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강경 마음공부 - 불안과 두려움을 다스리고 초조하지 않게 사는 법 ㅣ 불경 마음공부 시리즈
페이융 지음, 허유영 옮김 / 유노북스 / 2023년 4월
평점 :
금강경 마음공부 / 페이융 지음 / 출판 유노북스

현대를 살아가면서 불안과 두려움을 느끼지 않고 살아가는 사람이 있을까. 사회에서는 서로 선의의 경쟁을 해야 하고 미래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불안, 걱정과 두려움을 매일 같이 안고 살아 간다면 우리 내 삶은 너무 힘들고 스트레스 받을 것이다.
금강경 마음공부 이 책은 불안, 걱정과 두려움으로 초조하게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현실에 집착하지 않는 초월의 삶을 사는 지혜를 들려주는 교양 인문 도서이다.
금강경 마음공부 이 책은 총 10가지의 주제를 가지고 초조함, 두려움, 걱정을 떨쳐 내고 진정한 기쁨을 누릴 수 있는 방법을 들려준다.

금강경 마음공부 이 책의 저자 페이융은 인생은 금강경을 알기 전과 후로 나뉜다고 말한다. 우리가 보통 말하는 생활의 지혜는 불교의 관점에서 보는 그저 똑똑함이나 먹고살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
어떻게 하면 돈을 벌 수 있는지, 어떻게 하면 승진할 수 있는지 알려 주는 책들도 지혜를 알려 준다고 말하지만, 그것은 지혜가 아니라 똑똑함이다.
불교에서 말하는 지혜란 세상의 모든 도리를 알고, 세상의 모든 것에 집착하지 않으며, 오로지 최고의 정신적인 경지 만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 세상의 무언가에 연연하지 않으며, 오직 어떻게 피안에 도달할 수 있는가 에만 관심을 가진다.

불교를 배우고 불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금강경은 필수 과목이다. 하지만 성불을 목표로 하지 않는 일반인에게는 금강경이 어떤 의의가 있을까?
불교 학의 개념을 떠나 그저 보통 책을 읽듯 금강경을 읽거나 대충 훑어본다 해도, 금강경 마음공부 이 책에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금강경 마음공부 이 책의 내용이 난해 하거나 경전처럼 딱딱하지 않고, 한 구절 한 구절 우리네 잡다한 인생에 대해 이야기해 주기 때문에 읽는데 어렵지 않고 지루하지도 않고, 읽으면서 많은 깨달음을 느끼게 한다.
금강경은 우리의 사유 방식을 바꾼다. 금강경에 담긴 석가모니의 말은 결론 식 대답이 아니라 질문 식 대답이다. 대답을 하면서도 계속 질문을 해서 질문한 사람을 생각하게 한다.

금강경에 담긴 부처의 말에 큰 관심이 없는 사람도 그 속에 담긴 질문 식 사유 방식을 배운다면 그것만 으로도 큰 배움이다.
살면서 항상 질문하고 시시 때때로 돌이켜 생각한다면 점점 지혜로워지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질문을 하면 통찰력을 기를 수 있고, 무엇을 보든 경솔하게 결론을 내리지 않을 수 있다.
금강경은 더 성공하고 더 건강하게 만든다. 금강경을 그저 가볍게 읽는 것 만으로 기존의 습관적인 사유 방식에서 벗어나 더 넓게 생각하게 되고, 마음이 훨씬 온화해지며, 이런 변화는 결국 생활까지 바꾸어 놓는다.
그러므로 금강경을 읽으면 사회에서 더 성공하고, 일이 순조로워지며, 몸이 더 건강해진다고 말해도 틀리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금강경을 읽으면 실패를 맞닥뜨렸을 때 우울해지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금강경의 첫머리는 이렇게 시작된다고 한다. '어느 날 부처가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금강경에서 부처는 평범함 그 자체이다. 부처가 우리네 와 마찬가지로 '이 순간 이 자리'에 있다. 사람의 인생은 무수히 많은 조각이 모여서 이루어진다. 그 조각들은 모두 어떤 자리에서 어떤 생각을 하고 있거나, 무언가를 하고 있으며, 어떤 표정을 짓고 있다.
많은 사람이 초조해하는 것은 '이 순간 이 자리' 에 있지만, 그 순간과 그 자리에서 편안히 머물지 못하기 때문이다.
어떻게 하면 이 순간 이 자리에서 편히 머물 수 있을까? 금강경 마음공부 이 책에서 상세하게 다루었다.
금강경의 첫 번째 단락 두 번째 말은 '식사 시간이 되어 부처가 가사를 입고 발우를 들고 사위 성으로 걸식을 하러 갔다.' 밥벌이란 무엇 인가에 대한 설명이 되어 있다.

금강경 마음공부 이 책의 마지막 장에서는 나를 벗어나 나로 돌아가라, 진정한 나로 살기 위한 질문들이다. 나는 누구인가, 어떻게 나로 돌아갈 것인가, 부처는 무아를 통해 더 넓은 시야를 가지고 자기 자신을 바라 보는 법을 우리에게 알려 준다.
부처의 뜻은 분명하다. 그가 말한 무아란 내가 없다는 뜻도 아니고, 지금 내 눈앞에 서 있는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도 아니다.
그 누구도 확정 적이고 절대적이지 않으며, 끊임없이 변화하므로 자아에 집착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다.
결국에는 금강경의 핵심인 '집착하지 말라' 라는 가르침으로 귀결된다.
금강경 마음공부 이 책을 아직 완독 하지는 못했지만, 읽는 내내 다 맞는 말이고, 종교를 떠나서 누구라도 읽으면 마음이 편안해 지고 한층 더 성숙한 나로 변화되어 있을 것이므로, 꼭 읽어 보기를 추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