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있기 힘든 사람들 - 돌봄, 의존 그리고 지켜져야 할 우리의 일상에 대하여
도하타 가이토 지음, 김영현 옮김 / 다다서재 / 2025년 7월
평점 :
타인과 함께 ‘있기.’ 이 책의 주제는 ‘있기’다. 처음엔 <있기 힘든 사람들>이란 책 제목에 조금은 갸웃하며 의아하기도 하고, 여러 번 읽고 생각을 했다. 너무 당연하게 여겨져서 생각해보지 못했던 것의 자각일 수 있는 ‘있기’가 이 책의 주제이고 그것을 위해서는 ‘돌봄’이 필요하다. ‘있기’가 불가능한/불가능해진 사람들과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이 책을 읽다보니, 나라고 늘 ‘있기’가 능수능란하고 쉬웠을까? 다시금 생각하게 된다. 책의 추천사를 쓴 고병권 선생님은 “누군가 곁에 있고 돌봄을 제공하기에 우리는 우리로서 있을 수 있다”고 했다. 내게도 누군가 나에게 그래주었고, 나도 그랬기에 가능했던 “있기”의 무사함이란 생각을 한다.
저자는 돌봄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전문가적으로(생각했던) ‘치료’가 하고 싶었던 임상심리사이다. 그러던 그도 질문을 갖게 되었다. 치료란 무엇이며, 돌봄이란 무엇일까? 그가 여러 사람들과 매일을 보낸 돌봄 시설에서는 치료가 제대로 먹혀들어가지 않을 때가 다반사이기도 하고, 돌봄이 절대적 영향을 갖기도 하고, 또 치료와 돌봄이 이분법화 되어 나뉘고 갈라지는 것이 아니기도 했다. ‘있기’를 오늘도 내일도 해나가기 위해 모인 그 시/공간에는 어떤 건 치료, 어떤 건 돌봄이라며 명확히 구분되기보다 그것이 같이 흘러갔다. 그러면서 또 동시에 각각의 것들이 필요하기도 했다고 생각이 들었다.
짧은 시간이지만, 실습을 했던 주간보호시설이 생각이 났다. 중년의 발달장애인분들의 낮 시간을 위한 그 공간에서 아침에는 매일의 일정 등을 나누고 점심시간 전까지 자유 시간이 진행되었는데, 침묵의 자유 시간이었다. 하루 종일 여러 음성언어들이 떠도는 공간에서 길면 한 시간, 그게 너무 어려우면 30분을 조용히 각자가 하고 싶은 놀이나 프로그램을 하며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는 것이었다. ‘있기’라는 것에 생각할 때 머리에 들었던 장면들이었다.
또한 이 책을 읽으며 엄기호 선생님의 <고통은 나눌 수 있는가>가 생각이 났다. ‘멤버’라고 불리는 참여자들만이 아니라 그들의 곁에 있는 직원들, 활동가들의 소진과 떠나감을 보면서 누군가의 ‘있기’를 위해 노력하는 이들의 ‘있기’는 어떻게 존중받고 보호되는가, 또 그들 역시 어떻게 쉽게 무너지는지 생각했다. 고꾸라지기 전의 사람들, 고꾸라진 사람들이 이 책에도 나온다. 저자를 포함해서. 그러나 저자도 짚었듯 그저 ‘있기’의 가치를 갈수록 사회는 도외시하고, 자본을 쫒기에 우리의 ‘있기’는 쉽게 침범당하고, 외면당한다. ‘돌봄’이 많이 이야기되는 것은 일면 반가운 일이고 필요한 일이지만, 그것이 자꾸만 자본과 연결되는 것은 지금과 같은 사회에서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체념할 것이 아니다. 조금 더 다른 ‘돌봄’에 대해 더 많이 이야기되고 실행되어야 하는 것이지 아무렇게나 되어도 상관없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있기’를 위해 ‘있기’를 하는 것은 ‘있기’를 강제하는 것과는 동일하지 않기 때문이다. 효율성과 결과, 생산성과 이윤을 한 손에 쥐고 같은 값이 되는 돌봄을 만들려는 시도가 아닌, 다른 돌봄이 우리에게는 필요하다.
<있기 힘든 사람들>, 도하타 가이토 지금, 다다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