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소년, 동백꽃 -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작 책고래아이들 21
정복현 지음, 국은오 그림 / 책고래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주 소년의 이야기 어떠한 이야기 일지 궁금증을 자아내는 제목에 책을 열게 한다. 동백이라는 이름을 가진 소년의 이야기 인데 추사 김정희 선생의 유배지에서의 이야기도 함께 등장하니 소년 만의 이야기는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한다. 조선시대라는 시대적인 배경과 그안에서 펼쳐지는 이야기라 섬안에서의 이야기 이니 조금은 다른 기분을 줄 것 같다. 동백이라는 이을 가진 소년도 궁금해지고 말이다.

 

동백이라는 소년의 집에 안좋은 일이 생기는 것으로 시작하는 이야기 갑자기 아버지의 죽음과 그 죽음을 밝히고 싶은 동백의 안타까운 상황을 들여다 보게 한다. 그리고 그런 실현 속에서 나타나는 한양대감인 추사의 등장과 말이다. 어울한 일로 죽은 아버지를 생각하는 동백을 힘든 시간 속에 나타나준 추사는 동백에게 많은 도움을 준다. 서화와 글씨 쓰는 법을 가르친다. 조선 시대는 신분제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나는 시기인데 그런 시기에 추사는 신분제의 생각 따위 보다는 동백이라는 소년에게 희망이라는 것을 안겨준 가르침을 주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양한 사건속에서  소년의 엮경을 이겨내면서 추운 겨울 눈 속에서 피어나는 동백과 같은 삶을 보여 준다. 그리고 한양대감인 추사와 섬 소년과의 만남은 조선 시대라는 배경의 생각하면서 읽으면 조금은 새로운 느낌을 준다. 신분제도를 넘어선 스승과 제자로 말이다. 동백의 희망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그런 모습을 볼 수 있게 한다. 이런 내용을 보면서 조선이라는 시대를 생각하면 딱딱한 신분에 묶여있는 모습도 잇지만 반면 다른 면모도 생각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동백처럼 어려운 상황에서도 희망을 안고 자신의 길을 찾아 갈 수 있는 용기를 배울 수 있는  것이 아이에게 좋은 영향으로 다가 온다. 활짝핀 동백꽃을 생각하면서 동백소년의 앞날이 더욱 빛났으면하는 생각을 하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