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마지막 왕녀 덕혜옹주 마음으로 기억하는 인물 시리즈 1
김이슬 지음, 김소영 그림 / 주니어단디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의 가장 힘들었던 시기였던 그 시간을 자신의 삶역시 역사처럼 힘들게 보내고 말았던 슬픈 공주 라고 알고 있던 덕혜옹주 영화로도 몇년전에 점하면서 더욱 아이가 궁금해 하는 옹주 랍니다. 이야기속 옹주의 내용은 어떨지 아이가 궁금해 하더라구요. 마지막 왕녀라는 단어도 정말 슬픔이 묻어나는 것은 우리의 힘든 역사속에서 살았던 그분의 슬픔이 느껴져서 일 수 있을 것 같답니다.

 

일본에게 나라를 빼앗기고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던 고종에게 찾아온 희망이 덕혜옹주 인것이다. 복녕당 아기씨라고 불리 웠지만 고종에게는 아지라는 애치으로 불리운 덕혜옹주 랍니다. 그만큼 고종의 총애가 많았던 막내 딸인 것이지요. 하지만 이때부터 고종은 아지의 신분으로 매일 고민을 한답니다. 일본에게 나라를 빼앗겨서 내 딸이지만 왕족의 입적도 될 수 없고 일본의 허락을 받아야 했으니 말이지요. 궁 안에 유치원을 만들면서 공주에 대한 사랑을 표현하고 아끼는 모습을 데라우치 총독에게 보이면서 입적에 대한 일을 순조롭게 풀려가면서 왕가의 일원이 될 수 있었답니다. 그런 좋은 시간은 길지 않고 덕혜옹주에게 다가오는 검은 그림자들이 드리운답니다. 사랑하는 아버지의 승하, 일본으로 떠나게 되는 그녀에게 다가오는 않좋은 시간들의 연속이였다. 그리고 아바마마처럼 따르던 오라버니 순종이 승하를 한다. 그녀를 지켜줄 수있던 이들이 떠나고 말았던 것이다. 이런 슬픈 시간속을 어떻게 이겨냈을지 짐작도 안된답니다. 그녀는 그때 부터 였던 것일까 마음에 병을 얻어 정상인으로 살아 가지 못하게 되는 것이 이시기가 되는 것 같답니다. 옹주의 삶은 행복 보다는 슬픔을 알아야 했던 그 시기의 상황을 느낄 수 있답니다. 덕혜옹주의 시간과 역사의 시간을 비교하면서 보면서 옹주의 시간에 우리의 힘든 역사가 함꼐 묻어나는 것이 정말 슬펐답니다. 정말 마음으로 기억했야 하는 인물이라는 말이 맞는 것 같아요. 그냥 지나 치기에는 옹주의 삶과 우리나라의 역사 시간은 닮아있으니 말이지요. 아이와 역사와 옹주를 이해 할 수 있던 시간이 된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