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렌 켈러 - A Life - 고요한 밤의 빛이 된 여인
도로시 허먼 지음, 이수영 옮김 / 미다스북스 / 2012년 4월
평점 :
품절


 헬렌켈러라고 하면 어린 시절 한번쯤을 읽어 봤을 위인전에 한 인물이다. 자신에게 처한 힘든 상황을 온힘을 다해서 해쳐나온 여인으로 유명한 헬렌켈러 이다. 이 여인에 모든것을 수록한 이 책에 내용을 보면서 헬렌켈러라는 여인이 대해서 조금더 깊은 내용을 알 수 있을 꺼라는 생각이 든다. 

헬렌이 태어 나면서 부모들은 이 어여뿐 헬렌의 이름을 지을 때조차 부모는 고심하면서 지엇다고 한다. 헬렌의 어머니인 케이트는 자기 어머니의 이름을 따서 “헬렌 에버레트”라고 지으려 했다. 헬렌이란 이름은 ‘빛’을 뜻한다. 결혼 생활에 실망한 케이트는 어린 딸의 삶이 힘들고 고단한 자기 삶과는 달리 한낮의 환한 빛으로 가득하길 바랐던 것이다. 하지만 고집스러운 아버지는 부인의 말에 귀 기울이지 않았다. 아버지는 마음 속에 품고 있던 조상의 이름을 따서 아기 이름을 “밀드레드 캠벨”이라 지으려 했다가 끝내는 마음을 돌렸다. 하지만 아기가 세례를 받는 날 그는 부인이 아기에게 지어 주겠다던 이름을 잊어버리고 목사에게 아기를 “헬렌 아담스”라 부를 것이라고 제멋대로 이야기했다. 이런 무심하 아버지가 어디 있을까라는 생각을 들게 하는 부분이다. 헬렌이 어린시절 열 병으로 두귀,눈까지 멀어서 보지도 듣지도 못하게된 헬렌에 불쌍한 인생에 시작이다. 하지만 헬렌은 설리번 선생을 만나면서 새로운 인생을 걸어가게 된다.

헬렌에 이름이 알려진 것은 현대 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함께 일어난 일이었다. 사람들은 이 유명한 시각-청각장애 소녀를 보려고 모여들었다. 그녀가 장애를 딛고 언어와 의식과 지식의 새벽을 열어제친 일은 그녀가 그렇게 될 수 있도록 노력한사람은 설리반 선생이다. 헬렌역시 선생님을 통해서 느끼고 들을 수 있으면서 변화를 가지게 된것이다.

헬렌은 남몰래 사랑을 꿈꾸었다고 한다.  그녀 역시 선생님처럼 결혼하고 싶어 했다고 한다. 어린 시절 부터 헬렌은 여자보다 남자에게 끌렸고, 나중에는 스스로 털어놓은 것처럼 강한 성충동을 느꼈다고 한다. 하지만 애니와, 그 누구보다 금욕적이고 죄의식이 강한 어머니는 누구와도 사랑에 빠져서는 안 된다는 것을 마음 속에 깊이 새겨 놓는다.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성관계를 삼가야 한다. 장애가 있으면서 보통 사람들처럼 성생활을 즐기는 남성들이 있었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장애가 있는 여성들은 이중 잣대의 희생양이 되고 있었다. 이것은 사회가 여성들을 바라보는 잘못된 관점에서 비롯된 고통인것 이다. 사회는 여성들의 근본적인 역할을 양육자와 어머니로 바라보고 있다는 점이다. 그것은 헬렌처럼 장애가 심한 여성들의 생각에는 본인이 결코 성취할 수 없다고 느낀 다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헬렌은 무엇을 본 기억이 전혀 없었으니깐 말이다. 헬렌은 슬프게 말했다.“나는 평생을 어둡고 고요한 세상에서 살았다. 나는 장애가 있다는 것을 거의 의식하지 않는다. 장애가 나를 슬프게 한 적도 거의 없다. 하지만 한쪽 눈에서 빛이 천천히 사라지는 것은 무서운 일이다 더구나 사람이라서 앞을 볼 수 없게 될까봐 무척 괴로워했다. 그것은 어리석은 실수를 저지르는 것이나 팔다리가 기형인 것처럼 그녀에게는 받아들이기 힘든사실이었다.”라구 말을 했다. 이 말안에는 많은 의미를 두고 있다. 말안에  있는 의미는 듣는 사람에 따라 의미는 각각 다른듯 싶다는 생각이 든다.

자신에 장애를 두려워 하지않고 더욱 자기 자신을 발전 시키려고 했던 헬렌 그 헬렌 옆에서 멘토 역할을 해주 었더 설리전 선생님까지 장애는 몸으로 느끼는 것이지만 그역시 뛰어 넘을 수 있다는 점을 우리에게 일깨줘 주는듯했다. 그리고 이책을 통해 헬렌에 다른 이야기를 또한 알 수 있어서 헬렌에게 점점 더 빠져 드는 느낌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