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 현대지성 클래식 48
알베르 카뮈 지음, 유기환 옮김 / 현대지성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베르 카뮈의 소설 이방인 / 저자 알베르 카뮈 / 출판 현대지성

학창 시절 누구나 한번 쯤은 읽었던 소설 알베르 카뮈를 어른이 되어서 다시 읽게 되었다. 학창 시절에 카뮈 책은 글씨도 작았던 것으로 기억하고, 책 속에 그림도 없이 그냥 글씨만 있었던 것으로 기억되고, 지루하게 읽었던 기억을 더듬어 본다.

하지만 오늘 다시 읽게 된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은 국내 최초 컬러 일러스트가 수록되어 있고, 글씨도 크고 읽기가 아주 수월하여 좋았다.

학창 시절에 읽었던 이방인의 느낌, 사실 학창 시절에 읽었던 소설 이방인은 기억이 가물 가물 하고 학창 시절에 읽어야 할 도서이기 때문에 읽었던 것 같다. 지금 어른이 되어서 다시 읽는 이방인은 어떤 느낌으로 나에게 다가오는지 기대된다.



이방인 이 책의 저자 알베르 카뮈는 그의 삶은 그 자체로 "이방인" 의 삶이었다고 한다. 알제리 출신 프랑스인은 알제리에서 나 프랑스에서 나 뿌리 없는 이방인이었다. 학교에서는 빈민이어서 이방인이었고, 집에서는 지식인이어서 이방인이었다.

알베르 카뮈의 작품 세계는 부조리, 반항, 사랑이라는 세 개의 주제로 요약되며, 각 주제는 에세이, 소설, 희곡으로 형상화된다.

알베르 카뮈의 태어난 주변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아, 작품도 부조리, 반항에 대한 이야기를 책으로 쓴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사람은 태어나고 자란 환경이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끼게 한다.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 이 책은 목차에 들어가기 전에 "번역 초판 본을 위한 옮긴이의 말, 번역 개정판을 위한 옮긴이의 말, 이방인의 미국 판 서문" 으로 되어 있고, 총 1부, 2부로 구성되어 있는 프랑스 소설 도서이다.


이방인 이 책을 옮긴이 유기환은 말한다. 이방인은 문체를 강조하는 소설이기에 우리말로 옮기기가 몹시 어렵고, 이미 여러 차례 우리말로 번역되었기에 새로움을 부여하기도 쉽지 않다고 말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번역을 감행한 것은 그것이 개인적으로 무척 오랜 꿈이었기 때문이라고 이 책의 옮긴이 유기환은 말한다.

이방인은 강의를 통해 학생들과 함께 반복 적으로 읽은 소설이라고 한다.

이방인의 번역의 성패를 가르는 관건은 두 가지로 보인다고 한다. 하나는 작가의 스타일, 카뮈의 문체를 되살리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주인공의 스타일, 뫼르소의 성격을 살리는 것이라고 말한다.

유명한 작품이므로 번역에도 많은 신경을 써야 했고, 번역은 상대적으로 어떻게 번역 하기에 따라 개인적인 생각이 들어 갈 수 있어 원본의 내용과 다를 수도 있으니 이방인의 번역을 맡으면서 세상에 내 놓은 것은 쉬운 일이 아니라는 생각을 해본다.


첫 문장이 유명한 작품 이방인은 "오늘, 엄마가 죽었다. 어쩌면 어제, 잘 모르겠다." 우리말로 옮길 때 이 대목이 힘들었다고 한다.

평범한 직장인으로 살던 프랑스인 뫼르소는 마렝고 양로원에 보낸 어머니가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장례식장을 가게 된다.

뫼르소는 슬픔 같은 별다른 감정의 변화를 드러내지 않는다. 주인공 뫼르소는 보통 사람들과 다르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괴팍한 인물로 비춰지기도 한다. 하지만 보통 사람과 마찬가지로 무난히 장례를 마치고 돌아온다.

다음날 뫼르소는 해수욕을 하러 가고, 그곳에서 사무실 타자 수로 일했던 마리 카르도나를 만나 영화관에 가고 함께 시간을 보낸다.

다음 날엔 이웃인 살라마노 영감을 만나고, 다른 이웃집 사람 레몽이 저녁에 초대해서는 자기와 친구가 되자고 한다. 레몽이 뫼르소에게 자길 도와 달라고 부탁하는데, 뫼로소는 레몽을 돕게 된다.

며칠 후 뫼르소는 레몽과 함께 해변으로 놀러 갔다가 그들을 미행하던 아랍인들과 마주치고, 싸움이 벌어져 레몽이 다치게 된다.

레몽과 함께 샘에 갔다 우연히 레몽을 찔렀던 아랍인을 만나고, 레몽은 가지고 있던 총을 뫼르소에게 건네 준다. 뫼르소는 다시 샘으로 갔다가, 레몽을 다치게 한 아립인을 만난다. 뜨거운 태양을 이기지 못하고 자신도 모르게 방아쇠를 당긴다.

그때 뫼르소는 움직이지 않는 아립인 몸에 다시 네 방을 쏘았다. 그것은 마치 불행의 문을 두드린 네 번의 짧은 노크 소리와도 같았다.


이방인 2부 시작은 체포된 직후에, 뫼르소는 여러 번 심문을 받았다. 예심 판사는 변호인을 내세우지 않으면, 국선 번호인을 지명하게 된다고 말한다.

뫼르소는 처음에는 법정 등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결과로 끝날 것이라는 결과를 들었고, 국선 변호사나 예심 판사도 사건은 별 볼일 없는 정도로 취급될 것이라고 이야기 한다.

판사는 뫼르소에게 메마른 영혼이라고 말했고, 뫼르소가 한 행동을 후회하는지 알고 싶어 했다. 하지만 뫼르소는 진정한 후회보다는 차라리 일종의 난처함을 느낀다고 말했다.

판사는 뫼르소를 이해하지 못한다는 인상을 받았다. 이날 심문은 여기까지 하고 끝났다.

예전에 프랑스 영화를 본 적이 있다. 다른 외국 영화를 보면 처음에는 내용의 흐름을 알 수 없어도 어느 정도 보면 내용이 어떻게 흘러 가겠다는 예상을 하게 된다. 하지만 프랑스 영화는 내용의 흐름을 파악할 수가 없이 난해 한 적이 있었다.

결말도 예상 외로 나와서 의외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알베르 카뫼의 프랑스 소설 이방인 역시 읽는 동안 내용의 흐름이 쉽게 파악 되지 않았다.

하지만 현재 이방인 소설은 중간 중간에 일러스트가 삽입되어 있어 읽는 동안 내용은 어려워도 그림을 보면서 어떠한 상황인지 파악은 된다.

사람을 죽여 잡혀 온 뫼르소에게 판사가 어떤 집행을 내릴지 결말이 궁금하다.

학창 시절에는 순수한 마음으로 감동 받으며 읽으면서 뫼르소는 엄마가 돌아가셨는데 눈물도 흘리지 않는 인정 없는 아들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하지만 현실을 많이 알게 된 어른이 되어 읽는 이방인은 엄마의 죽음에도 눈물 흘리지 않는 뫼르소의 성격도 이해가 되고, 마음 속으로는 슬픔을 느끼겠지만, 겉으로 표현을 하지 않아 그럴 수도 있는 일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