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일, 내가 다시 좋아지고 싶어 - 지금껏 애써온 자신을 위한 19가지 공감과 위로
황유나 지음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3년 1월
평점 :
내일, 내가 다시 좋아지고 싶어 / 황유나 지음 / 출판 리드리드

내일, 내가 다시 좋아지고 싶어 이 책은 저자가 자라 오면서 겪은 내용과 졸업 후 금융회사, 패션, 코스메틱까지 다양한 분야의 회사에서 겪은 내밀 한 이야기를 에세이로 풀어냈고, 그 아픔과 상처에 보내는 19가지 공감과 위로, 다정한 치유의 이야기를 담았다.
내일, 내가 다시 좋아지고 싶어 이 책의 목차는 챕터 19로 구성되어 있는 에세이 도서이다.

내일, 내가 다시 좋아지고 싶어 이 책의 저자는 폭력, 이혼, 자살, 실직 등 다소 과격하고 극단적인 사건들을 겪으며 살아왔다.
그중 어떤 것도 전혀 쓸모없다고 생각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이 경험이 나를 더욱 단단하게 만들어 주었다고 한다. 좋을 것도 나쁜 것도 없다. 어느 것이든 나를 영글게 하는 거름으로 삼으련다.
이렇게 마음먹으니 매 순간 순간이 아쉬워진다. 읽고 쓰는 것을 좋아하는 것은 물론,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하여 내일, 내가 다시 좋아지고 싶어 이 책의 일러스트를 직접 그렸다.
꿈은 "멈추지 않고 꿈꾸는 것"이다. 가까운 시일 내 "전업 작가" 겸 "일러스트 레이터" 가 될 수 있길 꿈꾸며, 먼 미래에는 "재미있는 이야기 할머니" 가 되기를 꿈꾼다고 한다.

내일, 내가 다시 좋아지고 싶어 이 책의 저자는 한번 보고 마는 사람보다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 사람과의 대면을 더 두려워한다.
그래서 아는 사람과 있는 게 되려 불편하다. 사회에 주눅 든 나, 음지로 자꾸 기어드는 나, 그늘에서만 서성거리는 나. 저자는 이런 내가 싫었다.
세상에 나가보자는 다짐, 대신 "진짜 나" 를 감추고 "가짜 나" 로 나가기로 했다.
모두가 나를 싫어하게 된 상황에서 모두 나를 좋아해주길 바라는 이 심리, 대체 무슨 아이러니인가. 수줍음은 "자기 애" 의 결정체이다.
내일, 내가 다시 좋아지고 싶어 이 책의 저자는 내성적인 사람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눈에 어떻게 비칠까 극도로 예민하게 신경 쓰는 사람이었다.
나는 자존감에도 성장판이 있다고 믿는다. 이제부터라도 사소한 기특함을 벽돌 삼아 차곡차곡 쌓아 가려 한다.

우주의 별들이 서로 더 빠른 속도로 멀어지는 것처럼 시간의 흐름도 점점 가속도를 높여 가는 것 같다. 같은 10년이라도 과거 기점에서 멀어질수록 세상은 더 빨리 변한다.
세계 속 한국의 인지도는 급격히 상승했다. 수많은 외국인이 한국의 문화를 즐기며 우리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불과 2,30년 전이다. 그 시대를 살았던 내가 느끼는 문화의 괴리가 이렇게 큰데, 거듭 가속 페달을 밟으며 진화 중인 지금의 어린 세대는 오죽 할까.
어쩌면 세대 간 "공유" 라는 것 자체가 욕심인지도 모른다. 변화의 속도가 너무 빨라 숨이 차기도 하지만 각 세대 나름대로 꾸준히 애쓰고 있다. 젠체 하지 않고 나의 속도로 걷는 걸음이 가장 자연스럽다.

내일, 내가 다시 좋아지고 싶어 이 책의 저자는 약물 치료를 받으며 심리 상담, 인지 치료, 집단 치료에 참여했다.
모든 치료와 조언이 무색하게 결국 "나를 치유하는 것은 나 자신이어야 만했다."는 것을 깨닫는다.
의도대로 태어난 것이 아니니 의도대로 살아갈 수도 없다.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야 했다. 손에 움켜쥔 조각 중 어느 것 하나 하찮은 것이 없다.
다만, 조각 하나하나마다 부여해온 "의미" 라는 비장한 척도는 지워야겠다. 사는 게 한결 가벼워지도록. 그렇게 된다면 내 인생도 축제가 될지 모를 일이다 라고 내일, 내가 다시 좋아지고 싶어 이 책의 저자는 말한다. "행복도 습관이다."
누구 에게 나 상처는 있다. 하지만 내일, 내가 다시 좋아지고 싶어 이 책의 저자는 어렸을 때부터 상처가 너무 많은 것 같다.
그리고 주위의 알고 지내는 사람들, 친척들에게도 많은 상처를 가지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까웠다.
내일, 내가 다시 좋아지고 싶어 이 책의 처음에는 저자가 어렸을 때부터 살아온 내용과 직장 생활을 하면서 겪은 내용들을 읽을 때는 공감과 위로를 받게 되는데, 책 내용 뒷 편으로 갈수록 내일, 내가 다시 좋아지고 싶어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눈물이 났다.
눈물의 의미는 나도 모르겠지만, 책 제목처럼 내일, 내가 다시 좋아지고 싶어, 저자는 힘든 역경도 이겨내 보지만 사는 게 너무 힘들고 지쳐서 자살 시도도 몇 번씩 해보고, 남편에 대한 내용도 어렸을 때부터 밝게 자라지 못한 이야기를 읽다 보니 눈물이 흐른 거 같다.
아무튼 내일, 내가 다시 좋아지고 싶어 이 책을 읽고 내 자신이 치유를 받은 것이 아니고, 저자가 참으로 힘들게 살아 왔다는 게 슬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