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케로의 <법률론>

- 총 6권으로 쓰여졌거나 계획되었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이 책은 현재 3권까지만 남아 있다.

- 그 중 1권은 자연법에 대한 것이고, 2권은 제의법 및 이와 관련한 시민법에 대한 논의이며, 3권은 정무직에 관한 법률에 대한 것이다. 

- 플라톤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이고, 제의법 부분에서 보여지는 신과 종교에 대한 그의 생각은 매우 현실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누가 제사를 지낼 것인가에 대한 논의도 재미있다. 결국 죽은 자의 재산을 받은 자가 이어받아야 한다는 점에서 오늘날과도 비슷하다. 키케로의 정치적 견해는 매우 보수적인 것으로 보이는데, 한편으로는 호민관 제도의 현실적 필요성을 인정한다. 비밀투표를 반대하는 논의도 흥미롭다.

 

 

- 키케로가 자신이 음모를 밝혀냈다는 카틸리나 재판에 자긍심을 보이는 부분이 궁금해서 다른 책들도 찾아보았다.

 

 

 

 

 

 

 

 

 

 

 

 

 

 

- <로마인 이야기4>에서는 카틸리나 재판에 대해 가장 흥미진진하고 자세하게 이야기를 풀어썼다. 당시 키케로의 변론과 카이사르의 변론, 카토의 변론 등이 실려있는데 읽어볼 만하다. 카틸리나에 대한 해석은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다.   

- <재판으로 본 세계사>에서는 로마인 이야기를 좀 참조한 듯한 부분도 있는데, 법률가적 관점에서 사건을 다르게 살펴보았다.   

- <로마사론>에서 마키아밸리는 국제를 파괴한 카이사르를 비난하면서 "카틸리나는 고작 국가를 전복하려는 생각을 품었을 뿐이지만, 카이사르는 그런 생각을 실천했으니 더욱 비난 받아 마땅하다."라고 썼다.

- 살루스티우스가 <카틸리나 전쟁>에 대해 쓴 책도 있다던데 못 찾겠다. 개인 블로그에서 일부 번역한 것을 찾아볼 수 있었다.

 

로마법에 대해 쓴 책들도 기회되면 참고해보려고 한다.  

 

 

 

 

 

 

 

 

 

 

 

 

로마법강의나 로마법의 향연은 매우 전문적, 학술적인 서적인 반면

로마법 수업은 친근한 어투로 로마법을 소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