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감정을 읽는 시간 - 나를 휘두르고 가로막는 여덟 감정의 재구성
변지영 지음 / 더퀘스트 / 2019년 7월
평점 :
절판



내 감정을 잘 알아차리고, 표현하고, 다스리기까지 한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게 그렇게 어렵기에 우리는 심리학책이나 각종 힐링책을 읽는지도 모른다.


<내 감정을 읽는 시간> 저자 변지영은 현재도 심리상담을 하며

실존과 심리에 관한 주제로 영화나 사례를 적절히 차용해 책을 써왔다.

그래서 독자들은 처음에는 영화의 주인공들에게, 다음에는 사례의 인물들에게

감정과 상황을 이입해가며 읽다가 자기가 미처 구체화하지 못한

자신의 감정을 만나고 이해하는 과정에 물이 종이에 스미듯

자연스럽고 서두르지 않으며 자신만의 속도와 색깔로 빠져들게 된다.


저자는 

"한 사람을 이해한다는 것은 그의 지난 삶이 어떻게

 지금의 감정들을 만들어냈는지 이해하는 것이다" 라고 말하며


현재 보이는 감정이 다채로운 색깔이고, 다양한 층위를 담고 있다는 것을

슬픔, 그리움, 죄책감, 수치심, 배신감, 원망, 분노, 두려움이라는

8가지의 주제를 잡아 이야기해주고 있다.



긍정적인 감정보다는 부정적인 감정에서 그 사람의 본질(?), 존재함을

가장 직접적으로 드러내게 된다는 점에 집중하지만

아무리 노력해도 풀 수 없고 결코 100% 알 수 없는 

오묘한 감정이라는 것에 메여있거나 머무르지 말고

지금 당장 시작할 수 있는 작은 행동에 전념하는 '모리타 치료'와

(의외로 이름은 낯설었지만 설명을 들으면 금방 "아!" 할 그것!)

마음챙김 (mindfulness)에 대해 나선형처럼 반복하지만 폭을 넓히며

차가운 돌을 데우듯, 무기력함에서 "한번 해 볼까?"하는 의지를 키워준다.


부정적인 감정을 '극복'하려는 노력보다는 이해하려는 마음을 내고,

감정의 내용에 집착하면서 좋은 것으로 바꾸려고 하는 것 보다는

'맥락'을 들여다보려고 시도하기를 권한다.


즉, 불편한 감정을 밀어내거나 없애려고 하다 

오히려 그 감정에 주의가 집중되고 시야가 좁아지며 고통에 빠지는 것보다

바꾸려 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흘려보내면서

지금 나에게 필요하고 중요한 행동에 전념하는 '감정설계자'가 되는 방법을

그것을 나보다 먼저 경험하거나 시도한 책, 영화, 작품, 그리고 일상 속의

주인공들의 사연을 통해 배우고 위로와 격려를 동시에 받을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