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량한 차별주의자 (30만부 기념 거울 에디션)
김지혜 지음 / 창비 / 2024년 12월
평점 :
그래서 의심이 필요하다. 세상은 정말 평등한가? 내 삶은 정말 차별과 상관없는가? 시야를 확장하기 위한 성찰은 모든 사람에게 필요하다.p.79
_
?? 당신의 삶은 평등한가요? 누군가에게 차별을 받고 있지는 않은가요? 아니면, 누군가를 차별하고 있지는 않은가요? 보통의 사람이라면 이렇게 답할 듯하네요. 나는 차별주의자가 아니라고 말이죠. 우리 모두는 평등한 존재라고 말이죠. 하지만, 갑자기 이런 질문을 받으니 조금은 의심하게 됩니다. 혹시 내가? 그럴 리가 없지만 설마 내가?
안타깝지만 당신은 이미 누군가를 차별하고 있다고 하네요. 그리고 차별을 받고 있을 지도 모릅니다. 물론 나쁜 의도를 가지고 일부러 그런 것은 아닐 겁니다. 법과 질서를 지키는 대한민국의 국민이니까요. 단지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삶에 스며들어있기 때문에, 나와 너무나도 멀리 있기에.. 다양한 이유로 당신은 선량한 차별주의자라고 하는데요. 정말일까요? 도대체 왜? 내가 왜???
?? 인간이라면 누구나 차별하지 않고 평등한 삶을 지향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자유와 함께 가장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권리이기 때문일 겁니다. 하지만, 왜 누군가는 차별받고 있다고 항의하고, 그들의 주장에 또 다른 반대 의견들이 생기고, 오히려 역차별이라며 항변하는 이들이 생기는 걸까요? 여성들을 위한 다양한 혜택은 부당하다는 남성인권운동가, 제주도에 도착한 난민들을 향한 모두의 반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결혼이주민들과 다문화 가정들에 대한 편견, 그리고 요즘 한국 사회의 새로운 이슈인 성소수자들에 대한 논란까지.. 우리는 분명 차별주의자가 아니라고 하면서, 너무나도 다양한 이슈들에 대해 자신만의 입장을 내세웁니다. 본인에게 유리한 입장에서, 이미 차지하고 있는 권력을 빼앗길까 봐서,,,
알고 보니, 이미 오래전 과거부터 다양한 차별들은 존재했고 갈등했고 해소되었더라고요. 노예제도가 대표적이고, 더 오래전에는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어진 권리, 그리고 피부색에 따른 인종차별까지.. 하지만, 이러한 차별이 정말로 사라져서 평등한 사회가 되었을까요? 너무나도 깜짝 놀랄만한 이야기를 이 책에서는 말해주고 있더라고요. 우리는 새로운 노예제도, 새로운 남녀 차별, 새로운 인종차별을 하고 있다고 말이죠. 너무나도 교묘하기에, 너무나도 자연스럽기에, 너무나도 은밀하기에 눈치챌 수가 없었을 뿐이라고 합니다.
?? 그렇다면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 이젠 모든 것이 의심스럽네요. 무슨 말을 하든, 어떤 행동을 하든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더라고요. 너무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것이 누군가에게는 차별일 수가 있었거든요. 그들이 없는 것을 가진 나는 권력을 가진 차별주의자가 될 수도 있었거든요. 하나의 차별을 없애기 위해 새로운 제도를 만들었지만, 그 이면에는 또 다른 차별이 존재하고 있었거든요. 너무 어렵네요. 하나하나 따지면 똑같을 수가 없는 우리 모두를 어떻게 똑같이 대할 수가 있을까요?
다행히도 이미 '모두를 위한 화장실'처럼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다양한 제도와 법이 부족한 부분들을 채우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하네요. 하지만, 그 제도와 법을 만드는 이들도 역시 우리들 중에 누군가일 테니 또 다른 빈틈이 생기겠죠? 아마 영원한 숙제가 아닐까 싶네요. 하지만 누군가 의심하고, 누군가 논쟁하고, 누군가 끊임없이 이야기한다면 누군가는 듣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이런 책을 통해 우리 모두가 조금씩 고민한다면 한 걸음씩 가까워지지 않을까 싶더라고요.
?? 책에서 말하는 것처럼 세상에는 너무나도 다양한 입장과 관점과 위치가 존재하기에 차별과 평등을 한마디로 정의하기에는 너무나도 어렵네요. 그래서일까요? 선량한 차별주의자, 이 책은 수많은 독서 모임의 단골손님이더라고요. 책을 읽고 나면 하고픈 말도 많을 듯하고, 놀라운 깨달음도 많을 듯하고, 다른 이들의 생각도 궁금해지거든요. 그렇기에 토론하거나 논쟁하기도 좋은 주제이지 않을까 싶네요.
하지만, 아직 부족한 듯합니다. 조금 더 많은 모임에서 이 책을 다루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더 많이 읽고 더 많은 분들이 차별과 평등이라는 문제에 대해 더 고민하고 고심했으면 합니다. 그러면 세상은 조금 더 나아지지 않을까요? 서로가 서로를 배척하면서 받는 상처가 줄어들지 않을까요? 조심스럽게 희망을 가져봅니다. 우리 모두를 위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