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의 회복탄력성 - 시련과 실패에 강한 아이로 만드는 힘
디디에 플뢰 지음, 박주영 옮김 / 글담출판 / 2012년 4월
평점 :
절판
아이들 밝고 건강 하게 키우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많은 궁금증을 품게 한다. 아이들이 자라면서 부모가 어떻게 해야 아이들이 적극적인면서 사회에서 강하게 자라 날 수 있을지에 해답을 찾으려고 한다. 몸의 근육이 늘어나면 행동이 민첩하고 건강해지듯이, 마음에도 근육을 키워 주면 힘들고 어려운 일에 대응하는 힘이 강해진다. 이러한 마음의 근육을 키워 주는 것이 바로 회복탄력성이라고 한다. 즉 회복탄력성이란 아이 스스로 일상 속에 부딪히는 크고 작은 시련과 문제를 이겨 내는 마음의 근육이라는 것이다. 아이가 자라면서 항상 새로운 일에 도전하고 배워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자기 스스로 밥 먹는 연습부터 시작하여 글을 배우고, 다른 친구들과 사귀는 법을 익혀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아이는 수많은 시련과 어려움을 겪게 된다. 친구들에게 놀림을 받거나 다른 아이들보다 배우는 속도가 느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는 시기마다 부모가 아이의 문제를 해결해 줄 수는 없는 것이다. 요즘 현대사회는 매우 불안정하고 끊임없이 변화한다. 좋은 학교, 좋은 직장에 들어가도 행복한 미래를 장담할 수 없다. 아이는 자라면서 변화를 받아들이고 숱한 어려움을 극복해 내야만 한다. 따라서 회복탄력성은 이 시대 아이에게 꼭 필요한 힘이다.
내 아이가 작은 일에도 화를 내고 떼를 쓴다면, 뜻대로 되지 않을 때 악부터 쓴다면, 자기가 하려고 하는 것이 잘 되지 않을 때 짜증을 낸다면, 자기조절능력이 부족하다는 신호일 것이다. 자기조절능력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아이들의 여러가지사례를 바탕으로 아이가 자신의 마음과 감정을 정확히 이해하고, 조절하는 방법을 알려 주고 있다. 그 중요성에 대해서는 절감하지만, 소홀히 하기 쉬운 것이 대인관계능력이다. 내아이를 사랑하고 지지해 주는 친구와 가족이 많을수록 아이는 모든 일이든지 적극적으로 행동하고 자신감이 넘친다는 것이다. 대인관계능력을 키워 주기 위해 다른 사람의 존재를 인식시키고 받아들이는 방법에 대해 방법을 제시 하고 있다. 어려서부터 가정에서 아이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천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정리하여 제시해주고 있다.
내아이가 불행하기를 바라는 부모는 없다. 모든 자식을 가진 부모라면 내아이의 행복을 바라며, 내아이에게 물질적 ,정신적 지원을 아끼지 않는 것은 독같을 것이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아이들은 전혀 행복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랑만 받은 아이는 약할 수밖에 없다. 아이는 시련과 실패를 통해 성장하고 강해진다는 것이다. 아이가 서툰 것을 지켜보지 못하고 대신 해주거나, 미리 아이가 해야 하는 일을 준비해 주는 부모라면, 그러한 자세를 버려야 한다. 아이가 스스로 행동을 선택하고 그 결과를 책임지게 해야 한다. 아이는 부모의 도움 없이 혼자 해낼 때 긍정적인 자의식이 생긴다 라고 한다.
아이에게 시련과 실패를 주라고 해서 억지로 아이를 고생시키라는 의미는 아니다. 내 아이는 자신이 싫어하는 일을 피하려고 한다. 이러한 일을 피하지 않고 직접 부딪히게 하거나, 부모에게 의존하는 성향이 강하다면 혼자 캠프를 보내는 등의 경험을 시키라는 것을 제시 하고 있다. 시련과 실패를 경험하면서, 이에 대한 두려움을 이겨 내고 헤쳐 나가는 법을 터득하게 된다.
이처럼 아이들을 부모에 관심안에서 자라게 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멘토가 되어 주라는 이야기를 반복해서 전하고 있다는 점에서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나약한 아니는 쯕 부모가 만드는 것이다. 안에서 내용을 실 생활에 잘 접목을 시킨다면 내아이가 조금은 강한 아이로 자라 날 수 있을 꺼 라는 생각을 하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