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고 산다는 것에 대하여
이나가키 에미코 지음, 김미형 옮김 / 엘리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녁 메뉴는 피자마루의 콤비네이션 피자였다. 아침과 점심으로 이마트에브리데이에서 산 도너츠를 먹었으니까 하루 종일 빵으로 식사를 해결한 것이다. 신랑은 피자를 씹으며 매장에서 직접 만든 피자인지 냉동피자인지 궁금해 했다. 나는 궁금하지 않았다. 냉동피자든 매장에서 만들어 구웠든 이 피자에는 영혼이 없다.

바깥 음식이 너무 달다. 도미노나 피자헛 피자를 먹을 때는 다른 맛은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그냥 달기만 하다. 얼마 전에는 딸기 우우를 하나 사서 먹다가 한 입 먹고 버릴 수밖에 없었다. 달다 못해 썼다. 달고 짜면 맛있다고 생각했는데 입맛이 변한 걸까.

바깥 음식만 단 건 아니다. 결혼하면서 요리책을 한 권 샀는데 이 책의 조리법대로 요리를 하면 대체로 달다. 인터넷 레시피도 마찬가지이다.

단 거 지옥에 빠져 버렸어!

이나가키 에미코의 세번째 책은 ‘먹고 사는 법’에 관해 다룬다. 저자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계기로 전기 없는 생활에 돌입한다. 급기야 냉장고까지 처분해 버리는데 이 일을 계기로 저자의 식생활이 송두리째 바뀐다. 맛집을 찾아다니거나 세계 요리를 즐겨 하던 저자는 채소절임과 된장국, 그리고 밥의 세계로 뛰어든다.

나는 다음 주부터 강제 미니멀리즘 생활로 들어선다. 당분간 전자렌지도 없고 에어프라이기도 없다. 인덕션도 4구에서 2구로 준다. 이제 나는 뭘 먹고 살아볼까나. 책에서 배운 꿀팁은 제철 채소. 단 거 지옥에서 빠져 나와서 채소 본래의 맛을 살린 나만의 요리!! 꺅!!

얼마전 읽은 서은국의 ‘행복의 기원’의 결론은 아주 속시원했다. 행복 별거 아니다. 잘 먹고 좋아하는 사람 만나서 수다 떨면 된다.

내 입에 들어가는 게 나다. 그 먹거리들이 내 몸을 만든다. 그리고 내 몸이 곧 나다. 싱싱한 걸 편하게 요리해서 마음 편히 먹는다. 아아. 생각만 해도 속이 다 편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지코믹스 - 버트런드 러셀의 삶을 통해 보는 수학의 원리
아포스톨로스 독시아디스 & 크리스토스 H. 파파디미트리우 지음, 전대호 옮김, 알레코스 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치지 않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지만 사실 그 최선의 노력이 미쳐가는 길이었다. 허상과 광기에 사로잡히지 않기 위해 확실한 앎을 찾아간 수학자의 비극적 이야기. 나는 허상 속을 산다. 그러나 다른 이들 역시 비슷한 허상 속을 살고 있기 때문에 미쳤다는 것이 두드러지지 않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와 달과 별이 뜨고 지는 원리
박석재 지음 / 도서출판성우 / 2004년 2월
평점 :
품절


나는 놀라울 만큼 무식하고 이 책은 놀라울 만큼 명쾌하다.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따라 해, 달, 별이 뜨고 지는 원리를 또렷하게 설명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퇴사하겠습니다
이나가키 에미코 지음, 김미형 옮김 / 엘리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쓴이는 이나가키 에미코. 아사히신문 기자 출신. 50세 퇴직. 현재 무직. 아프로 헤어.

제목과는 다르게 일을 하고 싶은 마음이 불끈불끈 솟는 책이다. 아아 돈을 벌러 가고 싶다. 그런 게 아니고 업무 영역 안에서 자율적으로 할 수 있고 재미있는 일을 찾아서 신나게 해버리고 싶다는 느낌. 회사가 주는 당근과 채찍(월급과 인사)에 일희일비 하지 말고 내가 해야 하는 일과 하고 싶은 일을 찾아서 하면 된다. 그러니까 회사로부터 ‘자립’하라는 것이 글쓴이의 메시지다.

예전 직장 동료가 말했다. ‘나는 상사가 조금도 무섭지 않아. 나를 때리진 않잖아. 나는 때리는 것만 무서워.’ 아. 그런 거였군. 어차피 나를 때릴 수는 없어. 의연한 마음을 가지면 자립할 수 있다. 직장 생활 9년차. 이 진리를 깨달았다 까먹었다 한다.

일이란 자고로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튀르크인 이야기 - 흉노.돌궐.위구르.셀주크.오스만 제국에 이르기까지 타산지석 21
이희철 지음 / 리수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터키의 역사를 다룬다. 흉노-돌궐-위구르-셀주크-오스만으로 이어지는 유목 민족 제국의 역사를 통해 오늘날 터키의 형성 과정을 알 수 있다. 흉노, 돌궐은 중국과 실크로드를 두고 패권을 다투는 거대 제국이었고 셀주크와 오스만은 콘스탄티노플을 위협하고 함락시킨 강성한 국가였다.

학창시절 배운 세계사는 중국과 유럽 중심이었다. 중국의 역사는 한족 위주로 돌아갔고 흉노나 돌궐은 중국을 약탈하는 오랑캐로 등장했다. 유럽사에서도 비잔틴제국을 위협하는 이슬람 세력으로 셀주크나 오스만이 뜬금없이 등장하곤 했다.

성인이 되고 나서도 접하는 세계는 한정적이다. ‘세계’는 ‘미국’과 동의어로 쓰인다. 중앙아시아는 ‘세계’에서 제외됐다. 그들은 테러를 일삼는 이해할 수 없는, 이해하고자 노력할 가치도 없는 존재로 언론에 등장한다.

내가 무엇을 아는가가 내가 누구인가를 규정한다고 생각해 왔다. 어쩌면, 내가 무엇을 모르는지가 내가 누구인지를 결정하는 것일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