쓸모없는 것들이 우리를 구할 거야 - 작고 찬란한 현미경 속 나의 우주
김준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화책같은 표지에 <쓸모없는 것들이 우리를 구할거야> 라는 제목만 보고

요즘 SNS에서 심심찮게 올라오는 '예쁜 쓰레기'에 대한 에세이일까? 하며

제멋대로 상상해보았다.


분홍색 띠지에 '소설가 김초엽 강력 추천!' 이라는 말에 오해 한 스푼을 더 얹어서

지금까지 있었음에도 그저 나와는 상관없는 까만색 '곤충'으로만 느껴왔던 개미가  

문명과 문화를 지닌 존재일지도 모른다는 신선함을 준 베르베르의 소설처럼 

현미경 속 생명체가 알고보니 인류를 구원한다는 세계관의 소설이려나? 싶기도 했다.


오해와 착각으로 시작된 독서였던 <쓸모없는 것들이 우리를 구할거야>는

이 세계를 몰랐더라면 두고두고 아쉬웠을 '생명과학'에 대한 호기심을 일깨웠고

세상에는 쓸모없다는 선충의 유전자 진화를 전공하고 연구하면서

온갖 생명체에 대해 애정의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박사후연구원 (a.k.a. 연구노예)인

저자 김준이라는 사람에 대해 알려준 고맙고 인상적인 책으로 남았다.


수학이나 과학은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던 학창 시절의 나와는 사뭇 다른,

참외에 줄이 똑같이 10개씩 그어져 있는 것을 관찰하고 발견한 뒤 질문하는 꼬마가 

성장하여 과학자의 사고와 세계관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일상이 신기하고 놀라웠다.




분명히 나와 같은 시기에 같은 장소에서 살고 있다고 해도

완전한 타인처럼 다르게 느끼고 경험하며 흥미를 느끼는 사람들이 있다는 깨달음이

새로운 우주에 입장하는 것 같은 짜릿함을 주었다.


이 책은 생명을 가진 모든 존재가 DNA를 통해 세상을 풍부하게 살아가며

그 자료를 책처럼 자손에게 넘겨주며 '생'까지 전달하는 과정이

학교에서 익혀 배우는 암기의 수준을 넘는 경이로움 그 자체라는 점에

마음이 부풀어 오르는 과학자의 마인드와 연구를 이어가는 질문의 힘을 보여준다.


과학자이지만 생활인으로서, 14시간씩 연구실에서 일하는 자신의 모습에

가끔 현타를 느끼는 저자의 모습도 직장인(?)으로서 공감이 되는 포인트였다.


한국처럼 실용성과 효율성, 즉 '돈을 얼.마.나. 벌 수 있느냐'를 

가치의 측정도구로 환산하는 나라에서 돈이 되지 않는 과학을 선택한 사람들이 느끼는

공부와 연구, 훈련의 기쁨과 슬픔에 더해 성장과정도 어렴풋이 짐작할 수 있었다.


설명하기 어려운 질문을 답을 찾기 위한 선택이 일상으로 켜켜이 쌓일 때

모두가 알 만하고 세상과 사고의 궤도를 틀어버리는 결과가 생성될 것이라는

역사가 증명했고 앞으로 증거가 되길 바라는 희망으로 시도되는 에피소드들은

나의 일상과 뚜렷한 연결고리가 없다고 생각했던 과학이나 과학을 좋아하는 사람을

응원하게 되고 관심이 갖게 만들기에 충분했다.


현미경으로 꼬마선충들이나 들여다보고 있는 것에 찬밥 대우를 받아도

누구도 가보지 않은 저 너머에 있을 정답을 찾기 위해 앎의 경계를 

조금씩 조금씩 뒤로 밀어내기 위해 오늘도 묵묵히 연구 노예의 길을 걷고 있는 

저자의 혼란과 즐거움, 고통과 괴로움이 가득찬 연구실의 이야기,

이 책이 아니었다면 몰랐을 또 하나의 세계가 

예쁜 꼬마선충만큼이나 발랄하고 재미지다. ^^



#쓸모없는것들이우리를구할거야 #김준 #웅진지식하우스 #리뷰어스클럽

#서평이벤트 #과학자들의삶 #앎의우주 #에세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