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가신 사랑 나쁜 사랑 3부작 1
엘레나 페란테 지음, 김지우 옮김 / 한길사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엘레나 페란테의  『성가신 사랑』은 나쁜 사랑 3부작 중 1권이다.
'나폴리 4부작'으로 유명해지기 전, 1999년에 발표된 그? 그녀?의 첫 소설이다.
나쁜 사랑 3부작도 나폴리 4부작처럼 여전히 '여성'을 이야기하고 있다.

너무나 강렬한 첫 문장.
<5월 24일 밤, 어머니는 물에 빠져 죽었다. 그날은 내 생일이었다.>
델리아는 어머니의 갑작스러운 자살 소식으로  어머니의 흔적을 찾아서 나폴리로 돌아간다.

첫 작품이기 때문인지 미스터리한 장치들로 좀 읽는 내내 혼란스러운 느낌이 강했다.
그러나 이렇게 혼란스럽게 써 나갈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었다.

바로 델리아가 어머니의 흔적을 찾아가면서 마주하게 되는 자신의 어린 시절이 바로 그곳, 
나폴리에 있는 어린 델리아를 대면하게 된다.

의처증으로 보이는 아버지와 분리불안 증세를 보이는 델리아.
어린 델리아가 어머니 아말리아에게 갖고 있었던 동경심과 열등감은 엉뚱한 거짓말을 아버지에게 하는 바람에 아말리아에게 불똥이 튀게 된다.

이 책을 읽은 당신에게 묻고 싶다.
"그래. 그냥 어린아이의 거짓말이었어."라고 할 수 있을까?
도대체 그런 거짓말을 어떻게 할 수가 있지?
어린 델리아는 어떤 심정이었을까?
아니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라고 해야 할까?
트라우마?
글쎄다. 나는 어린 델리아를 이해할 수 없었다.
옮긴이는 뒤틀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과연 그것뿐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줄레이하 눈을 뜨다 <5+5> 공동번역 출간 프로젝트 3
구젤 샤밀례브나 야히나 지음, 강동희 옮김 / 걷는사람 / 2020년 9월
평점 :
절판



새로운 것, 투성이다.

러시아문학하면 도스토옙스키나 톨스토이 밖에는 생각나지 않았다.

하지만 이젠 야히나를 기억할 것이다.

새롭게 알게 된 야히나 작가의 <줄레이하 눈을 뜨다>는 박경리 세계문학상을 수상한 류드밀라 울리츠카야 작가의 서문으로 시작한다.

이렇게 해서 또 새롭게 알게 된 박경리 세계문학상과 울리츠카야 작가의 작품에 눈길이 가는 것은 당연하다.

이 작품은 화려한 수상 경력을 자랑한다.

2015년 러시아의 문학상으로 'BIG BOOK', '톨스토이 문학상, '올해의 책'에 선정되었고, 2017년 '독자의 상'을 수상했다.

유배문학의 한 작품으로 러시아 부농 추방 운동의 일환으로 행해진 시베리아 강제 이주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열다섯에 열다섯 살 차이 나는 남편에게 시집온 줄레이하는 계속되는 유산의 아픔과 시어머니의 구박을 견뎌내고 있던

어느 날 붉은칸국인이라고 생각하는 군인에게 남편은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집과 물건들은 농촌소비에트가 몰수를 하고 집단농장의 소유가 되었다. 눈먼 시어머니를 놔두고 줄레이하의 썰매는 다른 부농들과 함께 긴 수송 대열에 합류한다.

이그나토프는 수송 대열의 책임을 맡게 되고 기나긴 여정이 시작된다.

수송 열차 안에서 임신한 사실을 알게 되고 타이가로 가기 위해 바지선을 타게 된다.

그녀의 유일한 기쁨과 위안은 원피스 주머니 속에 있었다. 뽀족한 '죽음'의 설탕 조각. 예니세이강을 따라 흘러가는 바지선에서 줄레이하가 눈을 뜬다. 헤어지지 않고 함께 잠들 수 있을 테니 아이를 낳기 전에 먹는 게 더 좋을지 생각한다.

바지선이 침몰한다. 줄레이하와 이그나토프 등 서른 명만이 정착하게 된다.

줄레이하의 유일한 아이 유주프가 배를 타고 그녀 곁을 떠나며 새로운 삶을 향해 나아간다.

이그나토프와 줄레이하는 서로를 알아보고 멈춰 선다. 세상을 가득 채운 아픔이 그녀를 숨 쉴 수 있게 해주었다.

모든 사람들이 살아남기 위해서 움직인다. 중요한 것은 바로 오늘이고, 지금 이 순간이었다.

오늘을 버텨낸 사람만이 내일의 태양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척박한 곳에서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끈질기게 버티고 존재하기 위해 살아나가는 그 원동력은 무엇일까?

존재의 이유를 다시 생각해 보게 만들어주는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기말의 러시아 문제 <5+5> 공동번역 출간 프로젝트 4
알렉산드르 이사예비치 솔제니친 지음, 유정화 옮김 / 걷는사람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솔제니친은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를 쓴 작가로만 알고 있었다.
2008년에 돌아가셨다는 사실을 알고 많이 놀랐다.
현 시대를 같이 살고 있었던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나의 무지를 어찌할꼬!

스탈린에 대한 불만의 글을 쓴 편지를 친구에게 보낸 일로 강제 노동 수용소로 보내져 1945년부터 1953년까지 8년의 세월을 보냈다. 수용소 생활이 끝나고 나서도 외지에서 3년간 유배생활을 하게 되고 이 곳에서 독서를 하고 자료를 준비하게 된다. 유배가 끝나고 중학교 교사로 지내면서 자신의 꿈이었던 글을 쓰게 된다.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로 스타 작가가 되었고, 1970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다. <수용소군도> 등의 작품으로 소련은 유명작가인 솔제니친을 구속하지 못하고 추방을 결정한다. 1994년까지 미국에서 지내다가 복권되어 고국으로 돌아간다.

러시아의 양심이라 불리는 솔제니친은 냉전시대에 소련의 사회주의와 미국의 자본주의를 직접 경험한 솔제니친의 탁월한 견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조국을 사랑하는 애국자로서 솔제니친의 시각은 과거의 영광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미래를 지향하고 있었다.
이 책은 4부로 구성되어 있다.
망명 전에 쓴 <1부, 소비에트 연방 지도자에게 보내는 서한 / 1973년>은 조국과 민족이 회복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다.
조국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쓴 <2부, 어떻게 러시아를 재건할 것인가? / 1990년>는 공산주의 이후의 러시아를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이야기하고 있다.
<3부, 세기말의 러시아 문제 / 1994년>은 러시아 역사에 대해 오랫동안 연구한 것들을 이야기하고 있다.
<4부, 붕괴되는 러시아 / 1998년>은 러시아로 돌아오면서 26개주를 여행하면서 만난 수천 명의 사람들과 주고받은 이야기와 편지로 그들의 신음소리를 들려준다. 러시아의 역사에 대해 잘 모르는데도 그들의 아픔과 비명소리가 들리는 듯했다.

70여일의 러시아 문학에 대한 여행이 끝났다.
2020년 한국, 러시아 수교 30주년을 기념으로 <5+5> 공동번역 출간된 작품들을 만나는 시간동안 러시아 문학에 대한 낯설음과 두려움이 어느 정도 사라졌다. <줄레이하 눈을 뜨다>는 새로운 여성서사로 러시아문학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춰준 작품이었다. 러시아에 번역되어 소개된 한국작품도 찾아서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트] 변신 + 어느 개의 연구 - 전2권 - 카프카 단편집 카프카 클래식
프란츠 카프카 지음, 이주동 옮김 / 솔출판사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카프카는 곁에 두고 읽는 작가가 되었다.

솔출판사에서 나온 카프카 클래식 1권 <변신>은 카프카가 생존 당시에 책으로 출판했던 작품들 중에서 40편을 모아 놓은 단편집이고, 2권 <어느 개의 연구>에는 잡지와 신문에 발표한 10편의 작품들과 유고집에 수록된 단편 34편을 모아 놓은 단편집이다.

1권 단편집 <변신>을 읽고 받았던 충격과 새로움!
2권 단편집 <어느 개의 연구>도 역시 카프카!

카프카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평소 언어유희를 즐겼다는 카프카.
그냥 한 번에 쭈욱 써 내려간 그의 펜 끝을 따라서 소중하게 한 편씩 읽어나갔다.

작가들의 작가, 많은 작가들이 좋아하는 작가 카프카!

어떻게 이렇게 썼을까?
독일이 얼마나 빨리 산업화되었는가?
카프카가 살았던 사회적 배경을 알아야 한다.
보험사 직원으로 일하면서 글을 쓰던 카프카.
그 와중에 아버지와의 갈등은 계속되었고 건강도 안 좋았다.
인간이 느끼는 소외감과 상실감, 불안함을 잘 표현하고 있다.
카프카가 살았던 시대와 지금의 사회는 별로 달라진 것이 없어 보인다.
그래서 카프카가 더 가깝게 느껴지는 것일까?
그의 작품들은 설명하려고 쓴 글이 아니다.
그냥 읽고 느끼기를!
해석하려고 하지 말고 글자 그대로 주인공이 느끼는 감정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기를!
정말 카프카스럽다.


뭐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느 개의 연구 - 카프카 단편집 카프카 클래식 2
프란츠 카프카 지음, 이주동 옮김 / 솔출판사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카프카는 곁에 두고 읽는 작가가 되었다.

솔출판사에서 나온 카프카 클래식 1권 <변신>은 카프카가 생존 당시에 책으로 출판했던 작품들 중에서 40편을 모아 놓은 단편집이고, 2권 <어느 개의 연구>에는 잡지와 신문에 발표한 10편의 작품들과 유고집에 수록된 단편 34편을 모아 놓은 단편집이다.

1권 단편집 <변신>을 읽고 받았던 충격과 새로움!
2권 단편집 <어느 개의 연구>도 역시 카프카!

카프카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평소 언어유희를 즐겼다는 카프카.
그냥 한 번에 쭈욱 써 내려간 그의 펜 끝을 따라서 소중하게 한 편씩 읽어나갔다.

작가들의 작가, 많은 작가들이 좋아하는 작가 카프카!

어떻게 이렇게 썼을까?
독일이 얼마나 빨리 산업화되었는가?
카프카가 살았던 사회적 배경을 알아야 한다.
보험사 직원으로 일하면서 글을 쓰던 카프카.
그 와중에 아버지와의 갈등은 계속되었고 건강도 안 좋았다.
인간이 느끼는 소외감과 상실감, 불안함을 잘 표현하고 있다.
카프카가 살았던 시대와 지금의 사회는 별로 달라진 것이 없어 보인다.
그래서 카프카가 더 가깝게 느껴지는 것일까?
그의 작품들은 설명하려고 쓴 글이 아니다.
그냥 읽고 느끼기를!
해석하려고 하지 말고 글자 그대로 주인공이 느끼는 감정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기를!
정말 카프카스럽다.


뭐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