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게 고통일 때, 쇼펜하우어 - 욕망과 권태 사이에서 당신을 구할 철학 수업 서가명강 시리즈 18
박찬국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을 고통이라 보는 철학을 염세주의라고 하는데, 아무리 노력해도 팍팍한 삶을 벗어나기 힘들 때, 우리는 철학자의 지혜를 찾고는 한다. 저자는 <사는 게 고통일 때, 쇼펜하우어>를 통해 염세주의 대표 철학자 쇼펜하우어가 폭로한 인생의 어두운 면을 직시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고민하라고 전한다.

쇼펜하우어는 행복은 욕망에 기생한다고 하는데, 욕망이 신속하게 충족되는 상태가 행복이고 늦게 충족되거나 충족되지 않은 상태가 고통이라고 말한다. 욕망과 충족 사이의 시간 간격이 짧을수록 고통은 최소화되고 행복은 증대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욕망이 채워지더라도 행복은 욕망이 충족되자마자 사라지기 시작하기 때문에 우리가 느끼는 행복은 찰나에 불과하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

행복한 인생이란 고통이 없어 견딜만한 인생이라고 할 수 있다. 누군가의 행복을 가늠하려면 그 사람이 무슨 일로 행복하냐보다 어떠한 일로 괴로워하는지를 보면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사람일수록 사소한 일에 힘들어하기 때문이다. 다소 철이 없어 보이기는 하지만 힘들어하는 일이 사소할수록 행복한 사람인 것이다.

"세상에는 부러워할 만한 사람은 하나도 없는 반면에, 비참한 사람들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인생이란 결국 평생을 지니고 다녀야 할 무거운 짐이다."p.66

쇼펜하우어가 인생에 대해 논한 바와 같이 인간은 욕망에 한계가 없기 때문에, 자신보다 못한 처지의 사람을 보며 감사하기 보다 자신보다 나은 사람과 비교하기에 급급하다. 행복은 자신의 만족에 달려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지적 수준이 높을수록 걱정 근심이 많은 게 인생 사인 것이다. 조금이라도 더 높아지려는 인간의 욕망이 쉴 새 없이 채찍질하며 세대를 거듭하면서도 다람쥐 쳇바퀴를 반복하고 있다.

쇼펜하우어는 인생의 고통이라는 것은 우리의 뜻대로 어찌할 수 없는 삶의 본질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받아들임으로써 삶과 화해하라고 권한다. 흔히들 행복의 총량과 고통의 총량이 존재하기에, 고통을 빨리 겪은 사람은 앞으로 고통보다는 행복할 순간이 많을 것이라는 희망을 지닌다. 그러나 쇼펜하우어는 인간이 누릴 수 있는 행복의 최대치 역시 각자의 성격에 의해 예정되어 있음을 강조한다. 마음의 상태와 수준에 따라 우리는 그때마다 다른 세계에 살기 때문에 자신이 사는 세계보다는 마음을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인생이 고통이라고 할 때, 인간의 모든 욕망이 소멸될 때 지복을 경험하며, 죽음은 소멸이 아니라 오히려 '죽음은 축복'이라는 쇼펜하우어의 그의 말은 죽음에 대해 나의 인생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보게 만든다. 인생의 고통은 당연지사임을 받아들이고 너그럽게 삶을 대하다 보면 웃는 날이 더 많아지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