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문화 제대로 알기 - 사람과 사람이 더불어 사는 ㅣ 제대로 알기
이순.김소정 지음 / 파란등대(푸른등대) / 2024년 3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411/pimg_7266621224255662.jpg)
★초등학생을 위한 우리 문화 교양서
사람과 사람이 더불어 사는《우리문화 제대로 알기》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411/pimg_7266621224255663.jpg)
1.사람의 일생을 통하다 :관혼상제
- 아이가 세상에 태어났어요 - 출생
- 어른이 되고 싶어요 - 관례
(남자가 성인이 되었을 때는 상투를 올리고,
여자는 비녀를 꽂는 성인의 의식을 말한다)
- 시집가고 장가간다네 - 혼례
(혼인은 인륜대사라 하여 그 의식과 절차가 엄숙하게 이루어진다)
- 지극한 마음으로 떠나보내요 - 상례(장례)
(사람이 죽으면 장례를 치르게 되는데 장례일은
삼일장, 오일장, 칠일장 등 장례기간에 따라 명칭을 붙인다.
삼일이란 기간은 부활, 저승에 갔다가 되돌아오는 기간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 조상을 추억하며 모두 한자리에 - 제례
(장례가 끝나면서 제례가 따른다.
장례 후 제례에는 3일 만에 산소에서 절을 하고 잘 살피는 삼우제 등이 있다.
시대의 변함에 따라 조금씩 달라져 왔으나,
근본정신은 조상의 은혜에 감사하고 경모하는 것이 기본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411/pimg_7266621224255664.jpg)
2.해가 떠오르고 달이 차오른다 : 세시풍속
(예로부터 전해지는 농경사회의 풍속이며
해마다 농사력에 맞추어 관례로서 행하여지는 행사)
- 꽃 피는 봄에는 - 설날.정월대보름
- 채소와 과일이 무르익는 여름에는 - 단오
- 풍요로운 가을에는 - 한가위
- 눈 내리는 겨울에는 - 동지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411/pimg_7266621224255665.jpg)
3.삶이 빚고 세월이 다듬어 내다 : 생활문화
- 어울렁더울렁 살고 지고 - 장승과 솟대, 두레와 농악
- 우리 가락 좋을시고 - 판소리, 탈놀이
- 일상에 스며든 전통 과학 - 옹기,지게,진신과 설피
- 애들아, 놀자! 신나는 놀이! - 씨름, 제기차기,
딱지치기, 그네뛰기, 널뛰기, 공기놀이
★우리 나라 문화는 더불어 살아가는 문화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공동체의식이 강한 나라입니다.
옛 우리 조상들은 우리가 함께 더불어 살아갈 때 우리의 삶이
더 풍성해진다는 것을 터득했기 때문에,
우리 민족은 공동체를 중시합니다.
그래서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라는 말이
우리의 민족성을 잘 나타내지요.
★역사문화 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이순, 김소정 선생님의
《우리문화 제대로 알기》책 속
<관혼상제, 세시풍속, 전통놀이 그리고 생활문화>
★초등 고학년 추천 도서입니다.
교과연계도서로 이해하기 쉽게 되어있어서
예습, 복습의 의미로도 좋으며,
조금 더 깊이 있게 배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파란등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
#우리문화제대로알기 #이순 #김소정 #파란등대 #한국사
#전통문화 #초등추천도서 #북스타그램
@bluelighthouse_pu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