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트린느 메디치의 딸
알렉상드르 뒤마 지음, 박미경 옮김 / 레인보우퍼블릭북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삼총사"와 "몽테크리스토 백작"으로 유명한 알렉상드르 뒤마의 책

<카트린느 메디치의 딸>은 화려하고 어지러운 표지만큼이나

복잡하고 변화무쌍한 프랑스 왕실을 배경으로 한 소설이다.


메인 스토리를 끌고 가는 중심인물의 

완전히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은 성격에 독자들을 매혹시키고

등장 캐릭터 한 명 한 명을 허투루 쓰지 않는 뒤마의 작품답게

이 책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사랑과 우정, 그리고 미묘한 감정의 변화에

자신의 온 몸을 던져 격동적인 삶을 살아내고 있다.


<카트린느 메디치의 딸>은 역사적으로 신구교 간의 종교 갈등이 한창이던 때

신교도들을 몰살하는 성 바르톨로메오 대학살극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카트린느 메디치(이탈리아 메디치 가문 출신의 프랑스 앙리 2세의 아내)가

이 소설의 가장 강력한 악의 축으로 등장한다.

그녀의 딸 (이자 이 소설의 주인공) 마르그리트 드발루아로 

미모와 지성을 겸비한 프랑스 왕실의 진주라 불리는 샤를르 9세의 동생이며

신교도의 수장인 앙리 드 나바르와 결혼을 올리며 소설은 시작된다.


정치적 야심과 불온하고 음험한 의도 하에 맺어진 이 결혼에서

마르그리트가 자신의 운명에 대해 정치적인 판단을 내리고 동지애를 바탕으로

모후인 카트린느 메디치가 아닌 앙리 드 나바르의 편에 섬으로서

아슬아슬하게 펼쳐지는 궁중 암투는 드라마를 보듯 흥미진진하게 진행된다.

(매끄러운 번역도 페이지를 술술 넘어가게 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목숨을 위협하는 다양한 시도와 아슬아슬하게 빠져나가는 응수가

날실과 씨실처럼 엮어 훌륭한 이야기를 직조해내는데  

이것은 역시 뒤마 특유의 매력적인 캐릭터들 덕분이다.

특히 냉소적이지만 위트가 넘치고 의리가 있는 코코나는 

작가가 '멋지다'고 각주를 달아놓은 것이 아닐까 싶을 정도다.


책을 읽으며 예전에 봤던 영화 <여왕 마고>가 생각났다.

핏빛의 애증으로 물들었던 느와르적인 영화에 비해

소설은 왕궁의 화려함과 대비되는 왕족들의 어둡고 음험한 구석들,

정치적인 술수와 권력을 영구히 잡기 위한 치밀한 술수와 대비되는

마술과 주술에 가까운 음모와 계략이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며 

이야기를 진행시켜가고

역사적 인물과 상상 속의 인물들을 적절히 버무려 픽션인듯 팩션인 듯

독자들을 실제와 상상의 경계속에서 파도타기 시킨다.

(뒤마가 현대 드라마 작가였으면 매 에피소드 마지막마다 

쫄깃한 엔딩으로 다음주를 무척 기다리게 만드는 사람이었을 듯!)


엔딩이 궁금한 독자들의 호기심을 끝까지 쥐고 달려가는 

사랑, 서스펜스, 유머, 살인, 미스터리, 비극이 가득찬 책

<카트린느 메디치의 딸>


책을 읽고 나니 영화를 다시 보고 싶은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