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결코 어머니가 없었다 - 엄마와 딸의 공동 회고록
하재영 지음 / 휴머니스트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결코 어머니가 없었다 / 하재영 지음 / 출판 휴머니스트

"나는 결코 어머니가 없었다(I never had a mother)" 는 에밀리 디킨슨이 편지에 썼던 유명한 문장이다.

이 선언은 모계에 대한 부정이 아니다. 내 안의 "여성적 힘" 을 선포하는 것이고, 어머니의 시대를 넘어서는 것이며, 나를 낳은 여자의 분신으로 살지 않겠다고 다짐하는 것이다.

그 여성에게는 모두 어머니가 없다고, 나는 결코 어머니가 없었다 이 책의 저자는 말한다. 나는 결코 어머니가 없었다 이 책은 에세이 도서로서 엄마와 딸의 공동 회고록이다. 이 책은 엄마의 삶을 경청하고 해석하고 감 응하려는 작업이었다. 많은 딸이 어머니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때로는 옹호 자를 자처하지만, 나는 결코 어머니가 없었다 이 책의 저자에게는 그 중간 단계로써 필요했다고 말한다.


나는 결코 어머니가 없었다 이 책에서 저자의 눈이 비친 엄마는 저자의 엄마 라기 보다 동네의 공공재 같은 사람이었다는 기억만 남았다고 한다.

나는 결코 어머니가 없었다 이 책의 저자는 강한 자의식과 자유에 대한 갈증이 있고, 책과 영화를 좋아했다.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이 되는 기분, 여기가 아닌 다른 세상에 사는 느낌, 그게 좋아서 책과 영화에 몰두했다. 이 책의 저자는 열정도 야망도 없었고, 결혼해서 살림하고 시부모 모시고 남편 내조 하고 아이 키우는 게 전부인 줄 알고 살았다.

저자가 봤던 여자 어른은 대부분 누구의 아내이고 며느리이고 엄마였다.

인생에서 가장 좋았던 시기를 꼽으라면 학생이었던 시절, 누구의 아내도 며느리도 엄마도 아니었던 시절, 내가 그저 나였던 시절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나는 결코 어머니가 없었다 이 책에서 저자의 엄마 눈에 비친 딸의 모습은 무엇이든 해낼 수 있다, 그냥 해내는 정도가 아니라 "잘" 해낼 수 있다.

"특별한 사람" 이라는 나의 자아 상이었고, 엄마는 저자를 고집스러운 성격을 가진 "나대는" 여자아이는 "꺽어야" 한다고 했다.

결혼 후 엄마는 30년에 가까운 시집살이를 하며 목소리와 자리가 없는 존재로 살았다.

엄마의 시가에서 의 노동과 위치를 불평등한 일로 여기기보다는 그 시절 여자의 "평범한" 삶을 불평등한 일로 여기기보다는 그 시절 여자의 "평범한" 삶이라고 생각했다.

엄마에게 증오를 표출하고 책임을 전가 하느라 나와 엄마를 둘러싼 세계에 대해 질문하지 못했다.

우리는 세계의 실패를 직시하는 대신 그 실패를 어머니라는 개인에게 떠넘김으로써 근본적 원인을 은폐한다. 어머니도 다른 모든 이와 마찬가지로 실패하는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나는 결코 어머니가 없었다 이 책의 저자가 가정 밖으로 나가 새로운 전선으로 뛰어든 이유는 하나 였다.

남편을 대신하여 일시적으로 나마 가족을 부양하는 것. 엄마의 노동은 언제나 "스위트 홈" 에 복무하는 것이었다. 아빠가 건재할 때는 집 안에서 노동 함으로써, 아빠가 부재 할 때는 집 안팎에서 이중으로 노동 함으로써. 엄마의 노동은 개인적 포부나 의식의 변화에 따른 것이 아니라 오로지 가정을 지켜야 한다는 책임감에 기인한 것이었다.

나는 결코 어머니가 없었다 이 책에서 나의 "일" 에 대해 말하는 것은 "폭력" 대해 말하는 것이다 에서는 엄마의 "노동" 에 대해 딸이자 다음 세대 여성으로서 이야기했다. 이 문장은 어폐와 누락을 함께 담고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할머니에게 저자는 며느리이자 딸이고, 말 동무이자 시녀였다. 할머니의 세계에서 그 모든 역할을 감당하는 유일한 사람으로 여겼다.

엄마를 가둔 것이 할머니라면 할머니를 가둔 것은 가부장제라는 공고한 체제였는지 모른다.

서로 다른 의미에서 두 사람은 "갇혀 있는 자" 가 아니었을까? 내가 슬픈 건 엄마와의 추억이 떠오를 때가 아니야. 추억 할 게 없다는 걸 깨달을 때야. 엄마처럼, 나에게도 할머니와의 추억이 거의 없었다. 나는 그녀에 대해 아는 것도, 말할 수 있는 것도 없었다.

나는 결코 어머니가 없었다 이 책의 숙명적 한계는 어느 장에서도 나의 모계, 엄마의 엄마의 엄마들에 대한 "서사 적 단서" 를 발견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것은 사라졌기 때문이다. 그나마 남아있는 기억은 파편 적이고 분절 적이다.

나는 결코 어머니가 없었다 책을 다 읽고 나서 이런 생각이 들었다. "여자의 적은 여자" 이 책과 어울리는지는 모르겠지만, 문득 왜 이 단어가 떠올랐을까, 어머니니까, 딸이니까, 더 잘 알고 더 이해하고 서로 보듬어 주면서 대화를 나누고 이해하면서 같이 생존했으면 좋지 않았을까?

나는 결코 어머니가 없었다 이 책을 읽고 나서 나와 엄마 관계를 생각해 보았다. 엄마는 딸들이 믿고 화났을 때 하소연 하는 곳이고, 무슨 말을 하던 엄마는 다 받아줘야 하는 존재라는 것으로 알고 있었다. 아니 또 그렇게 해야만 하는 것인 줄 알았다.

나는 결코 어머니가 없었다 이 책은 저자와 어머니와 딸에 대한 서로 이해가 되지 않는 상황들에서 살아가고 성장하는 것을 조금 배운다.

이 책을 읽고 이 책의 저자가 조선 시대도 아닌데 시집살이를 당연히 그렇게 해야 하는 것인 줄 알고 견뎌낸 것이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