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신만만 전통과학 -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12가지 전통 과학 이야기 ㅣ 자신만만 시리즈 13
서선연 지음, 정순임 외 그림 / 아이즐북스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선조들의 슬기로움으로 만들어 낸 전통 과학 유산을 과학적 원리와 역사 이야기로를 알기 쉽게 풀어 놓은 듯 하다는 느낌이 든다. 각각에 과학 유산에 얽힌 열두 가지 이야기를 통해서 선조들에 무한한 과학에 원리를 들여다 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을 듯 하다. 과학과 역사를 함께 이해할 수 있어서 아이들에게 사고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될 듯하다. 온돌, 한옥, 발효 음식, 금속 활자, 석빙고, 거중기, 훈민정음 등 자연을 그대로 수용하면서 과학의 개념과 원리를 실생활에 놀랍도록 적용시킨 우리 선조들의 지혜를 만나볼 수 있는 점에 눈을 땔 수가 없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온돌 이것은 세계인들도 인정하는 우리나라만에 도특한 생활 방식이다. 기원전 5000년쯤 부터 사용 했다고 하니 정말 오래된 거라고 할 수 있는 생활 방식이다. 요리를 하면서 난방을 해결하는 우리 선조들에 놀라운 실용성을 따진 과학 에 결정 판이라고 생각이 든다. 겨울에는 따뜻하게 지낼 수 있고 여름에는 시원한 생활이 가능 하니 이보다 더 나은 것은 없을 것이다. 우리나라에 한옥은 정말 기품과 과학이 서로 잘 어울림이 있는 것이다. 바람에 길을 잘 생각해서 지은 한옥 현재에도 남아 있지만 그안에 숨겨진 선조들에 지헤는 지금도 배울 점이 많다고 생각이 들었다.
정말 멋진 우리나라 대표 발효 음식 김치 아무리 이웃나라 일본이 자기들 꺼 처럼 광고 하지만 우리 역사 속에 깊이 자리한 김치를 따라 오지는 못할 것이다. 이처럼 과학적으로 발효음식으로 인정 받은 김치 세계 건강 음식으로도 선정 되어 있어서 앞으로 김치를 더욱 사랑해 줘야 할 듯하다. 장독은 지금현재를 사는 우리 아이들은 보기가 쉽지 않은 물건 중에 하나 일 것이 이다. 선조 들에 지혜가 가득 담긴 물건인데 불편하다는 이유로 멀어지는 옹기. 하지만 옹기 안에 숨은 과학을 알면 얼마나 대단하지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천년이 지나도 변치 않는 한지라 우리나라에 한지는 아흔아홉번에 정성을 들여서 만들어 져서 그또한 가치가 높은 한지인데 요즘은 전통한지를 접하기가 쉽지는 않은 편이다. 잘상하지도 않고 질기며 오래가는 한지 우리나라에 우수한 종이 문화중에 한 부분이다. 이처럼 우리 선조들에 삶 속에는 많은 지혜와 과학이 묻어나 있다고 볼 수 있다. 선조들에 지혜 속에서 우리 아이들이 많은 것을 보고 배울 수 있는 시간이 된 거 같아서 좋은 시간 여행 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