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뇌에는 감정신호, 특히 얼굴에서 보이는 신호의 가치와 의미를 읽고 해독하는 일을 맡은 영역들이 있다. 그리고 그 영역들은 렘수면이 밤에 재조정을 하는 뇌 영역들의 핵심 집합, 즉 망이기도 하다. 이 추가 역할을 이야기할 때는 렘수면을 피아노 조율의 대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밤에 뇌의 감정 악기를 완벽하게 다시 조율함으로써, 다음 날 아침에 일어날 때면 뻔히 드러나거나 미묘하게 감추는 미세한 표정까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렘수면 꿈을 빼앗기면, 뇌의 감정 조율곡선이 예리하게 정확히 맞추어지지 못한다. 서리 낀 유리창을 통해 보거나, 초점이 맞지 않은 사진을 보는 것처럼, 꿈을 못 꾼 뇌는 얼굴 표정을 정확히 해독할 수가 없다. 그래서 왜곡하게 된다. 적을 친구로 착각하기 시작한다. - P308
잠을 못 잔 참가자들은 보통은 밤에 렘수면의 재조율 솜씨를 통해제공되는 그런 예리한 감정 파악 능력이 사라지자, 두려움쪽으로 치우쳐 있는 기본 설정 상태로 빠져들었다. 온화하거나 좀 다정해 보이는 얼굴조차도 위협적이라고 믿게 되었다. 뇌에 렘수면이 부족할때, 바깥 세계는 더 위협적이고 피해야 할 곳이 되었다. 믿을 수 없는곳이 되었다. 잠을 못 잔 뇌의 <눈>에는 현실과 지각된 현실이 더 이상같은 것이 아니었다. 참가자들의 렘수면을 제거함으로써, 우리는말 그대로 자기 주변의 인간사회를 읽는총명한 능력을 제거했다. 이제 경찰관과 군인, 의사, 간호사, 구급 요원처럼 수면 부족을 요구하는 직업들을 생각해 보자. 궁극적인 형태의 돌보미 일을 하는 이들, 즉 갓난아기의 부모는 말할 것도 없다. 모두 중요한, 심지어 목숨이 걸린 판단을 내리려면 남의 감정을 정확히 읽어야 하는 역할들이다. 무기를 써야 할 만큼 진정으로 위험한지 알아차리거나, 진통제처방 용량을 바꾸어야 할지 판단을 내리기 위해서 감정 불안이나 고통 수준을 평가하거나, 위로를 해야 할지 단호하게 훈계를 해야 할지 판단을 내려야 한다. 렘수면과 뇌의 감정 나침반을 재설정하는 그능력을 접하지 못하면, 주변 세계를 사회적, 감정적으로 부정확하게 파악하게 될 것이고, 부적절한 판단과 행동을 함으로써 심각한 결과가 빚어질 수도 있다. - P310
비렘수면때 깨우면, 참가자는 그다지 창의적이지 않아 보였다. 단어 맞추기 퍼즐을 거의 풀지 못했다. 그러나 렘수면때, 꿈꾸는 단계에서 깨웠을 때는 상황이 전혀 달랐다. 전반적으로 문제 푸는 능력이 급상승했다. 참가자들은 비렘수면 단계에서 깨웠을 때나 깨어 있는 낮에 풀었을 때에 비해 렘수면 단계에서 깨웠을 때 퍼즐을15~35퍼센트 더 잘 풀었다! 게다가 참가자들이 렘수면에서 깨어난 직후에 문제를 푸는 방식은비렘수면에서 깨어났을 때와 낮에 깨어 있는 동안 문제를 푸는방식과 달랐다. 한 참가자가 내게 한 말을 그대로 쓰자면, 렘수면에서깨어난 직후에는 정답이 그냥 <튀어나왔다. 사실 그들은 당시에는 렘수면 단계에서 깨어났다는 것을 몰랐다. 뇌가 꿈꾸는 잠의 잔영에 잠겨 있을 때에는 정답이 더 수월하게 떠오르는 듯했다. 반응 시간을토대로 판단할 때, 렘수면에서 깨어나면 정답이 더 즉시 나왔다. 같은 사람이 비렘수면에서 깨어나거나 낮에 깨어 있는 상태에서 문제를 풀 때에는 그보다 더 느리고 곰곰이 생각한 끝에 정답이 나왔다. 렘수면의 잔류 증기는 더 유연하고 여기저기로 뻗어나가는 <열린>정보처리 상태를 제공하고 있었다. - P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