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상적인 우리의 정신상태는 너무나 복잡한 세상살이에 얽히고 설켜 마치 흙탕물의 소용돌이와 같다. 우리가 한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것도 이런 흙탕물 때문이다. 생각을 돌이켜 안으로 자기 자신을 살피는 명상은 이 흙탕물을 가라앉히는 작업이다. 흙탕물이 가라앉으면 둘레의 사물이 환히 비친다. 본래 청정한 제자리로 돌아온 것이다.

-80쪽

110 우리는 말하기 전에 주의깊게 생각하는 습관부터 길러야 한다. 말하는 것보다는 귀 기울여 듣는 데 익숙해야 한다. 말의 충동에 놀아나지 않고 안으로 곰곰이 돌이켜 생각하면, 그 안에 지혜와 평안이 있음을 그때마다 알아차리게 될 것이다. 말을 아끼려면 될 수 있는 한 타인의 일에 참견하지 말아야 한다. 어떤 일을 두고 아무 생각없이 무책임하게 제삼자에 대해서 험담을 늘어놓는 것은 나쁜 버릇이고 악덕이다.
-110쪽

바람직한 인간관계에는 그리움과 아쉬움이 받쳐주어야 한다. 덜 채워진 그 여백으로 인해 보다 살뜰해질 수 있고, 그 관계는 항상 생동감이 감돌아 오랜 세월을 두고 지속될 수 있다.
-16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ann138 > 무소유
-



우리들이 필요에 의해서 물건을 갖게 되지만, 그 물건 때문에 적잖이 마음이 쓰이게 된다. 그러니까 무엇인가를 갖는다는 것은 다른 한편 무엇인가에 얽매인다는 뜻이다. 필요에 따라 가졌던 것이 도리어 우리를 부자유하게 얽어맨다고 할 때 주객이 전도되어 우리는 가짐을 당하게 된다. 그러므로 많이 갖고 있다는 것은 흔히 자랑거리로 되어 있지만, 그만큼 많이 얽혀 있다는 측면도 동시에 지니고 있다.-24쪽

우리의 소유관념이 때로는 우리들의 눈을 멀게한다. 그래서 자기의 분수까지도 돌볼 새 없이 들뜬다. 글나 우리는 언젠가 한번은 빈손으로 돌아갈 것이다. 내 이 육신마저 버리고 홀홀히 떠나갈 것이다. 하고 많은 물량 일지라도 우리를 어떻게 하지 못할 것이다.-27쪽

소유한다는 것은 아직도 자기 자신에 대하여 버리지못한것이있다는것이다.진정한 무소유는 자기를 사랑하는 데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나는 난을 던지고서야 나를 바라보는 눈을 뜰 수가 있었다.-11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PaleBlueEyes > 타인의 분노에 대한 공감
-



화가 날 때는 무조건 화를 억눌러서도 안 되고,

화를 준 상대에게 금방 돌려주어서도 안 되고,

화를 회피하면서 다른 즐거움을 찾아서도 안 되고,

주먹으로 샌드백을 치면서

엉뚱한 곳으로 화를 쏟아내서도 안 됩니다.

화가 일어나면 우리는 그것을 맞이해주어야 합니다.

타인의 분노를 담아주기 위해서는

공감이 필요합니다.
-p.27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붉은돼지 > 이 세상에서
-



이 세상에서 우리가 바꿀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은 우리 자신밖에 없다. - 괴테-36쪽

일전에 읽은 <와인의 달인 로버트 몬다비 자서전>을 보면 몬다비 자신이 말하는 15가지의 성공철학 가운데 8번째에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 "다른 사람을 변화시킬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조금 끼칠 수는 있겠지만 자신이외에는 그 누구도 변화시킬 수 없다.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라. 차이를 인정하고 있는 그대로의 그 사람과 함께 일하라. 나는 이것을 너무 늦게 배웠는데 이것을 이해하고 나서 찾은 마음의 평화는 놀라울 따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햇살가득눈부신날 > 죽을때 까지 사는 법을 배웁니다.
-



정신분석이라는 학문이 처음 등장한 빅토이라 시대는 지금과 많이 달랐습니다. 그시대의 개인은 억압된 욕망ㅇ 의해, 금지된 소망과 죄책감 때문에 고통 받는 인간이었습니다. 그러나 현대인은 정체성 혼돈으로 인해,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없다는 사실 때문에 고콩을 받습니다. 타인과 똑 같은 모습으로 사회가 원하는 사람으로 살아가지만 생에 대한 열정도 없고, 성취감도 느끼지 못하고, 기쁨은 한순간일 뿐 매사가 공허하게 느껴집니다. 생의 창조적인 측면이 잠시 불타올랐다가 다음 순간에는 좌절의 나락으로 추락하며 고통스러운 감정에 휩싸입니다. 마치 정서적인 롤러 코스터를 타는 것과 같습니다.-80쪽

무의식에 닿는 방법 가운데 하나로 꿈 일기를 기록해볼 것을 권해드립니다. 꿈은 무의식으로 가는 길이며, 무의식이 자신을 드러내는 방식이기도 합니다. 정신분석 현장에서도 꿈 분석을 많이 사용합니다. 꿈 일기를 꾸준히 기록하는 것만으로도 내면을 보살피고 삶을 의식적으로 살아가는 훌륭한 벙법이 됩니다.-81쪽

동일시(자신의 일부로 만드는것)를 행할 수 있는 첫 번째 방법은 독서입니다.선악 도구가 선명한 옛이야기들은 내면의 양가감정을 알아차리게 하고, 그것들을 통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자아의 발달을 촉진시키고 욕망을 안전하게 충족시키는 방법을 터득하게 해줍니다.
....
동일시의 두 번째 방법으로 역할 모델을 설정하는 것이 있습니다.
본받고 싶은 인물을 모델로 정해 놓고 그의 인격이나 삶의 방식을 적극적으로 모방하는 것입니다. 여성계에서는 적극적인 멘토링을 경제계에서는 적극적인 벤치마킹을 사용합니다. 내면의 욕구를 전부 충족시켜주는 한사람의 역할 모델을 찾기어려울 때는 삶을 여러분야로 나누어놓고 영역별 모델을 정해도 좋습니다.-82쪽

"뭔가를 해야겠다는 생각은 많다"고 하셨습니다. 그렇다면 종이를 펴고 '이래도 산다면 죽을때 까지 후회학 될 백 가지 일'을 적어보세요, 좀 더 즐겁게 살 걸, 그때라도 유럽 배낭여행을 다녀올 걸, 정신의 밑바닥 까지 닿는 사랑을 한 번만 더 해볼 걸, 다섯 가지 수영법을 마스터할걸...... 떠오르는 대로 모두 적은 다음 죽을 때까지 하나씩 실천하는 겁니다. 그럿이 바로 삶입니다.-8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