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무 일도 하지 말라 - 인간을 살리는 쉼에 관한 21가지 짧은 성찰
이오갑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23년 2월
평점 :
아무 일도 하지 말라 / 저자 이오갑 / 출판 추수밭

아무 일도 하지 말라 이 책 제목을 처음 보았을 때, 어떻게 사람이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살아 갈 수 있을까 생각을 했다.
하지만 아무 일도 하지 말라는 것은 일을 아예 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사람들처럼 너무 열심히 밤낮없이 일하다가 과로 사로 사망하는 뉴스를 종종 들을 때가 있어 안타까웠다.
아무 일도 하지 말라 이 책의 부제모는 인간을 살리는 쉼에 관한 21가지 짧은 성찰에 대한 이야기를 소개해 놓은 교양 인문 도서이다.
인생의 쉼을 통해 나를 완성해가는 여정으로, 사람보다 일이 주인이 된 세상에서 나 다운 삶을 지켜내기 위한 안식 지침서 이다.
아무 일도 하지 말라 이 책은 쉬지 못하고 과로로 내몰리는 사람들의 문제에 주목하며 시작되었다.

우리 사회에는 제대로 쉬지 못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직장인은 물론 자영업자들과 어린 학생들도 마찬가지이다.
쉬어야 건강을 유지하고 일의 능률도 올릴 수 있다. 갈고닦은 실력을 오랫동안 발휘하며 사회에 기여하는 것도 적당히 쉬어야 가능하다.
사람들이 쉬지 못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하나는 자본주의라는 사회 경제 체제와 그 체제에서 비롯한 빈곤, 불평등 같은 사회적인 요인이다.
또 하나는 사회 구성원인 개인들의 욕망과 불안을 축으로 하는 심리적인 요인이다.
아무 일도 하지 말라 이 책에서는 쉬지 못하는 두 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현실을 살펴보고 대안을 찾아보려는 내용을 이야기해 놓았다.

한국인은 어떻게 워커홀릭이 되었을까?, 왜 이토록 많은 일을 하면서 서로 혹사 시키고 혹사 당하는 걸 편하게 여기게 됐을까?
아무 일도 하지 말라 이 책의 저자는 한국인들의 일중독이 성장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겪었던 트라우마에 주목한다고 말한다.
가장 큰 트라우마는 어릴 때부터 가정에서, 학교에서, 학원에서 공부에 내몰렸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한국인이 이런 성장 과정을 거치면 일밖에 모르는 사람이 된 것이다.
일을 강요하는 체제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게 된 것이다.
이제는 몸도 마음도 쉬고 여가를 누리고 자유를 느끼며 사는 식으로 우리의 일상을 재 구조화할 때이다. 우리의 삶을 되돌아보고, 보다 건강하고 행복한 방식의 삶을 향해 나갈 기회이다.

아무 일도 하지 말라 이 책에서 어떻게 쉴 것 인가에 대해서는 유대인의 "안식일" 을 예를 들어 소개해 놓았고, 시계의 보면 누구나 정신 차리고 긴장하게 되지만, 달리 의 "늘어진 시계" 그림을 보면 객관성, 정확성, 체계성 같은 것을 무너뜨렸다고 말한다.
안식 일을 민족 정체성으로 삼을 정도로 중시했던 유대 사회처럼 쉼의 규율, 안식 법이 발달한 곳은 없다. 오늘로 말하면 근로 기준 법 이다.
휴일은 즐겁고 기쁘고 신 나는 날이 될 수 있고, 또 그래야만 아주 쉽고 당연하게 우리 삶의 일부가 된다.

쉼에도 규율을 만들어 놓아야 타성에 젖지 않은 휴일을 취할 수 있다. 휴일을 의미 있게 보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기에 규율을 정해서 지킨다는 결심이 필요하다.
자영업자들이나 회사원들이라고 해도 휴일을 규율로 만들어 놓지 않으면 제대로 쉬지 못하고, 쉬는 것도 아니고 안 쉬는 것도 아닌 어정쩡한 날이 되기 쉽다. 그래서 일주일에 하루 이틀은 분명하게 쉬겠다는 결심으로 휴일의 규정을 정해야 한다.
휴일에 일을 하지 않기 위해서는 즐겁고 기쁘고 행복한 걸 해야 한다고 아무 일도 하지 말라 이 책의 저자는 말한다.
또한 휴일에는 어떤 공부가 필요한가, 나를 알아가는 공부, 사회와 문화를 알아가는 공부, 모임으로 지속적인 쉼의 환경 만들기 등에 대해서도 필요한 이유를 상세하게 설명해 놓았다.

우리는 휴식을 취한다고 하면, TV 를 보던지, 스마트폰을 보던지, 컴퓨터에서 게임을 하곤 한다. 실제로 주 52시간 근무 제 도입으로 여가 시간이 늘어나자 미디어 소비에 쓰는 시간이 61.1%로 제일 많았다고 한다. 이중 스마트폰 이용이 45.1%로 가장 많았다고 한다.
이제는 일을 안 하는 휴일에 인터넷을 쓰는 시간이 더 길 정도로 인터넷은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고 있다.
인터넷을 하는 게 쉬기 위해서 라고 강변 할 수 있다. 온전한 쉼을 원한다면 주 중 하루만 이라도 인터넷에 접속하지 말아야 한다.
디지털 디톡스를 실천한다면 인터넷 과다 사용으로 인한 여러 부작용을 해소할 수 있다.
우리는 휴식을 취한다고 하면, 가족들과 야외로 나갈 일이 없으면, 못 다한 집안일을 하거나, 티브이를 보거나 스마트폰을 보게 된다.
친구들 모임 약속이 있어 나가도, 이야기 하는 도중에 스마트폰을 보는 친구들도 간혹 있다. 이렇게 쉬는 것은 제대로 쉼을 쉬는 것이 아니라고 아무 일도 하지 말라 이 책의 저자는 말한다.
책 제목처럼 쉬는 날 하루는 아무 일도 하지 말고, 쉬는 것에만 집중하는 것이다. 그것도 즐겁고 재미있게 휴일을 즐겨야 한다. 그래야 쉬는 날이 즐겁고 재미있어 다음 주 쉬는 날이 기대가 되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의 쉼에 대한 문화는 아직 어색한 거 같다는 생각을 해 본다. 외국 사람들은 휴일을 제대로 확실하게 즐기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휴일을 제대로 즐기지 못하는 것 같다.
나도 하루 쉬는 날에는 하다 못한 집안 일을 하거나, 티브이 또는 스마트폰을 보는 경우가 많은데, 오로지 쉼에 만 집중하여 어떻게 쉬는 게 정말 즐겁게 재미있게 쉬는 것인지 쉼에 대한 목표를 정해서 실천해야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