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 자신에게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 흔들림 없이 나답게 나만의 인생을 사는 법
츠지 슈이치 지음, 한세희 옮김 / 밀리언서재 / 2023년 3월
평점 :
나 자신에게 '좋아요' 를 눌러 주세요 / 쓰지 슈이치 지음 / 출판 밀리언서재

우리는 모든 일에 긍정적일 수많은 없다. 자기 긍정 감이 나 답게 행복한 삶을 사는 방법을 제시 한다는 의견에 동의하기 어렵다고 나 자신에게 '좋아요' 를 눌러 주세요 이 책의 저자는 말한다.
나 자신에게 '좋아요' 를 눌러 주세요 이 책은 자기 계발 도서로서 아무리 "좋아요" 를 많이 받아도 내 마음은 채워지지 않고, 너에게 "좋아요" 를 누르는 만큼 나의 존재감은 줄어든다. 흔들림 없이 나만의 인생을 살아가는 법에 대하여 알려주는 책이다.
나 자신에게 '좋아요' 를 눌러 주세요 이 책의 목차는 총 파트 5로 구성 되어 있다.

나 자신에게 '좋아요' 를 눌러 주세요 이 책의 파트 1 긍정적으로 살아야 한다는 말이 나를 지치게 할 때는 자기 긍정 감을 키우기 위해 우리는 먼저 그것이 높은지 낮은지 또는 긍정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 타인은 물론 사회와 끊임없이 비교해야 한다.
간혹 자기 긍정 감을 높이기 위해 나를 속이고 항상 긍정적인 생각을 해야 한다고 믿기도 한다. 이렇듯 자기 긍정 감에 대한 집착이 오히려 부조리한 세상을 만들고 열등감을 낳는다.
외부에 휘둘리지 않고 내면의 나라는 존재를 느낀다면 다른 모든 존재도 가치 있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사고방식을 바꾸면 우리는 자기 존재감이 충만한 삶을 살 수 있다.

나 자신에게 '좋아요' 를 눌러 주세요 이 책의 파트 2 남의 일상을 들여다 볼 시간에 나 자신을 들여다 보자, 나 만을 생각하는 24시간.
인지적 사회에서 자기 긍정 감이라는 신앙 뒤에는 오히려 자기 부정을 조장할 위험이 숨어 있다.
외 적인 성공보다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내면에 "존재하는 것" 을 소중히 여기고 그 가치를 존중해야 한다.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 보면 남들과 비교하지 않고도 누구나 나만의 씨앗을 발견할 수 있다. 바로 그 씨앗이 자기 존재감이다.
남에게 의존하고, 남에게 존경 받길 바라는 마음이 있는 한 자기 긍정 감을 향한 집착은 끝이 없다. 이렇듯 존경의 욕구로 채워지는 자기 긍정 감은 언젠가 자기 현시욕으로 바뀔 위험이 항상 도사 리고 있기에 불안함을 느끼게 한다.
지금 나에게 있는 것을 찾자. 남이 정해준 기준 대신 나만이"가지고 있는 것" 에 눈을 돌리고 꾸임 없이 솔직하게 자기 존재감의 에너지를 자양분으로 삼고 사는 것이 진정한 행복이다.
있는 그대로의 내 감정을 받아들이며 사는 것이 필요하다. 이 방법을 주도하는 것은 뇌의 비 인지 적 활동이다.

나 자신에게 '좋아요' 를 눌러 주세요 이 책의 파트 3 지금 내 모습도 충분히 괜찮다고 느끼는 순간, 이번 장에서는 자기 존재감의 장점과 자기 존재감을 발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자기 존재감은 특별히 긍정적으로 생각하지 않아도 되며 아이들이 자기 내면에 있는 것을 느낄 수 있으면 충분하다. 우리 모두 자기 존재감을 이미 갖고 있다. 긍정해야 한다는 강박감을 느낄 필요 없다.
나를 오롯이 바라봄으로써 내가 누구인지 알게 되면 나의 존재를 깨달을 수 있으며, 이 깨달음이 자기 존재감의 싹으로 자랄 것이다.
자신감을 가지려면 내 마음부터 보듬어주고, 나는 내 운명의 주인, 내 영혼의 선장이다 라고 항상 생각하고, 남과 비교하지 않을 때 자유로워진다.
흔들림 없이 나 답게 나만의 인생을 살려면 자기 존재감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나보다 뛰어난 사람이 많다는 사실을 부정하지 말고 한계를 받아들이고 다른 관점으로 인생을 살아보는 것은 어떨까?
나 자신에게 '좋아요' 를 눌러 주세요 이 책에서 비 인지 적 사고방식을 기르는 뇌의 전환인 "BX" 를 함께 활용할 것을 추천한다.

나 자신에게 '좋아요' 를 눌러 주세요 이 책의 파트 4 오늘 하루 있는 그대로의 내 모습으로 살았나요? 이번 장에서는 성공과 실패 말고 다른 것도 있다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나만의 꿈이 있는 사람은 이 세상에서 나 하나 뿐이다. 남들이 다 꾸는 꿈을 이루고 얻은 자기 긍정 감 대신, 꿈이 있다는 것 자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자기 존재감은 내가 살아 있다는 것을 실감하게 하고 안정감을 느끼게 한다.
나에게 집중하는 것을 자기 관찰이라고 하는데, 이는 요가나 명상, 좌선으로 가능하다. 성공 체험 만을 강조하는 인 지적인 자기 긍정 감에 집착하지 말고 나의 감정을 깨닫는 "비 인지 적인 뇌" 를 사용하면 예전보다 훨씬 단단해진 나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나 자신에게 '좋아요' 를 눌러 주세요 이 책의 파트 5 "잘했다" 대신 "고맙다" "기대 할께" 대신 "응원 할께" 아이를 이해하고 기다려주는 것이 바로 "응원" 이며 이 말에는 비 인지 적 사고가 담겨있다.
아이에게 지시하듯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아이와 함께 이야기하고 체험하면서 아이 스스로 깨닫게 해야 한다. 실패해도 행복할 수 있다고 말해주고, 어릴 때부터 "노력하는 즐거움" 을 스스로 체험하고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것이 아이의 인생을 크게 좌우할 것이다.
나 자신에게 '좋아요' 를 눌러 주세요 이 책에서 자기 긍정 감은 내가 아닌 외부의 조건이나 평가, 상식,비교 등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여기에는 진정한 의미의 행복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나라는 존재와 생각 그리고 감정에 몰입하여 "자기 존재감" 을 기르는 것이 더 행복하다고 말하고 싶다. 이것이 바로 나 자신에게 "좋아요" 를 눌러 주세요 이 책의 주제이다.
자기 긍정 감 지상 주의에 빠져 괴로워하고 있는 분이 있다면, 나 자신에게 '좋아요' 를 눌러 주세요 이 책의 내용이 자기 존재감의 소중함에 눈뜨는 계기가 되면 좋겠다.
자기 긍정 감을 기르는 일에 집착해 괴로워하던 사람이 자기 존재감을 깨닫는다면, 타인의 시선과 평가 따위에 신경 쓰지 않고 새로운 인생을 살 수 있다.
자기 존재감은 특별한 것이 아니다. 원래부터 내가 "가진 것" 을 "깨닫기" 만 하면 된다. 내가 이미 가지고 있는 능력 말이다.
자기 존재감을 가지면 나만의 안식처가 현재 내 안에 있다는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우리에게는 안식처가 필요하다. 우리 개개인의 안식처는 바로 나 자신이며 이를 깨닫는 삶의 원동력은 바로 자기 존재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