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를 읽다, 마음을 읽다 - 뇌과학과 정신의학으로 치유하는 고장 난 마음의 문제들 서가명강 시리즈 21
권준수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직 서울대 교수진의 강의를 서울대에 가지 않고서도 듣고 배울 수 있는,
21세기북스의 서가명강시리즈의 21번째 강의는 '정신과학'이다.

예전에는 딱히 두려움이나 차별없이 썼던 '똘끼', '끼', '과몰입' 같은 단어들이나
어떨 때는 감탄의 의미로도 쓰고 있는 '미쳤다'는 말들을 사회 뉴스에서 보면
대개 그 끝이 슬프거나 원통한 이야기가 많은 시대가 되었다.

'마음을 굳건하게 먹어야지', '정신력' 같은 말들이 어떤 상황이나 사람에게는
폭력적으로 느껴질 수도 있다는 것을 비로소 깨닫게 되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

문턱을 넘기 힘들었던 '정신과'나 '심리상담실'에 대한 마음의 장벽도
조금씩 낮아지고 있는 까닭은, 과학과 기술이 발전한 시대를 살고 있는
현대인에게도 마음의 병은 여전히 미지의 세계이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다.

<뇌를 읽다, 마음을 읽다>의 저자 권준수 교수는 책날개에
가장 과학적인 방법으로 뇌와 마음을 보듬는 정신의학자라는 타이틀로 소개된다.
서울대 정신과학교실 교수로 재직 중이며 뇌인지과학과 교수를 겸임하고 있다.
하버드 의과대학 방문교수로 있을 때 뇌 영상술을 이용한 정신질환 기전을 연구하고
조현병과 강박증 분야의 국내 최고 권위자이며 세계적인 뇌영상학 전문가이다.




우울감, 우울증, 조현병, 강박증, 스트레스, 공황장애 등
익숙하게 듣고 썼던 용어들의 정확한 의미와 미세한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그 근거로 뇌를 찍은 사진, 실제 환자에게 인식되는 -사실과는 다른- 현상,
그리고 정신질환을 치료하는 약물, 재활을 위한 꾸준한 운동, 상담 치료 같은 요법은
다른 신체적 질환을 대하는 의료진, 과학자, 환자가 겪는 체계와 큰 차이가 없어
'정신과'나 '정신질환자'에게 덧씌워져 있던 사회적 편견을 바로잡아 간다.


마음 먹기에 따라, 가 아니라 과거에 비해 월등하게 높아진 스트레스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그것을 감지하고 반응하는 뇌의 작용, 호르몬의 변화를
임상 자료를 통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부분이 흥미롭고 희망적이었다.


정상적인 신체반응과 그에 따른 정서적인 변화를 주기 위해서는 
뇌 기능이 원래의 궤도를 찾게 하거나 뇌 구조에 대한 연구와 이해를 통해
손상된 부분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약물, 물리, 심리 치료, 스마트 워치에 포함된
-혈압, 맥박, 심전도 등 생체신호를 분석하는- 디지털 치료제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는
신체적/정서적 질병에 취약해지지 않도록 평소 어떤 생활습관을 가져야 할 지
깨달음을 주고 실천의지를 북돋아 준다.

마음과 뇌, 정신질환, 정신분석 및 치료에 그치지 않고 
인간의 사고와 감정의 컨트롤 타워인 '뇌' 자체에 대한 호기심을 자아내는
인공지능을 다룬 4부도, 유사한 장르를 다룬 다른 책에서는 볼 수 없는 구성이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쓴 리뷰입니다.**

#뇌를읽다마음을읽다 #권준수 #서가명강 #21세기북스 #정신건강의학
#뇌과학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서평이벤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