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경제다 - 한국 경제가 확 잡히는 최배근 교수의 팩트 저격
최배근 지음 / 쌤앤파커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제는 항상 어렵다. 

경기가 안 좋다는 뉴스가 있다는 얘기가 아니라, 

'경제학'이라는 학문은 늘 버겁게 느껴졌다.

수많은 숫자들과, 분명 우리말이지만 알 수 없는 전문용어들이 기죽게 한다.

정치와 마찬가지로, 늘 우리 옆에 있고 우리의 일상의 거의 전부이고 

우리의 미래를 지배하지만

실상 정치와 경제에 대해서 제대로 인식하고 인지하고 있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싶다.


건국대학교 경제학과 최배근 교수는 말이 빠르다.

그가 패널로 나와 한정된 시간 속에서 '그러니까~'를 몇 번이고 반복하며

현재 한국 사회가 갖고 있는 경제의 '현실'에 대해서 

열변을 토하는 것을 듣고 이 책에 관심이 생겼다.


'쾌도난마'라는 표현이 과하지 않은 것이, 

방송에서 그의 논점은 명확했고, 근거는 표준적이고 간단한 수치를 들었으며,

무엇보다도 그 숫자를 어떻게 해석해야하는지 1타 강사처럼 설명해주어

숫자와 전문용어로 뒤덮여 실체를 잡기 어려웠던 

경제의 역학관계에 대해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시`공간의 제약을 벗어난 책이니만큼

방송에서처럼 간단명료하게 한국 사회의 경제를 진단하지는 않는다. 

경제학은 문맹에 가까워 읽으며 이해하기에 조금 시간과 노력이 들었지만 

프롤로그가 무척 인상적이었다.

"왜 우리는 행복하지 않은가?"를 질문하며 

한국 경제에 대한 팩트 체크로 1부를 시작한다.

우리가 많이 들어봤지만 그 개념을 명확히 하지 않았던 

'저소득층화' '빈민화'에 대한 현실 파악과

성장률이 들쭉날쭉 발표되는 이유, 최저임금과 고용위기의 관계를 비롯하여

자영업, 제조업, 소득주도 성장률에 대한 설명이 교수의 주장과 섞여 있어 

읽으면서 곰곰히 생각하게 된다.


각자의 주장을 펼치는 데에는 물론 각자의 이념과 신념이 작용하겠지만

세계 경제의 큰 흐름을 보며, 미국이 기침만 해도 우리는 독감을 앓게 되는 

물고 물리는 글로벌 경제의 위기에서 

한국 경제가 '공정성' 강화로 활로를 찾아야 한다는 주장은 

그래서 더욱 생각이 필요했다.


언제나 효율과 선점을 강조했던 성장주의, 낙수이론으로 가득 찬 한국 경제가

적폐와 불균형, 소득 격차, 경제 생태계 파괴와 

그로 인한 공동체원들의 '빈민'으로의 내몰림으로

'화'와 분노가 가득한 지금의 우리 나라를 만드는데 

큰 영향력을 미쳤다는 점에서 

발상의 전환, 즉 소득주도 성장을 더욱 강화해야한다는 것에 찬성한다.


또한 기축통화 국가인 미국의 금융위기, 

장기불황으로 더이상 성장이 어려운 일본과

유로존을 만들었으나 브랙시트 같이 

더이상 함께 가지 못하는 통화 동맹으로 곤란한 유럽,

고도성장을 이뤘으나 엄청난 불평등으로 

언제 터질 지 모르는 중국의 경제를 보며 

세계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지만 국제적으로 '허약체'가 되지 않기 위해

우리나라만의 '한국식' 미래 산업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이나 공유경제 같은 익숙(하지만 실체는 잘 모르겠던)한 

용어들이 반갑게 등장하는 3부와 4부에서, 

최배근 교수는 '공정성 강화' 카드를 빼어든다.

시장에만 맡기는 자유가 아니라, 

공정성을 바탕으로 시장의 정상화를 이루어내야

우리 경제 패러다임에 혁명적 변화가 오고, 사회 혁신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과연 기득권을 꽉- 잡고 있는 재벌이나 대기업, 

혹은 더욱 슬프게도 기득권이 없으면서도

'경제지'의 논조를 맹목적으로 따르는 소위 '중산층'이

이런 변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시민적 기능을 다할 수 있을지 

다소 회의적이지만,

최배근 교수의 책에서 탄탄한 경제 이론과 

데이터를 해석하는 '눈'을 키우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어렵고 복잡해서 모르고 살아왔던 경제에 대해

'눈'을 뜨고 공부하고 싶어지게 만드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