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안네 - 60년 만에 발견한 안네 프랑크에 관한 새로운 이야기
베르테 메이에르 지음, 문신원 옮김 / 이덴슬리벨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초등학생때 읽었던 안네 프랑크에 이야기 그때는 정말 이 소녀가 겪었던일을 그냥 짐작으로만 하고 읽었던 어린 시절에 안네 프랑크와에 첫만남이였어요. 지금은 성인이 된후 다시 만난 안네 이야기안에 어떻 것이 담겨 있을지 마음이 떨리더라구요. 순수했던 어린시절에 읽은 안네가 어른이된 지금에 나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 올지가 궁금했답니다. 안네라는 이름을 떠올리기만해도 가슴이 찡해오는 이름이지요.

안네 프랑크와 함께 살았던 유대인 소녀 베르테가 밝히는 충격의 증언들과 그녀가 말하는 집단수용소에서 기적적으로 살아남은 저자가 전쟁의 상흔을 가진 채 살아온 이야기를 담았다. 홀로코스트는 인류가 생긴 이래 최고로 잔인한 만행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20세기 중반부터 수많은 이야기의 주제가 되고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소녀의 회상이 생생하게 드러나있다. 어린 시절의 따뜻했던 추억과 강제수용소에서의 암울했던 기억, 고아원에서의 생활, 십대가 되어서 겪은 정체성의 혼란 등 전쟁이 끝난 이후 자신의 삶에 대해 담담히 적어 내려가고있는 유대인 소녀 베르테 이다.한창 꿈을 피기에도 아까운 시기에 정말 겪기 힘든 전쟁이라는 소용돌이 속에서  이 두소녀들이 겪어야만 했을 암흑한 시대상에 대해 많은 부분을 생각하게 만드느거 같은 생각이 들었다.

사람들은 전쟁, 재해, 테러, 홍수 등 크고 작은 사건이 일어나면 당시의 끔찍했던 상황을 떠올리고 기록하는 일에 몰려들고는 한다. 그러기도 잠시, 모두들 그곳을 털고 일어나 각자의 자리로 돌아가 자신의 삶을 살아간다. 하지만 사건에 연루된 사람들은 쉽게 털고 일어날 수가 없다는 점이다. 오히려 남은 자리에서 빙글빙글 제자리를 돌며 떠난 사람들의 몫까지 기억을 떠올리고 또 떠올리게 된다는 점이다.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돌 듯, 컴퍼스의 중심점이 한 지점에 꽂히듯, 그날 그 자리에 자신의 중심이 콕 찍혀버리는 것이다. 그것이 폭력과 상처가 가진 비극성이다. 이것처럼 안네와 베르테에 영원히 지울 수 없는 상쳐를 입은 유대인들에대해서 조금은 아타까움과 이러한 비극이 다시는 일어 나지 않길를 바라는 마음이 드는 것은 누구나 다 그럴 것이다. 아름다운 세상을 보기에도 아까운 시간을 남을 해하면서 살아간다면 그역시 안타까운 인생일지모른 다는 생각을 들게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