192

즉, ‘스스로 무엇인가를 선택하고 행동하는 것이 바로 영혼이다.‘가 아리스토텔레스가 쓴 이 길고 지루한 책의 결론이다. - P196

아리스토텔레스는 영혼, 즉 ‘아니마‘가 있어 스스로 행동을 결정할 수 있는 생명체를 ‘animal‘, 즉 동물이라고 불렀다. - P196

Celluloid Animation Technique 또는 줄여서 ‘셀 애니메이션‘이라고 불렀다. - P196

‘이상형 이론‘은 스위스의 심리학자 칼 융이 라틴어로 ‘영혼‘을 뜻하는 단어인 아니마를 응용해 만든 ‘아니마-아니무스anima-animus‘이론에서 나왔다. - P1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처럼 현실과 상상은 서로 손을 잡고 빙글빙글 춤을 추는 것이 아닐까? - P130

더 나은 곳을 찾아 떠나고 싶어 하는 인간의 본성이 만들었다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 P116

신문에서는 주제에 따라 정치, 사회 등 여러 파트로 ‘잘라놨다‘고 해서 섹션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 P95

그들의 매머 있는 말투와 제스처에는 ‘죽기 싫으면 절대로 선은 넘지 마라‘는 경공 메시지가 들어있다는 점을 주의 깊게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 P135

베틀에서 짠 옷감을 말하는 단어인 textile이 교과서를 뜻하는 textbook으로 발전했다. - P138

뭔가를 뚝딱뚝딱 만든다고 해서 ‘집 짓는 것‘을 ‘tek‘이라고 했다. - P142

단어에 읽힌 역사를 알면 세상에 진짜 추상적인 단어라는 것은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 P1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