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뇌와 전적으로 동일시하여 그것이 바로 나라고 믿을 때,
그 고통은 압도적이다.

스스로의 생각과 덜 동일시해야한다.
그럼 ‘마땅히 그랬어야 할‘이라 보는 대신
‘그저 일어날 뿐‘인 일로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판단이 없다면 범주도없다. 실은 해석장치의 가장 비슷한 말이 판단이라고 말할 수있다. 판단의 도덕적인 면을 빼고 얘기하는 것이다), 해석한다 함은곧 무엇인가를 판단하는 것이며 이는 필연적이다. - P6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은 도구이다. 문제는,
당신이 도구를 쓰는가 아니면 도구가 당신을 부리는가?
_ 선불교 경구

좌뇌는 경험을 끊임없이 분석하고 현실에 대한 이야기를 진실이든 거짓이든 지어낸다. 좌뇌가 사용하는 주된 도구는 언어와 범주화이다.
이것이 내면에 사용될 때 자아라는 느낌을 창조한다.


해석장치의 주된 표현 방법이 언어라는 점은 다른 사람들과 소통할 때 가장 두드러지겠지만, 스스로에게도 말로 소통을 한다. 이를 생각이라 한다. 이 내면의 대화는 거의 모든 사람에게 지속적으로 벌어지고 있으며 그것이 자아라는 신기루를 창조하는 핵심 역할로 담당한다.

언어는 유능한 하인이지만 그것이 주인이 되면 끔찍하다. 언어는 훌륭한 도구이지만선불교에서 얘기하듯, 당신이 도구를 사용해야지 도구가 당신을 사용하면 곤란하다. - P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아가 진짜가 아니라는 체험을 통한 진정한 이해는 당신의 삶을 뿌리째 바꿔 놓을 수있다. 비록 좌뇌 해석장치는 항상 켜져 있고 맘대로 끌 수도없지만, 그것이 끊임없이 해석을 달고 있음을 눈치 채면 우리 자신과 세상에 대한 어떤 완전히 새로운 자각이 시작된다.

머릿속의 "나"와 아무런 의심도 없이 동일시하는 대신, 어느덧 방금 머릿속에서 이런저런판단과 이야기를 말하는 친구는 좌뇌 해석장치군.‘이라고 자각하는 내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그러면 생성된 이야기가 이전만큼 강하게 정신적, 감정적 반응을 일으키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고통이 감소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늙는다는 착각 - 하버드 심리학 거장이 전하는 건강하고 지혜롭게 사는 법
엘렌 랭어 지음, 변용란 옮김 / 유노북스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늙는다는 착각>. 새해라 그런가 제목이 딱 들어온다. 부정하고 싶지만 그럴 수 없는 노화가 착각이라니. 안 읽어볼 수가 없었다.

<마음챙김>으로 유명한 엘렌 랭어 박사는 이 책에서 건강과 노화에 대한 고정관념들을 일일이 지적하고 바로잡으면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우리가 질병에 관해 믿고 따르는 일반적인 통념과 전문가의 고정적 견해는 오히려 신체의 한계를 만들기 때문에 생각하는 방식을 바꿔 스스로 자신에 대한 통제권을 갖고 나이듦이 아닌 가능성에 마음을 열어야 한다고 강하게 우리를 설득한다.

모든 것이 확실하다면 선택은 불가능하다.

의구심이 없다면 선택의 여지도 없기 때문이다.

확신에 차 있을 때는 인식하든 아니든 간에 세상의 불확실성을 볼 수 없다.

그러나 건강을 생각한다면 우리는 기꺼이 불확실성을 껴안아야 한다.

그러면 선택하고 삶을 통제할 기회를 보상으로 얻을 수 있다.

누구나 건강을 통제할 수 있다. p050

책이 말하고자 하는 핵심은 "고정관념에 무의식적으로 위축되지 말고 가능성을 믿고 의도적으로 원하는 방향에 집중하자"는 것이다. 랭어 박사는 '시계 거꾸로 돌리기'실험과 다양한 심리검사를 바탕으로 마음을 변화시키면 몸도 건강해질 수 있다는 믿음을 입증해낸다. 실험에서 노인들은 20년 전이라고 단순히 회상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의 경험을 현재형으로 말하면서 완벽하게 과거로 되돌아갔다. 그렇게 전혀 다르게 보낸 1주일 후 그들의 신체기능은 현저히 향상되었고 외모도 훨씬 더 젊어졌다. 이 결과는 우리가 건강에 관해 한계를 만들지 말고, 의식을 집중해 건강 문제에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분명히 말해준다.

현실에서 의학과 의술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세상이 언제나 변하고 있음을 인지한다면 모든 상황에서 절대적인 진실은 있을 수 없다. 과학적 데이터는 확률에 근거하기 때문에 당연히 완벽하지 않다. 따라서 수치와 진단에 지배당하지 않고 안내지침으로 삼을 때 우리에게 더 이득이 되며, 우리는 가변성에 더욱 주목해야 한다. 물론, 이렇게 새로운 사고로 건강에 접근한다고 해서 누구나 바라는 대로 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래도 가능성에 마음을 열려고 노력한다면 더 나은 삶을 누릴 가능성을 만들 수는 있다. 책은 우리에게 이 같은 기대와 믿음을 좀 더 자각하게 만들어 스스로 건강을 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하고도 남게 들려준다.

건강 평가의 도구는 모두 인간이 만든 것이다. 당연히 완벽하지 않다.

또한 도구의 평가에 이용되는 과학은 확률을 근거로 한다.

이런 진단 기구는 해당 집단의 건강을 성공적으로 예측할 수도 있지만,

우리 중 누구도 ‘우리’가 아니다.

우리 가운데 누구도 '우리'가 아니다 p108

이 책을 읽기전에도 의식작용이 건강에 놀라운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나는 현실에서 받아들이지 않았다. 나에게 진행되는 시력저하와 기억력 감퇴를 노화라고 순순히 인정하고 더 나빠질 수는 있어도 회복될 수는 없다고 단정지었다. 이제 나의 고정관념에 의심을 품어보려 한다. 어쩌면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체념했던 노화를 가변성이라는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고 노력을 기울이면 향상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늙는다는 착각>을 읽고 기대감이 우리 삶에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한번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노화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들이 우리의 능력을 직간접적으로 자극한다는 것도 배웠다. 체념하고 있던 나이듦에 대해 가능성이라는 선물을 안겨준 고마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