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사회학자가되어]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어쩌다 사회학자가 되어 - 피터 버거의 지적 모험담
피터 L. 버거 지음, 노상미 옮김 / 책세상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세상일이란 것이 참으로 알 수 없고, 오묘한 것이라서 대학에서 미술을 전공했던 나야말로 어쩌다보니 사회학에 관심이 많아졌다. 불안하고 뭔가 정상적이지 않은 내 심리 상태를 이해하고자 시작한 심리 공부가 사회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진 것인데, 개인의 문제를 한개인에게만 국한시키기는 심리학보다는 한개인을 둘러싼 환경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사회학이 궁금해지게 된 것이다. 사회 속의 인간이며, 개인적인 것은 정치적인 것이기에.

막상 사회학에 관심을 갖고 책을 찾다보니, 학문적인 것보다는 일상적인 내용의 사회학 책들을 주로 읽을 수 밖에 없었는데, <괴짜 사회학>, <마음의 사회학>, <나와 너의 사회과학> 따위의 책들이 바로 그랬다. 뿐만 아니라 누군가 좋아하는 책의 장르를 물으면 망설이지 않고 답하게 되었다. "사회과학 서적을 좋아해요."

그렇게 시작한 사회학에 관한 독서로 사회학과 대학원을 생각하는 단계에로까지 이르게 되는 시점에서 만난 <어쩌다 사회학자가 되어>라는 책은 내게 단비와 같은 책이 될 것이라고 짐작했다. <사회학에의 초대>를 썼다는 피터 버거의 사회학자로서의 여정에 대한 고백이니 말이다.

 

기대를 갖고 읽기 시작한 책의 머리말에서 피터 버거는 인간 세상의 거대한 파노라마에 변함없이 끌리며,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궁금해 죽겠는 사람에게 꼭 필요한 학문이 사회학이라고 했다. 여기서 궁금해 죽는 사람은 의심없이 나를 지칭하는 것으로, 나는 더더욱 광분하며 책을 끌어당기지 않을 수 없었다.  뿐만 아니라 피터 버거 자신이 사회학에 푹 빠지게 된 건 사회학이 한 사회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이해하려는 끝없는 노력이자, 개개인이 가진 동기에 대한 무한한 호기심 때문이라고 했다. 바로 내가 사회학에 빠지게 된 동기와 꼭 같았다. 그러나...

내게있어 피터 버거의 지적 모험담은 그렇게 유쾌하지 않았다. 간간히 알아듣겠는 말을 빼고는 대학자의 유머를 곁들인 명랑한 문체의 가벼운 농담조차도 이해하기 버거웠으며, 사회학은 따분하다는 진리를 온몸으로 체감하는 지경에 이르기까지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다.

사제가 되려다 어쩌다 실수로 사회학자가 된 피터 버거는 자신의 신학적 믿음에 대해 입이 무겁지 않았으며, 정신분석학과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거부감을 자주 드러냄으로써 피터 버거라는 사회학자의 보수성을 온 사방에서 느낄 수 있었다(나 혼자만 그렇게 느낀 것일 수도 있다.  나의 곡해에서 비롯된 것일지라도 바로 그점이 이 책에서 나를 멀어지게 하고 있었다).  '가치 중립성'이란 베버의 이상을 신봉한다는 피터 버거는 사회과학자로서의 연구와 종교에 대한 자신의 관심을 엄격하게 분리해야 한다라고 했다. 피터 버거는 그를 충실히 행하고 있었겠지만, 이 책을 읽는 나는 달랐다. 절대 가치 중립적일 수가 없었다. 때문에 곳곳에서 피터 버거에 대한 반감을 느꼈다.

 

책은 자신을 비추는 거울과 같은 것이라 했다. 나는 피터 버거의 책에 나의 상태를 비추며 내 입맛대로 읽히지 않는 책에 자주 지루해졌고, 읽으면 읽을수록 지루함을 느끼는 내 자신의 무지함에서 비롯된 무력감을 느꼈다. 그저 단순히 사회학자의 세상 설명이 재미없었을 뿐이었다면 이다지도 실망스럽지는 않았을텐데.

지금까지 내가 알고 있는 사회학은 인간이 모여 사는 세상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 호기심이기 때문에 지루할 틈이 없는 것이였지만, 학문적으로 만나는 사회학은 여타의 다른 학문과 마찬가지로 지루하기 짝이 없는 이론 이상은 아닐지도 모른다는 불안감과, 역시 한 인간의 인생 여정에 관한 것이라면 자서전보다는 평전이 읽기에 껄끄럽지 않더라는 것으로 이 책을 읽은 소감을 마무리 한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개미 2012-07-19 00: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너무) 지루해서, 그리고 자기 인생사 나열이 끊임없이 나와서 어디에 포인트를 두고 읽어야 할지 모르겠더라구요. 그래서 마감이 하루 남은 오늘 아직도 서평 못쓰고 이렇게 이웃 서재만 둘러보고 있습니다. 지겹게 읽으니 쓰는건 더 힘들더군요. 흑흑

비의딸 2012-07-19 08:59   좋아요 0 | URL
아고... 이 책으로 사회학에 대한 열망에 대해 고민스런 경험을 했던 저로서는 일개미님의 덧글로 힘이 나네요. 서평이랍시고 써놓고 얼마나 신경이 쓰였던지요. 고맙습니다. 지금쯤은 힘든 서평 마무리 하셨겠지요.^^;;

이정규 2013-01-27 11: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사회학 전공을 고민하며 우연히 이 책을 읽었습니다. 읽는 내내 가진 느낌은 비의딸님께서 느낀 것과 크게 다르지 않네요. 제가 사회학에 대한 지식이 없어서인지 책의 내용이 그런것인지는 판단이 안서 인터넷을 보고 있는데 사회학을
깊게 공부 하지 않은 분들은 대부분 이런 느낌을 가지고 있는 듯 하네요.

비의딸 2013-01-28 09:27   좋아요 0 | URL
사회학 전공을 고민하신다니, 저로서는 부러운 일이네요. 대학원을 고민하긴 하지만, 경제적인 문제로 보류할 수 밖에 없거든요... ^^; 사회학을 깊게 공부하지 않은 대부분의 분들이 이 책을 읽으며 저처럼 헤메셨을 것이라는 말씀에 기운이 좀 나네요. 좀더 사회학에 대한 내공이 생기면 이 책을 이해할 수도 있겠지요.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