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쓰는 착한 미술사 - 그동안 몰랐던 서양미술사의 숨겨진 이야기 20가지
허나영 지음 / 타인의사유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제목을 보았을 때 호기심이 샘솟았다.

<다시 쓰는 착한 미술사>라는 제목에서 단연, 관심을 끌었던 부분은 '착한'이다.

그동안의 미술사가 어떤 방식이었길래, 그리고 이 책은 어떤 관점으로 다시 보길래

미술사를 '착하게' 쓸 수 있다는 걸까?


에필로그까지 400페이지가 안되는 두툼한 두께감도 인상적인 책의 저자는

예술학과를 졸업하고 미술학 박사를 취득하고 대학교에서 강의 중인 허나영님이다.


어린 시절부터 좋아하는 미술에 대해 많은 사람들과 이야기 하고 싶다는 

책날개의 작가 소개가 그저 의례적으로 하는 말이거나 무색하게 들리지 않게

그림에 대한 사랑과 세상을 다르게 보는 것을 즐긴 예술가들에 대한 이해와 공감이

작품을 설명하고 시대상을 기술하는 전문적인 지식과 어우러져 

미술을 좋아하지만 잘 몰랐던, -그래서 알고 싶어서 이 책을 선택한- 독자들에게

어느 곳에선가 보아 낯설지 않은 작품이나 한번쯤 들어보았던 미술 사조에 대해 

새로운 관점으로 다르게 보며, 숨겨져 있던 매력을 하나씩 발굴하는 재미를 준다.




미술이나 예술이 서양의 것만 있는 것은, 당연하게도, 아니지만.

여전히 그 분야와 영역의 헤게모니는 서양/유럽이 가지고 있다는 한계에 대해

저자 허나영이 선택하고 찾아낸 돌파구는 '그들의 미술'을 주류가 아닌 

조연을 소개함으로써 시대의 거대한 흐름 속에서 소외되었던 작은 이야기, 

결국은 인류 공통의 '사람 사는 이야기'에 주목하는 것이었다.


'미술사'이므로 시대와 역사의 변화에 따른 미술과 예술관의 흐름을 기본으로 한다.

서양/유럽의 변천사가 처음에는 유럽 내부에서 나중에는 다른 지역으로

영토를 확장하며 필연적으로 정복과 전쟁을 끊임없이 일으키며 

그 권력을 정당화하고 미화하기 위해 희귀한 보물(공예), 건축, 예술을 이용하다

급기야 산업화를 거치며 다시 내부적으로 계층/계급적 억압과 차별에 이르렀다.




역사와 시대의 변화를 어떻게든 반영할 수 밖에 없는 예술가가 

흐름에 적응하거나 따라잡지 못해 도태되는 20새기 현대 미술의 면면에 대해

1장부터 6장까지 주요 흐름을 기반으로 하여 잘 알려지지 않았던 숨은 이야기를

씨실과 날실로 솜씨좋게 직조한 작가 덕분에 

독자는 읽을 수록 흥미와 지식이 쌓이는 즐겁고 인상적인 경험을 하게 된다.


보통은, 책의 앞 장에 많은 기력을 쏟아붓고 뒤로 갈 수록 힘이 서서히 풀리는데

이 책이 세상에 나오게 된 이유는 결국 7장 때문이 아닐까, 하는 인상을 받을 정도로

'비틀어 보기'가 가져 올 수 있는 신선함과 그로 인해 창조되는 해석의 영역을

현대 미술의 다양한 작품을 적절하게 예로 들어 보여준다.




책을 읽으며 얻은 지식과 관점을 바탕으로 

앞으로 어느 전시에서 어떤 작품을 만나더라도 자기만의 방식으로

작품과 그것을 만들어 낸 예술가의 세계를 이해하고 공감하거나 

때론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 같다는 자신감과 모험심을 갖게 된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쓴 리뷰입니다. **


#다시쓰는착한미술사 #타인의사유 #허나영 #서양미술사의숨겨진이야기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서평이벤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