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과 함께 펼쳐 보는 조선의 다섯 궁궐 - 2020년 개정판 한 장 한 장 우리 역사
황은주 지음, 양은정 그림, 허균 감수 / 그린북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주 볼 수 있는 것은 아닌 궁궐 가끔 방학을 이용해서 방문을 하는 곳을 꼼꼼하게 보지는 않았지만 아이들이 궁궐에 대해서 많은 호기심을 가지게 되더라구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건물이기도 하고 옛날 우리 조상들이 사용했던 곳이니 더욱 지금과는 다른 건물이 신기 한듯 하더라구요. 500년이라는 역사를 가지고 있는 궁궐 어떠한 역사를 가지고 우리 곁에 있었는지를 자세히 알아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우리나라는 유교를 중시 했기에 효를 중요하게 여겼답니다. 그래서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종묘가 있답니다. 그리고 궁궐에 가기전에 사직단이 있는데 이곳은 조선에서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가진 곳이라한다. 우리가 가장 많이 접한 궁궐 경북궁이다. 이곳은 390칸의 엄청난 규모의 궁궐이다. 이런 엄청난 궁궐이지만 일제시대에 많은 훼손을 안고 있는 궁궐이고 지금은 이것을 복원하기 위한 공사를 하고 있다고 한다. 궁궐을 그냥 건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건물의 하나하나 알아 볼 수 있다. 월대, 반석, 현판, 용마루등 건물을 구성하고 있는 것에 의미를 함께 알아 볼 수 있어서 그동안 궁금했던 부분을 풀어 볼 수 있다. 엄청난 규모의 경북궁이있다면 왕들이 사랑했던 궁인 창덕궁,효심을 담은 창경궁 등 다양한 궁궐을 볼 수 있다. 창덕궁은 태종이 만들었다는 궁궐이다. 이곳에서 다양한 역사를 안고 있다. 영조 시절의 탕평책,문효세자의 교지를 받는 등 다양한 역사를 안고 있는 궁궐이다. 궁궐을 들여다 보면서 다양한 것을 배우는 그 안에 궁궐이 안고 있는 우리나라의 역사를 들여다 보는 것도 새로운 역사를 배우는 재미를 주는 것 같다. 아픈 역사를 지니고도 있는 궁궐이지만 지금은 우리곁에 남아서 후손들이 그시대를 이해 하면서 보존 하면서 역사를 알아가는 귀중한 시간을 만나는 것 같아서 궁궐을 새로이 바라보게 되는 것 같다. 그리고 독후 활동지도 함께 있어서 더욱 책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받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