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 사진관
김정현 지음 / 은행나무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평소 활동하고 있는 책클럽에서 서평단을 모집한다는 글을 보았다.
어떤이는 이렇게 작정하고 눈물샘을 자극하는 글을 싫어할지도 모르겠다.
아버지를 주제로 어머니를 주제로 한 소설치고 조용히 사라지는 책도
드물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보았다. 그러나 결코 가볍지 않으며,
무심히 지나칠 수는 없는 책이였다. 그래서 모집글에 손빠르게 제일 먼저
신청을 했고, 다행히 나는 이 책을 읽고 이렇게 몇 자 적어가고 있다.
그저 단순히 공짜로 책을 읽을 수 있다는 생각만으로 신청을 한 건 절대
아니다. 저자의 작품 중 <아버지>를 읽으며 흘렸던 눈물이,
<고향사진관>이라는 서명이, 책 표지에 저 고독해 보이는 건물이
나를 주저없이 잡아 당겼다.

 아들로 17년을 눈꺼풀도 움직일 수 없는 아버지를 모셨으며, 그 아버지를
떠나 보내고, 세아이의 아버지로 살아가는 그에게 간암이란 진단이
내려지는 이런 얘기가 실화라니..하늘도 무심하시지라는 말이 절로
나온다. 말 그대로 텔레비전에서나 봄직하고 책에서나 봄직한 얘기들을
떡하니 실화라고 내어 놓은 이 책을 믿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서용준' 그 이름 석자를 나는 분명 믿는다. 그러나 그렇게 떠나간 '서용준'
은 믿고 싶지가 않다. 이책을 읽고 난 지금 나는 너무 피곤하다.
얼마전엔 <엄마를 부탁해>가 몹시도 피곤하게 하더니만,
엄마 아버지가 번갈아 가며 나를 지치고 고달프게 한다.
늘 그 이름 앞에서는 보잘것 없어지고 작아지는 나
머리가 아프도록 뚝뚝 흘린 눈물들이 내 부모를 위한 걸음에 보태지길
바라는 마음이다. 

 비록 편찮으신 몸이고 한 마디 말씀도 한번의 움직임도 없는 아버지지만,
아버지 그 존재만으로 한 인간이 어떻게 버티고 의지하는지..
엄마만큼 친근하고 편하고 말을 많이 나누는 존재는 아닐지라도
아버지, 그 이름만으로 든든한 마음 한구석 늘 유지할 수 있도록
아들로, 아버지로, 한 가정의 가장으로 무겁게 살아가는 대한민국 남자들
나의 아버지 또는 나의 남편 그리고 나의 아들 그들의 어깨에 놓인
무거움을 다소 잊고 있는 모든 분들께 이 책을 권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