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끌림 ㅣ 세라 워터스 빅토리아 시대 3부작
세라 워터스 지음, 최용준 옮김 / 열린책들 / 2020년 12월
평점 :
#영미장편소설 #끌림 - 세라 워터스 장편소설 / 열린책들..

#영미장편소설 #끌림 세라 워터스 장편소설로 5부작으로 소개되어 있다. 매혹적인 빅토리안 로맨스의 두 번째 이야기!
#영미장편소설 #끌림의 저자 세라 워터스는 1966년 영국 웨일스의 펨브로크셔에서 태어났다.
켄트 대학교와 랭커스터 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퀸 메리 대학에서 레즈비언과 게이 역사 소설에 관한 연구로 영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 논문을 준비하면서 다양한 레즈비언 역사 소설과 19세기 외설 문학 작품을 접하게 되었고, 그에 관한 연구와 조사가 소설의 집필로까지 이어져 탄생하게 된 것이 바로 데뷔작 『벨벳 애무하기TIPPING THE VELVET』(1998)이다.

빅토리아 시대의 감옥 밀뱅크, 그곳에 복역 중인 여죄수들에게 허락된 것은 한 조각 햇빛뿐이다.
2년 전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 우울증에 빠진 상류층 숙녀 마거릿은 마음의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밀뱅크에 가 죄수들과 이야기를 나눈다. 다른 죄수들과 달리 신비한 분위기를 풍기는 영매 셀리나에게 점점 끌리는 자신을 발견한 그녀는 두려움에 휩싸인다.
영혼을 불러낼 수 있다는 셀리나의 말을 믿지 않던 마거릿은 셀리나의 물건들이 자신의 방에서 발견되고, 셀리나가 마음속 생각을 꿰뚫고 있는 것에 놀라며 더욱더 그녀에게 빠져들어 간다. 침침한데도 하얀 칠이 된 감방 안이 아무런 장식도 없이 무척이나 삭막한 것이 드러났고, 지금 두 눈을 감고 생각해 보면 그곳을 생생하게 떠올릴 수 있다. 벽 높은 곳에는 작은 창이 나 있었다.
노란 유리를 끼운 창에는 철망을 쳤다. 물론 이 창은 내가 실리토 씨와 함께 핵스비 양의 탑에서 내려다보던 그 유리창 가운데 하나였다. 문 옆에는 「수인이 주의할 점」과 「수인의 기도」라 적힌 에나멜 판이 있었다. 아무런 칠도 하지 않은 나무 선반에는 머그 하나, 나무 접시 하나, 소금 통 하나, 성경책과 『죄수의 벗』이라는 종교 서적이 있었다. 의자와 탁자, 개켜진 해먹이 하나씩 있고, 해먹 옆에는 자루와 진홍색 실이 담긴 쟁반, 그리고 이가 나간 에나멜 뚜껑이 덮인 「오물통」이 있었다.
좁은 창턱에는 빗이 하나 놓였는데, 빗살이 갈라지거나 닳았고, 구불거리는 머리털과 비듬이 엉켜 있었다.
나중에 알고 보니, 그 빗이 이 감방과 다른 감방을 구별해주는 유일한 물건이었다. 이곳에 갇힌 여자들은 자기 물건을 아무것도 가질 수 없으며, 배급받은 물건, 즉 머그, 접시, 성경책을 아주 깨끗이 써야 하고, 정해진 순서대로 정렬해 놓아야 했다

나는 내 삶을 옮겨 적는 책에는 삶이나 사랑이 전혀 배어 있지 않은, 단지 카탈로그처럼 만들 자신이 있었다. 하지만 이제 결국 내 마음이 일기장의 모든 페이지에 스며든 걸 볼 수 있다. 일기장의 굴곡진 길이 보였고,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그것은 더욱 견고해졌다. 그것은 계속 견고해지더니 마침내 하나의 이름이 되었다.
셀리나. 오늘 저녁, 하마터면 이 일기장을 불태워 버릴 뻔했다. 지난번 것을 그리했듯이 말이다. 하지만 고개를 들었을 때 책상위에 놓인 꽃병이 보였다. 꽃병에는 오렌지 꽃다발이 꽂혀 있었다. 그리고 그 꽃다발은 셀리나가 약속한 대로 계속 하얗고 향기로웠다. 나는 오렌지 꽃다발로 다가가 물이 뚝뚝 떨어지는 채로 꽃병에서 뽑아냈다. 내가 태운 것은 그것이었다.
나는 쉭쉭거리는 석탄불 위에 그것을 들고 있었고, 꽃다발이 비틀어지고 시커메지는 모습을 지켜보았다. 꽃잎 한 장만을 남겨 두었다. 그것을 여기에 넣고 눌러두었으며, 이제 이 페이지는 절대로 열지 않을 생각이다. 내가 일기장을 다시 펼치면 꽃향기가 나며 내게 경고하리라. 그것은 칼날처럼 빠르고 날카롭고 위험하게 나를 위협하리라. 그녀는 고개를 설레설레 저었다.
그녀가 말했다. 「제 평생, 제가 살아온 주, 달, 해 내내 저는 이해한다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저는 아무것도 몰랐어요. 저는 그 내내 빛 속에서 눈을 감고 있었다고 생각했어요! 저를 찾아오는 가엾은 숙녀들, 제 손을 만지고 저에게서 제 영혼의 일부를 자신에게 끌어가던 그 숙녀들은 하나같이 모두가 그림자였을 뿐이에요. 오로라, 그 사람들은 당신의 그림자였어요! 저는 단지 당신을 찾아다닌 것이었어요. 당신이 저를 찾듯이요. 당신은 저를 찾아다녔어요, 당신의 반쪽을요. 그리고 이제 당신이 저를 멀리한다면 우리는 죽고 말 거예요!」 내 반쪽. 내가 그것을 알았나? 셀리나는 내가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셀리나가 말했다.
「당신은 짐작을 했고, 느꼈어요. 그리고 저는 당신이 저보다도 먼저 느꼈다고 생각해요. 당신이 저를 처음 본 순간, 당신은 그것을 느꼈을 거예요.」 나는 밝은 감방에 있는 그녀를 지켜보았던 기억을 떠올렸다. 태양을 향해 살짝 머리를 기울이고, 두 손에 제비꽃을 들고 있던 그 모습을. 그녀가 방금 말한 대로, 내 시선에 그러한 목적이 담겨 있지는 않았을까?
세라 워터스 장편소설 끌림은 처음부터 끝까지 마거릿과 셀리나의 일기로 구성되어 있다. 끌림은 은 1970년대의 여성 교도소와 영매의 세계를 배경으로 빅토리아 시대 여성들의 단면을 치밀하게 그려 낸다. 부유한 상속녀 마거릿과 사기죄로 감옥에 갇혀 있는 영매 셀리나의 미묘한 관계를 그리며, 감옥에서의 생활, 빅토리아 시대의 강신술, 성적 정체성에 대한 자각을 통한 사랑과 배신을 리얼하게 묘사한다. 마거릿과 셀리나의 일기가 교차하며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소설은 외로움과 그에 따른 관계에 대한 갈망, 자유에 대한 욕망을 다루고 있으며, 흡인력 있는 전개와 숨 막히는 반전으로 마지막까지 책을 손에서 놓지 못하게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