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로 이야기 1 - 세 어머니
시모무라 고진 지음, 김욱 옮김 / 양철북 / 2009년 4월
평점 :
인간이란 존재는 참 오묘한 존재입니다. 더불어 살아가면서 더불어 커가는 존재, 그래서 한 인간이 성장하는 데 있어서 참으로 많은 영향들을 직간접적으로 받으면서, 인간으로서 성숙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이 글의 주인공 지로처럼 말이지요.
이 글의 주인공 지로는 살아가면서 어찌보면 다른 이들보다 더 많은 사람들을 만나게 되고,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 같습니다. 상처가 많은만큼 성숙해지는 것도 더 많다고 해야 할까요?
원숭이 같은 그의 외모 때문에, 그리고 어릴 수록 학교 옆 좋은 환경에서 커야한다는 엄마의 교육열 때문에 지로는 양자로 가게 됩니다. 비좁은 교지기 집에서 양자로 있으면서 지로는 엄마의 기억도 희미해지고, 오히려 유모인 오하마를 엄마로 생각하게 됩니다. 가끔 엄마가 집으로 지로를 데려오지만, 본가의 할머니나 동생들은 지로를 타인 대하듯 하고 할머니는 공공연하게 미워합니다. 물론 엄마도 지로를 탐탁치 않게 생각합니다. 그래서 더더욱 가고 싶어지지 않았던 본가지만 결국 지로는 집으로 돌아갑니다. 다행히 아버지인 순스케는 지로를 이해하고 지로의 마음을 읽어주십니다. 유일하게 지로가 맘을 여는 상대가 된 것이지요. 할머니와 어머니는 지로를 참으로 싫어합니다. 특히 할머니는 맛있는 과자가 생기면 지로의 형과 아우만 몰래 데리고 가 나누어줍니다. 지로는 천덕꾸러기고 미움받는 존재가 된 것이지요. 그런 상황을 보다 못해 외가의 할머니, 할아버지는 지로를 데려가서 키우기로 맘먹고 데리고 가십니다. 그리고 거기서 비로소 지로는 좀더 편안한 마음으로 생활을 하게 됩니다. 물론 완벽한 편안함은 아니었지만 말입니다.
이외에도 지로에게 있어서 비뚤어지게 나갈 만한 상황은 참 많았습니다. 그러나 그럴 때마다 지로를 한 켠에서 무의식적으로, 의식적으로 잡아주었던 것은 아버지 순스케의 사랑, 마사키 할아버지, 유모인 오하마의 사랑, 그리고 곤다와라 선생님의 말씀이었습니다. 이 글을 보면서 다시 한 번 생각한 것은 나의 말 한마디가, 나의 관심 하나가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상처가 되기도 하고, 상처를 치유시키는 약이 되기도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비록 엄마의 비뚤어진 교육열과 할머니의 차가움이 아이에게 상처로 남아 늘 누군가에게 사랑을 갈구하고, 늘 마음 한 켠이 혼란스럽게 자라났다면, 순스케의 위로와 관심, 오하마, 마시키 할아버지, 곤다와라 선생님의 사려깊은 말 한 마디 한 마디가 그런 지로에게 더 넓게 사랑하고 포용하고 인생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게 하는 약이 된 것이지요.
정말 다행스러웠던 것은 지로의 엄마와 지로가 화해했다는 점이었습니다. 지로의 엄마는 심한 폐병으로 외가에 와서 요양을 하게 되었는데, 그러면서 지로와 쌓지 못했던 정을 쌓게 되고, 지로에게 심하게 대했던 자신에 대해 뉘우치게 되지요. 또 그런 시간이 지로에게는 엄마와 함께 한 시간이었고, 엄마의 사랑을 느끼게 해 준 시간이었고요. 더불어 형인 교이치가 점점 동생에게 마음을 열고 우애깊게 지내는 장면이나, 만년필을 할머니 몰래 지로에게 선물로 주는 장면은 참 뭉클했습니다. 우애가 회복되고, 점점 지로가 본가에도 마음을 붙여가게 되는 것도 참 다행이었습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 막힌 담이 있다는 것만큼 불행한 일은 없지요. 특히 가족간에 그렇다면 더더욱 말이지요.
굴곡이 많은 어린 시절을 보내면서, 이제는 자신의 상처에 연연하는 것이 아니라 상처까지도 감싸안고 포용할 수 있는 그런 지로로 멋지게 변하는 모습을 보니 정말 자랑스럽기도 하고 이후의 지로의 모습이 어떨까 매우 궁금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