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씨 유 어게인
서연주 지음 / 김영사 / 2024년 5월
평점 :
낙마 사고로 한쪽 눈을 실명한 의사의 이야기인 <씨 유 어게인>에는 한국 의료 영역에서 전공의들의 위치와 문제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현재 한국의 상황에서 의사의 이야기는 제 편 감싸기처럼 느껴질 수도 있지만, 한국의 의사 증원의 필요 및 전공의 노동의 문제는 과장도 거짓도 아니기에 이 책을 통해서 함께 흡수될 수 있었고, 고민할 수 있었다. 사실 저자는 2020년 파업때 그 파업의 중심에 있던 사람이기도 했다(사실 그걸 모르고 이 책을 받았다가 알게 되니 좀 당혹스럽긴 했다). 그런 그가 전문의가 된 2024년에는 병원을 지키고 있다. 그 사이 그는 응급환자, 중환자, 지금도 치료를 받는 사람이 되었고, 그가 바라보는 관점 역시 변화되었다. 그 시간 속에서 그는 의사였을 때 이해하지 못했던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본인이 그 행위들을 다 했기도 하고, 알고 있던 하나의 답에서 다른 답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병원을 지키면서 동시에 전공의의 열악함이나 한국 의료 문제를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그의 말처럼 환자와 의사가 서로의 입장을 이해해야 할 것이라고만 생각하진 않는다. 지금의 정부가 의료를 이윤으로만 취급하는 것이 문제이며, 의료계 역시 그 문제에서 전혀 무방하다 보기 어려운 것이 문제라고 생각하는데, 그런 속에서는 환자와 의료인의 이해만으로 결코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 이러한 사태가 만들어진 데에는 하나의 이유나 짧은 시간만 존재하지 않다. 우리 사회에서 어떤 의사가 되고 싶은지에 대해서보다 이윤으로서 판단하는 것, 그리고 경쟁적이고 일률적인 교육과 그 결과값에 대한 것이 상관없다고 말할 수 있을까.
‘다행스럽게도’ 저자는 자신의 직군의 환경이나 관계면에서 두려움을 넘어 다시 자신을 찾아나가는데 큰 힘을 얻을 수 있었다. 원가족이 그러한 큰 관계이기도 했고, 주변인들도 그러했던 듯 싶다. 나도 그가 어떤 의사로 사람들을 만날지에 대해서는 기대되고, 응원하고 싶다. 그럼에도 인생에서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 생각하면서도 나는 그것이 다행이라 말하지 않아도 되는 세상을 원한다. 누군가 그건 인적 자원이나 사적 자원이 있지 않더라도 안전할 수 있는, 그거니까 그 안전망과 힘이 이 사회에 존재하기를.
김영사 도서 제공 덕분에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