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이 되면 괜찮을 줄 알았다 - 심리학, 어른의 안부를 묻다
김혜남.박종석 지음 / 포르체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종이책이 잘 안 팔린다고 하지만, 종이 특유의 사각거리는 질감과 냄새.

그리고 눈부시지 않은 미색에서 얻는 안정감을 버릴 수는 없다.


불안하고 우울한 마음을 달래기 위한 심리학책이나 힐링책이라면 더욱!

문제는 쏟아져 나오는 위로/위안/공감/힐링의 책들 중에서

정말 나의 마음에 힘을 실어주는 '지금 여기, 바로 그 책'을 만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어른이 되면 괜찮을 줄 알았다>는 그런 관점에서 볼 때

인연을 맺은 시간이 아깝지 않고 중심을 단단히 하는 것을 도와준 책이다.


책의 저자 김혜남님은 국립정신병원(현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무려 12년 동안이나 정신분석 전문의로 일한 베테랑 의사이자 교수이며,

<서른 살이 심리학에게 묻다>. <나는 너를 정말 사랑하는 걸까?>

<오늘 내가 사는 게 재미있는 이유> 등의 다수의 베스트셀러 작가이다.


나이가 들면서 저절로 상처를 극복하고 성숙해지기를 바라는 사람들에게

내면의 상처받은 아이의 존재를 일깨우고, 과거의 나와 화해하는 과정을

충분히, 그러나 건강하게 겪기를 권하는 김혜남 작가의 글은 

책의 Rosso (오렌지) 색을 띈 곳에 실려있다.


색으로 구별한다는 것은 또 하나의 저자가 있다는 이야기!

박종석 저자는 Blue에 본인의 글을 실어놓는다.

대학병원 임상강사로 일했고, 대학교 보건진료소 정신건강센터에서 전문의를,

모기업 부속의원 정신과 전문의를 거쳐 서울 모처의 병원의 원장으로 일한다.

<정신의학신문>, <코스모폴리탄> <월간 에세이>에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동시대를 살아가는 대학생 및 직장인들의 마음을 잘 대변하는 이유도

연혁에서 찾아볼 수 있겠다.


내가 느끼는 나의 조/울증이 그저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것인지

어느 정도로 중증(?!)인 건지 알아보기 위한 자가진단테스트부터 시작해보자.



지금 당신이 처한 상황과 처지에 따라 이 '우울'의 증상에 대한 숫자는

달라질 것이다. 왜냐하면 우울증은 '증세'이기 때문이다.


모든 병과 증세가 그렇듯, 자기에게 일어난 변화를 알아차리고

빠른 진단과 바른 치료만 이루어진다면 결국 회복이 되고 완치도 가능하다.


프롤로그에서 두 명의 저자는 한 목소리로 자신있게 말한다.

우울증은 동굴이 아니라 터널이며, 그 끝에는 밝은 빛이 기다리고 있다고.

아무리 고통스럽고 괴로워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있으면

그 날은 반드시 온다고.

잠시 멈추었던 여행을 계속할 수 있는 날은 반드시 온다고.


그래서, 마치 여행처럼 우울의 여러 코스를 밟고 있는 모습을

책의 타이틀로 삼아, 해당하는 에피소드를 곁들여 좀 더 객관적으로

혹은 에피소드의 주인공들에게 공감하고 연대의식을 느끼며 

몰입하여 순서대로 읽거나, 급한 것부터(!) 골라 읽을 수 있게 하였다.




내 마음이 마음 먹은대로 되지 않고, 

나도 내가 왜 이러는지 해답을 구하기 어려울 때

해당되는 페이지를 초콜렛처럼 골라 읽으면 어떨까?


달콤하면서도 쌉싸름하게 입 안에 퍼지는 초콜렛이 몸에 기운을 주듯,

마음의 병과 고통으로 힘겨워하는 사람들에게 전문가의 지식과

우울의 긴 터널을 각자, 어디에서든 뚜벅뚜벅 걷고 있는 존재들의 이야기에

마음으로는 따스한 위로를, 머리로는 올바른 이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