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몸 성적표 제대로 알고 대처하기
진성태 지음 / 대경북스 / 2018년 11월
평점 :
품절


[건강검진을 제대로 알고 보고 분석하기]

건강검진을 앞 둔 저녁밤, 금식을 하면서 속을 비워본다. 내장내시경을 받는 경우에는 검사전에 좀 더 어려운 난관이 기다리고 있다. 그리고 1년동안 나의 몸을 병원에서 스캔해본다. 건강은 더 좋아졌을까? 나빠졌을까? 나중에 날아오는 결과지를 보아도 안 부분을 잘 알것 같은데 다른 부분은 잘 모르는 경우가 생긴다.

한해가 지나가기 전에 연간 일정중에 하나로 건강검진을 받는다. 1년동안 몸에 이상은 없었는지 지난해 비해서 나의 건강상태는 어떤지에 대해서 체크를 해본다. 건강검진은 직장인을 다니는 분들이라면 의무적으로 받아야 되지만 한 해동안의 어느것 보다도 중요한 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검사를 받을때 마다 어떠한 증상에 대한 확인을 해보기 위해서 하는지 간단하게 안내를 받고 건강검진을 받는다. 일정 기간 뒤에 결과지를 받아볼 수 있다. 다양한 검사들이 있지만 제대로 장단점을 인지를 하지 못하게 되면 자신에게 정확하게 필요한 것을 잘 모르는 경우도 많을수 있다.

검사의 다양한 부분은 의사의 판단, 병원의 사정, 환자의 경제적 능력에 따라서도 선택할수 있는 폭이 다양하기 때문에 적절한 검사를 선택하는 판단을 하는 것은 본인의 몫이다. 1년에 한번씩 진행하다보니 그렇게 디테일하게 생각하지 않으면 스쳐 지나가기 십상이다.

검사 결과 후에 위협요소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고지가 된다. 실제로 제대로 상담을 받지 못하면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 생각을 해볼수가 없다. 결과적으로는 본인 스스로가 건강검진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잘 생각하고 필요한것들은 잘 준비를 해야겠다.

이 책은 진성태 저자분이 아내가 암수술을 받는 계기로 병원생활을 같이하게 되었다. 그 계기로 건강검진에 대해서 관심을 가젝 되고 영상검진과 의과학적 상식부분을 일반인이 알수 있는 수준의 글로 책을 구성하였다. 검진때 받는 검사들은 대부분은 영어로 표기가 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 그 의미를 정확하게 인지하기가 어려운데 쉽게 풀어서 구성이 되어 있다.

흔히들 하는 시력검사표를 누가 만들었는지도 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는데 한천석, 진용한 이라는 분이 만드신것을 사용하고 있었다. 한쪽이 방향이 끊어진 원형고리는 란돌트고리라고 불리었다. 책의 구성들이 마치 예전에 과학만화의 일부를 보는것 처럼 그림과 상세한 설명들은 우리 몸의 구석구석을 탐구하는 느낌이 들었다. 신체의 노화는 조금씩은 떨어질수 밖에 없기 때문에 우리가 평소에 관리하고 유지를 해야 할 부분을 생각해보게 한다.

올해 받은 건강검진표를 이 책과 함께 공부해서 본다고 하면 나의 몸에서 관리를 해야 하는 부분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게 한다. 건강한 몸은 스스로 관리하기 나름이 아니겠는가. 건강한 몸에 좋은 에너지를 채워서 모두가 활기찬 인생을 영위하는데 되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